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적자원 개발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27초

수요의 측면에서 살펴본 대학 커리큘럼

  • 진미석
    • 대학교육
    • /
    • 통권148호
    • /
    • pp.44-52
    • /
    • 2007
  • 대학이 산업체의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공별로 대학에서 가르치는 내용과 산업체에서 활용되는 기술들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불일치를 분석하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들 질적 불일치에 관련한 연구는 상당한 예산과 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정부는 인적자원 개발의 인프라 구축 차원에서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 PDF

물류전문인력 양성에 필요한 대학 교과목 및 경쟁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Empirical Study of Competitive Factor and Curriculum in University for Logistician)

  • 홍석진;한지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77-87
    • /
    • 2005
  • 물류부분의 전문 인력에게는 시스템적인 사고와 끊임없는 혁신, 미지 분야의 개척이 요구되고 있다. 물류체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계획 실행, 통제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육성과 이를 위한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물류분야 인적자원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우리나라의 물류분야 인적자원 개발의 실태를 평가하고, 향후 물류분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핵심부문 의 활동과의 연계선상에서 물류이해를 심화시키는 교과목의 부족과 영어, 중국어 등 국제물류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외국어실무능력에 대한 교육시스템의 부족을 주요 문제점으로 들었다. 실질적인 교과목의 편성에 대한 사회의 요구에 따라 학생들의 기업파견을 실시하나, 고용주와 학생들의 시각차에 의한 불만족과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실무 경험 프로그램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생, 고용주 그리고 대학간의 실무경험에 대한 시각차를 줄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벤처기업 입지와 고급노동력의 공간적 관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s of Venture Business and Educated Workforce)

  • 기정훈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493-516
    • /
    • 2006
  • 지금까지의 벤처기업에 관한 연구에서는 어떤 산업에서 벤처기업의 창업이 활발한가에 관한 것이었다면, 최근의 관심은 산업이라기보다는 특정 전문직종이나 개인의 경제 사회적인 특징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대학(교)이상의 학위를 가지고 있는 고급노동력의 인적자원들이 성공적인 벤처기업을 창업 및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들의 공간적 특성과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의미를 갖는다. 벤처기업협회의 벤처기업입지에 관한 자료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지역별, 교육수준별 인구통계를 이용하여 그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지역들 중에서 경기도는 벤처기업이 가장 활발하게 창업되고 있는 지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대학(교) 교육 이상을 받은 고급노동력이 경기도로 몰려오기 때문만은 아니다. 경기도로 오는 인적자원들은 실제로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이 왕성한 고급노동력들인 것이다. 이와 함께, 대전/충남지역 역시 그 지역의 고급노동력의 비율에 비해서 높은 비율로 벤처기업이 창업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서울과 인천과 같은 수도권 지역 역시 벤처창업이 상대적으로 왕성함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수도권과 충청권을 제외한 지방지역에서는 각 지역들이 보유하고 있는 고급노동력에 비해서 벤처기업의 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노력이 요망되며, 특별히 연구개발기능의 유치와 지역대학의 연구기능 강화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PDF

정보통신 분야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스킬 프레임워크 (Skills Framework for HRD in IT Industry)

  • 주인중;김상호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4호
    • /
    • pp.117-136
    • /
    • 2005
  • 스킬 프레임워크는 IT 관련 정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 인프라이다. 이는 IT 스킬 프레임워크가 정보통신 관련 스킬들을 구분하기 위해 일반적 기준모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스킬 프레임워크는 스킬 유형, 스킬 수준으로 구분된 스킬 행렬표로서 작성된 각 스킬들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는 정의와 직무수행능력 명세서 등을 만드는 작업이다. 이러한 스킬 프레임워크가 있음으로 인하여, 우리는 일관된 자료의 작성과 관리가 가능하며, 정보잡음(information noise)을 감소시킬 수 있다. 효율적 정보교류는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의 연계성을 강화시키며, 궁극적으로 효율적 인적자원개발을 촉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