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적자원 개발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35초

기록관리분야 직무능력표준 개발 방안 연구 (Study of Development for Competency Standards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 김정은;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31호
    • /
    • pp.43-93
    • /
    • 2012
  • 인적자원의 질은 사회 운용의 효율을 높이는 핵심 요소이다. 세계 각국은 국가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고 이를 인적자원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기록관리분야 역시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고 이를 중심에 두는 인적자원개발체제를 구축해갈 필요가 있다. 각급기관에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이 배치되고 기록관 조직이 운용되고는 있으나 직무상 성장 발전이 요구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록관리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능력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은 전문요원의 전문성 강화의 측면에서나 기록관 업무의 정상화의 측면에서나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기록관리 전 분야에 활용가능한 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는 절차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표준의 설계과정에 대한 예시를 보여줌으로써 기록관리분야의 직무능력표준 개발의 가능성과 타당성, 활용성 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록관리분야의 직무능력모형과 각 능력 단위별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최근 이슈로 부각된 기록관리의 전문성을 입증하기 위한 방법론을 마련하고 기록관리분야의 인적자원개발시스템을 도입하는데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지식경영과 인적자원개발의 연계: 역량/정력 개발과의 연계 사례들을 중심으로 (Linking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Cases Focused on the Competency/Career Development)

  • 홍진원;구성호;서우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3호
    • /
    • pp.65-87
    • /
    • 2008
  • 지식경영은 조직의 지식 역량을 강화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직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혁신 패러다임이다. 지식경영을 도입한 조직들은 조직의 지식 역량을 강화시키는 과정에서 나름대로 많은 어려움 들을 겪고 있으며 그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방법으로 지식경영과 인적자원개발 간의 연계를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경 영을 인적자원개발의 주요 영역인 역량 개발 및 경력 개발과 연계하여 운영한 두 개의 사례들을 소개하고, 이 사례들이 포함하고 있는 중요한 원리들을 보다 구조화된 형태로 정립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지식경영과 조직 구성원들의 역량 개발간의 시너지 효과가 창출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의 사례와 모델은 조직의 역량 강화와 지식경영성과 향상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서직 고용현황 및 인력개발에 대한 현장사서 요구 분석 (Analysis of Field Librarians' Employment Needs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Librarianship)

  • 노영희;안인자;오세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91
    • /
    • 2013
  • 사서직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이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도서관 및 관련 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 현황 파악을 토대로 향후 예상되는 인적자원의 양성 및 활용과 관련된 인력수급 전략과 법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력 고도화를 위한 기초 취업 현황, 취업 환경 및 관련 이슈의 종합적 분석 등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사회적 환경과 관련 제도 및 법을 포함하는 정책적 환경, 인적자원 양성 측면에서 현황을 분석할 뿐만 아니라 도서관 현장의 사서직 수요조사를 통하여 현장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서직의 두드러진 특징은 사서직의 여성에 편중된 성별 불균형 현상, 비정규직 증가, 그리고 도서관 분야 진출에 대한 높은 기대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째,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임금이나 복지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사서의 사서직 교육 요구사항으로 현장 전문가 멘토링, 단기인턴십, 사서실습 등을 제시하고 있었고, 취업요건으로 인턴이나 실습, 어학능력, 각종 자격증 취득, 경력관리 등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관기관의 사서자격증 보유자는 20%나 더 많은 사서자격증 보유자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자원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K대 전문대학원의 성과지표 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Performance Indicators Analysis and Development Plans of K University's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for the Training Professionals in the Human Resources)

  • 김주일;오문환;김세찬;박지환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681-701
    • /
    • 2023
  • 본 연구는 인적자원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관련 성과지표를 분석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K대 전문대학원의 성과지표 도출, 홍보 방안, 학회 설립 및 운영방안, 명칭 변경, 비전 제안 그리고, 전공별 교육과정(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개선(안) 도출 등을 포함하였다. 이를 위해 K대 전문대학원의 재학생 및 졸업생 총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9명을 대상으로 FGI 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과지표의 경우, 선행연구, 전문대학원 특성, 설문조사, FGI 조사 등을 고려하여 15개의 지표(예: 신입생 충원율, 재학생 충원율, 융복합 교육과정 운영, 학술연구 실적 등)를 제시하였다. 홍보 방안에 있어서는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고, 목표 고객들에게 전문대학원의 장점 및 혜택을 적극 알릴 필요가 있다. 학회 명칭은 가안으로 한국고용직업능력개발학회, 미션과 역할은 고용정책 선진화와 같은 포괄적인 미션이 적절하며, 융합학회로 운영할 것과 융합연구를 지향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K대 전문대학원 명칭 안의 선호도는 HR(인적자원) 전문대학원, 인력개발 전문대학원, 고용직업능력개발 전문대학원 순으로 나타났다. 비전으로는 기존의 강점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정체성과 차별화의 균형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전공별 교육과정 개선(안)으로는 급진적이기보다 기존의 틀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 변화의 추이를 보며 단계적, 점진적으로 개편할 계획을 제안하였다.

목민심서를 통해 본 조선시대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연구 (A study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Mokminsimseo)

  • 김봉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409-42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통해 조선시대 인사관리 흐름을 이해하고 이는 현대의 행정 조직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조직에서도 어떻게 활용되어지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그 결과 첫째, 조선시대의 인적자원관리는 대부분 공공 종사자들의 청렴과 관련되어있었다. 이는 오늘날 평가의 방법과 범위, 가치기준, 평가 활용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내용들로 우리 전통적인 가치와 사상이 오늘날 까지도 사회복지조직 등 공조직의 종사자들의 평가에서 이어져 옴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선시대의 인재 모집과 채용에 대해서는 적재적소의 인재등용이라 할 수 있는 적실성과 채용의 공정성, 인적 자원 채용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 등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는 인사가 만사임을 강조하는 인적자원의 적절한 등용과 규모에 대한 언급까지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마지막으로 보상과 징계영역에서는 보상보다는 징계에 대해서만 언급되어 공직자들의 경각심을 주고 능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강화 또는 보상보다 징계를 강조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오늘날 종사자들의 의욕을 고취시키고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한 방법으로 징계보다는 보상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 나타나고 있음은 조선시대의 인적자원 관리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공직자들의 교육과 훈련 부분에서는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었고 몸가짐과 마음가짐의 품위 유지와 리더십을 강조하여 오늘날에도 사회복지조직을 비롯하여 공조직의 종사자들에게 요구되는 덕목이 면면히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교육운영의 직무탐색과 직무수행모델 개발 (Exploring the Tasks Related with Educational Program Operation and Developing Its Performance Model of Rural HRD Center)

  • 김진화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9권2호
    • /
    • pp.241-271
    • /
    • 2012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uties and tasks of educational program operation, to develop the performance model including the duties and tasks, and to construct the action manual of the tasks and duties in related with implementing effectively the educational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dentifying duties and tasks was 1,942 related with implementing educational program operation based on theoretical job model through activity analysis and experience sampling techniques. Second, the finding duties and tasks was reconstructed through classifying with 9 duties and 88 tasks, and then it was developed as educational program operation model of Korean Rural HRD Center. Finally Third, the implementing manual was constructed including the contents and task-elements.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 컴퓨터 재량 활동 교재 개발 - 1, 2학년을 중심으로 - (The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for the Advance of the Creativity about the Computer Discretion Ac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

  • 고은이;김종진;김종훈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55-260
    • /
    • 2007
  • 2000년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을 내놓았고,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2005년 12월 개정지침이 나왔다. 그러나 현재 개정에 따른 컴퓨터 교재가 개발되어 있지 않고, 더군다나 시대의 변화와 발맞추어 요구되고 있는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재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가 개정한 초 중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을 분석하여 교육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1, 2학년용 교재를 개발하게 되었다.

  • PDF

선원용 스트레스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문성배;이춘기;전승환;정은석;송재욱;정우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5-187
    • /
    • 2013
  • 일반적으로 사람은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심리적 자극에 반응할 경우 스트레스(Stress)가 유발된다. 이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업무수행 뿐만 아니라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고, 피로누적의 한 원인이 되기 한다. 특히 열악한 환경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선원에게 있어서 스트레스는 해양사고의 직간접적인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선박 인적자원관리의 한 측면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해운기업이 선원의 인사 및 안전관리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는 선원용 스트레스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기본영역, 가족생활영역, 재정영역, 직업 및 선박생활영역에 대하여 90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도구를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Holmes & Rahe의 사회적응평가도구의 항목 및 평가지수와 비교분석하여 한국 선원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설문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문화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Private Facility Security Guards)

  • 강민완;김효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89-403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가 조직문화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0년 6월 서울소재 4개소 민간경비회사의 시설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343명을 추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691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문화에 영향을 미친다. 즉, 교육훈련, 보상, 요원화, 경력개발이 활성화되면, 위계적, 개발적, 합의적, 합리적 문화는 촉진된다. 둘째, 시설경비조직의 전략적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교육훈련, 요원화, 경력개발이 활성화 되면, 배려 이타주의, 참여적, 양심적, 신사적 행동은 촉진된다. 반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배려 이타주의, 참여적 행동은 감소한다. 셋째, 시설경비조직의 조직문화는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즉, 위계적, 개발적, 합의적, 합리적 문화가 형성 되면, 배려 이타주의, 참여적, 양심적, 신사적 행동은 촉진된다.

인적자원 개발과 활용 관점에서 본 전업주부정책 (The Full-time Housewives Support Policy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 김선미;이기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9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iscuss how to develop policies to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by full-time housewives,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ree areas of potenti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a) labor force participation (b) social education (c) volunteerism. It analyzed the related "social infrastructures," especially labor market situation and child care systems. The current governmental policies and other social programs implemented by various institutions as well as the relevant literatures were reviewed. The preliminary policy proposals outlined in this study were evaluated by the policy developers and experts through several hearings and discussions. Programs propos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 (a) programs to support housewives who wish to find employment or create a self-owned business, (b) educational programs exclusively offered for full time housewives, and (c) programs to award certificates and rewards and to create paid employment tied to volunteer work. In addition, the ways how to ameliorate the gender discrimination by changing the labor and social environments and institutionalizing the child care were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