• 제목/요약/키워드: 인증 프로그램

검색결과 490건 처리시간 0.026초

휴대용 보안 저장매체 기반 방송프로그램 사적이용 인증 기법 (Personal-usage Authentication of Broadcast Programs Using a Secure Portable Storage)

  • 이주영;추현곤;남제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2호
    • /
    • pp.10-1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보안 저장매체를 이용한 방송프로그램의 사적 이용 인증을 통해, 도메인에 등록된 휴대용 사적 이용 인증기기를 보유한 사용자가 물리적인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자신이 녹화한 방송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적이용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사적이용 인증과정은 휴대용 사적이용 인증기기, 휴대용 사적이용 인증기기 접근제어 모듈, 휴대용 사적이용 인증기기 연동 재생 툴에 의해 이루어진다. 휴대용 사적이용 인증기기는 도메인 인증정보를 보호된 상태로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저장매체 역할을 수행하며, 휴대용 사적이용 인증기기 접근제어 모듈은 휴대용 사적이용 인증기기에 저장된 도메인 인증정보와 방송프로그램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방송프로그램 재생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용 사적이용 인증기기 연동 재생 툴은 휴대용 사적이용 인증기기 접근제어 모듈을 통해 획득한 방송프로그램 재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보호된 방송프로그램을 복호화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 모델의 구성과 동작 절차를 기술하고 구현을 통해 제안한 인증방법에 대한 유효성 검증을 수행한다.

CDMA 휴대폰 - TRAC 인증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최두정;장형철
    • TTA 저널
    • /
    • 통권93호
    • /
    • pp.132-137
    • /
    • 2004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이하 TTA)는 지난 2004년 4월 22일 CDMA휴대폰에 대한 시험인증 기술동향을 소개하고자''제 1회 Global CDMA Handset Testing Technology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본 행사에서는 현재 Qualcomm의 주도로 추진중인 TRAC 인증프로그램의 개요와 시험기술 및 시험장비 개발 현황 등이 소개되었다. 본 고를 통해 TRAC 인증프로그램을 중심으로 CDMA휴대폰 시험인증기술 동향을 소개하도록 한다.

  • PDF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rial Schemes of an Accredited Engineering Program)

  • 유인근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2호
    • /
    • pp.62-72
    • /
    • 2007
  •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이 출범한 이래로 많은 대학의 프로그램들이 인증을 받았고 또 준비하고 있으나, 실제 교육현장에서 인증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는 우리나라 공학교육의 인증역사가 일천하여 아직 운영측면에서의 경험이 많지 않고 구성원들의 이해부족에 기인한 경우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인증평가이후 수년간 인증프로그램을 운영해온 경험을 토대로 보다 효과적으로 인증프로그램을 유지할 수 있는 몇 가지 핵심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특히, 각 인증기준별로 필수적으로 문서화하여 관리해야하는 내용들을 중심으로 정기적인 학사일정과 동일한 수준으로 다룰 수 있는 처리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공학교육인증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평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achieving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in KEC2005)

  • 김명랑;윤우영;김복기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42-49
    • /
    • 2008
  •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첫 번째 인증기준인 ‘프로그램 교육목표’는 두 번째 인증기준인 ‘프로그램 학습성과 및 평가’에 비해 용어로서의 익숙함은 있으나, 실제 실천 방안이나, 인증평가를 위한 준비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였다. 심지어 용어의 익숙함으로 인해 오히려 인증기준에 적절하지 않고 측정 가능하지 않은 추상적인 어휘를 사용하여 교육목표를 설정하여 인증평가 시 부족사항으로 지적 받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는 인증에서 요구하는 성과중심과 수요자중심 교육의 철학을 만족하고,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교육목표’에 대한 실천방안과 인증평가 준비에 대해 모형을 갖춰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모형은 ‘프로그램 교육목표’ 기준의 5가지 하위 세부기준을 분석하여 이들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각 프로그램은 본 모형을 적절히 이용하여 자신들만의 특성화를 이룩할 수 있으며, 부차적으로 교육목표에 대한 인증평가도 무난히 준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공학교육인증을 위한 정보보호학 심화프로그램

  • 정원일;하재철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5-82
    • /
    • 2009
  • 공학 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여 국제 경쟁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한국공학교육인증원에서는 교육프로그램 기준과 지침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인증 및 자문을 수행하고 있다. 본 고는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공학교육인증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호서대학교 정보보호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보보호학 심화프로그램에 관하여 기술한다.

베트남의 지속 가능한 커피 인증 프로그램의 도입과 한계: 비나카페를 사례로 (Adoption and Limits of Sustainable Coffee Certification Program in Vietnam: A Case Study of Vinacafe)

  • 지호철;이승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3-521
    • /
    • 2017
  • 세계 커피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커피 인증 프로그램을 적용한 원두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글로벌 커피산업의 동향처럼 최근 베트남의 지속 가능한 커피 인증 프로그램 도입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의 커피 인증 프로그램은 비나카페라는 단일 국영기업에 의해 주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국가의 커피 인증 프로그램과 차별된다. 특히, 비나카페의 폐쇄적 의사결정구조는 베트남의 지속 가능한 인증 커피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에 장애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나카페를 사례로 베트남의 지속 가능한 커피 인증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커피산업의 가치사슬의 변화와 그 한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베트남 중부고원지역의 커피산업 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비나카페의 역할을 분석하고, 2) 비나카페에 의해 주도된 지속 가능한 커피 인증 프로그램 도입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고, 3) 이에 따른 한계점을 고찰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비나카페 자회사에 속한 농가는 지속 가능한 커피 생산을 위해 인증 커피의 환경 기준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면서 기존 일반 커피 생산 비용에서 환경 비용을 추가적으로 지불하며, 비나카페 자회사는 인증 커피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추가 환경 비용을 농가에 일부 지원한다. 그러나 모기업이 자회사로부터 인증 커피를 일반 커피 가격으로 구매함으로써 자회사는 모기업으로부터 인증 커피에 대한 프리미엄을 보장받지 못했다. 따라서 자회사는 인증 커피 프리미엄에 따른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농가에 환경 비용을 다른 형태로 전가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농가 역시 인증 커피 생산에 따른 프리미엄을 보장 받지 못해 인증 커피 생산에 따른 최종 손실은 농가가 부담해야 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공학교육인증제에서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개선에 대한 고찰 (Review on Improvement of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at ABEEK)

  • 김종화;이영호;박경우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5호
    • /
    • pp.102-110
    • /
    • 2023
  • 공학교육인증 정기평가에서 프로그램 교육목표의 경우 부족사항이 거의 없어야 하지만, 많이 발생하고 있다. 2021년 정기평가부터는 두 번째 부족사항에 대하여 조건부 인증으로 판정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육인증제 운영과 인증평가를 준비하면서 교육목표 설정에 대하여 프로그램 차원의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 환경변화를 고려한 프로그램 교육목표(이하 교육목표) 적절성 검토체계의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또한, 교육목표 개정 및 개선 과정에서의 세부인증기준 간의 연계 적용 방안 등에 대하여 인증기준, 공학교육인증평가 판정가이드 및 자체평가보고서 양식을 중심으로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ANSI의 정보통신표준 인증 프로그램에 대한 인정 정책 및 기준 (ANSI Policy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Certification Programs in Voluntary Standards Area)

  • 김영태;박기식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3권5호통권53호
    • /
    • pp.124-133
    • /
    • 1998
  • 최근 WTO 체제의 출범에 의한 국가간의 자유무역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통신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어떤 국가 또는 기관이 통신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인증 프로그램의 운영을 원하는 국가나 기관에게 인정해 주는 역량을 가짐으로써 보다 주도적인 위치에서 시장을 점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대내외적으로 정보통신표준 분야의 인증 프로그램에 관한 모든 인정 권한을 가지고 있는 ANSI(미국)의 정보통신표준 인증 프로그램의 인정을 위한 근간이 되고 있는 관련 정책 및 기준을 분석한 것이다.

공학교육지원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프로그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Student Portfolio Management Program to Aid Engineering Education)

  • 한송엽;이명식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20-3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 프로그램의 교육목표에 따라 학생의 학습 성과 성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생포트폴리오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SPMP: Student Portfolio Management Program)은 인증요건, 학생들의 학습자료, 학습과제와 그 결과물들을 테이터 베이스 체계를 통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은 공학교육인증에 있어서 요청되는 요건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학생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3가지 주요 기능은 첫째, 학생 개인 이력관리 기능으로서 개인정보자료, 교육프로그램에 관련된 자료 등 다양한 입력 자료로 구성되며 둘째, 학생 인증요건 관리 기능으로서 학습 성과, 이수과목 성적 등 인증요건 평가항목으로 구축되며 셋째, 학습과제관리 기능으로서 학습과제 작성, 검색 그리고 과제제출 항목들로 구성된다.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는 공학인증이 목표로 하는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향상 및 인재양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관리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지속적인 결과물의 기록 및 관리는 대상 학생들이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상시로 필요한 곳에 제출 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보안성과 유용성을 고려한 RTT기반의 패스워드 인증 방안 (RTT based Password Authentication regarding Security and Usability)

  • 이희정;이금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670-672
    • /
    • 2003
  • 패스워드 인증방법은 온라인 사전 공격에는 약하다는 단점이 있음에도 달구하고, 사용하기에 가장 편리하다는 장점 때문에 오늘날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증방법이다. 기존의 패스워드 인증방법처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도 보다 보안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RTT를 이용한 인증 프로토콜이 제안되어 왔다. RTT를 이용한 인증 프로토콜은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할 뿐만 아니라. 자동 프로그램 사람을 구별할 수 있는 질문에 응답하게 함으로써 자동 프로그램으로 공격하는 것을 막는다. 그러나 이 프로토콜에 이용되는 RTT의 여러 모델들에서 간단한 이미지는 공격 프로그램으로 공격 가능성이 있고, 복잡한 이미지는 사용자 입장에서 유용성이 취약함을 보인다. 따라서 이런 모델들의 취약성을 분석하여 공격에 대해서는 강하면서도 사용자들이 이용하기에는 편리하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고, 보안성과 유용성을 고려한 RTT기반의 인증방안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