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장이음

검색결과 6,237건 처리시간 0.033초

습윤 모래에서 인장강도의 예측 (II) : 검증 (Prediction of Tensile Strength of Wet Sand (II) : Validation)

  • 김태형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37-44
    • /
    • 2008
  • 낮은 응력 상태에서 모래의 인장강도는 포화도 또는 흡입력에 따라 증가하다 최대값이 이른 후 감소한다. 최대인장 강도는 어느 포화도에서든 발생될 수 있다. 선행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습윤 모래의 인장강도를 정확히 표현한 이론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세 가지 종류의 모래(워싱턴 주 시애틀의 검정 Esperance모래, 오스트리일리아 서부 Perth 해변 모래, Ottawa 모래)에 대해 실시된 일축인장실험, 함수특성실험, 직접전단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제안된 이론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닫힌 형식의 식으로 표현된 이론은 이들 모래들로부터 얻어진 실험결과와 비교 시 전체 포화도 영역에서 인장강도 변화양상, 인장강도 크기, 최대인장강도, 최대인장강도가 발생할 때의 해당 포화도 등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터드 커넥터로 연결된 H형강보의 인장하중 전달성능 (Tensile Load Transmission Capacity of H-shaped Beam by Stud Connectors)

  • 이명재;최완철;김원기;김재희;이상호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통권69호
    • /
    • pp.267-274
    • /
    • 2004
  • 본 실험의 목적은 H형강보에 작용하는 매달림 하중 중 연직하중인 인장하중을 그 대상으로 구조설계시 적용되는 설계하중에 대하여 인장하중이 스터드 커넥터를 통하여 슬래브에 전달되는 하중전달 경로와 그 성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스터드 커넥터의 기초실험을 실시하고 2개의 실대형 시험체를 제작하여 인장하중에 대한 전달성능을 파악하였다. 실험의 변수로는 H형강보의 크기가 적용되었다. 인장하중 가력실험결과 현행 강구조계산기준을 따라 설계하면 스터드 커넥터에 의한 H형강보의 인장하중의 전달성능은 설계하중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온과 고온노출 후 GFRP 보강근의 잔존인장성능 비교 (A Comparison of Residual Tensile Properties of GFRP Reinforcing Bar at High Temperature and after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 김성도;문도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77-84
    • /
    • 2015
  • 고온에 노출된 GFRP 보강근의 인장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한 고온노출조건은 $200^{\circ}C$ 이하의 온도에 3분간 노출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조건은 다른 연구자들의 시험에서 적용한 고온노출조건과 비교하여 경미한 고온노출조건이다. 고온에서와 고온노출 후 GFRP 보강근의 인장강도와 탄성계수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고온에서 GFRP 보강근의 인장성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온노출 후 보강근의 인장성능은 거의 고온노출전의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화재로 손상 받은 GFRP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의 평가를 위하여 중요한 자료가 된다.

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균열 이후의 인장거동에관한 실험적 연구 -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인장강성 증대효과를 중심으로- (An Experimental Study on Post-Cracking Tension Behavior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Focused on Tension Stiffening Effect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 서상교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9-85
    • /
    • 1991
  • 강섬유를 보강한 철근 콘크리트 프리즘에, 인장하중을 철근에 가하여 강섬유 보강콘크리트가 인장강도에 달한직후 균열이 발생한 다음에는 강섬유의 연결작용에 의해 철근의 인장강성이 보강되는 현상을 실험적으로 밝혔다. 균열이후에 강섬유보강콘크리트가 발휘하는 철근의 인장강성보강 효과를 평균변형도와의 관계로 나타내고, 그 관계를 근거로 인장강성증가 효과를 평균변형돠와 관련시켜 정양적으로 평가하여 강섬유보강 철근콘크리트의 설계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인장 물성 측정 불확도 평가 (Estimation of Measurement Uncertainty in Evaluation of Tensile Properties)

  • 허용학;이해무;김동진;박종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호
    • /
    • pp.73-78
    • /
    • 2010
  • 재료의 인장 물성 측정 불확도 평가가 수행되었다. 인장 물성 측정에 영향을 주는 불확도의 요인이 구분되어 분석되었고 인장 시험으로부터 측정되는 측정량, 즉 탄성계수, 항복 강도 그리고 인장 강도의 불확도 평가 모델이 본 연구에서 제시되었고 각 측정량에 대한 대응하는 수학적 모델과 측정치로부터 각 측정치의 감도계수를 계산함으로서 유도 되었다. 각 모델에 근거하여 ISO 6892에 따라 결정되는 SUS316LN의 실험적 데이터로부터 인장 물성의 불확도가 평가되었다.

조사 지르칼로이 피복관의 기계적 특성시험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Mechanical Test Techniques for Irradiated Zircaloy Cladding in Hot Cell)

  • 김도식;홍권표;주용선;안상복;송웅섭;유병옥;김기하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213-213
    • /
    • 2003
  • 고온 및 고압의 가혹한 방사선 분위기에서 사용되는 핵연료 피복관은 중성자 조사 및 수소화합물의 생성 등으로 인하여 기계적 성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조사된 핵연료 피복관의 손상기준 확립과 안전성 해석을 위해서는 연성 및 강도 등 기계적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핵연료 피복관의 종 및 횡 방향 인장특성 평가를 위하여 개발된 기존의 다양한 시험법들을 비교하고, 핫셀시험에 적합한 인장시험법을 개발하였다. 피복관의 종방향 인장시편은 튜브시편 또는 게이지부 내에서 균일한 변형률 분포를 얻도록 설계된 도그본 튜브시편(그림 1)을 사용한다. 피복관의 횡방향 인장시험에 사용되는 링시편(그림 2)은 게이지부 내에서 균일한 단축 원환변형율 분포 또는 평면변형율 조건을 나타내도록 설계한다. 연소 또는 조사된 피복관으로부터 시편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핫셀 내에서 작업 이 가능한 방전가공기(그림 3)를 사용한다. 피복관의 종방향 인장시험용그립(grip)은 핀-부하형이며, 횡방향 인장시험의 경우는 시험 동안 시편의 곡률이 일정하게 유지 되도록 그립의 형상 및 치수를 결정한다(그림 4). 피복관의 종 및 횡방향 강도와 변형 등 기계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응력-변형율 곡선은 시험기의 복합 강성(K)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상과 같이 검토된 인장시험법은 피복관의 안전성 해석(safety analysis)과 관련 규정(regulatory)에서 사용되는 피복관 손상기준(fuel damage criteria)의 개선에 필수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 PDF

동적(動的) 인장하중(引張荷重)을 받는 콘크리트의 실제적(實際的)인 모델 (A Realistic Model for Concrete Subjected to Dynamic Tensile Loading)

  • 오병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59-66
    • /
    • 1985
  • 동적(動的) 인장하중(引張荷重) 받는 콘크리트의 거동(擧動) 모델화(化)하기 위한 비선형(非線型) 구성이론(構成理論)이 제안(提案)되었다. 콘크리트의 정적(靜的) 인장거동(引張擧動)은 징세균열면처리론(徵細龜裂面處理論)에 의(依)하여 모델하고, 동적(動的) 인장하중(引張荷重)으로 인한 변형율속도효과(變形率速度效果)를 고려하기 위하여 유사변환을 이용(利用)하였다. 본(本) 모델의 결과(結果)를 현존하는 여러 동적(動的) 인장실험자료(引張實驗資料)와 비교하였다. 또한, 동적(動的) 인장하중(引張荷重)으로 인한 인장강도의 증가현상을 예측하기 위한 공식(公式)이 제안되었다. 본(本) 모델은 콘크리트구조물(構造物)의 좀 더 실제적인 동적(動的) 유한요소해석(有限要素解析)을 가능케 한다.

  • PDF

얇은 두께의 웨브를 갖는 세장한 벽체의 변형능력 평가 (Evaluation of Deformation Capacity of Slender Reinforced Concrete Walls with Thin Web)

  • 엄태성;박홍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185-186
    • /
    • 2009
  • 휨항복 이후 주기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부재(보와 전단벽)에서는 길이방향의 인장변형이 누적 된다. 이러한 길이방향 인장변형은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강도 및 변형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트러스 모델해석을 통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발생되는 길이방향 인장변형의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길이방향 인장변형은 소성힌지의 길이방향 철근에 발생되는 잔류인장 소성변형으로 인하여 발생되고, 대각 콘크리트 스트럿의 전단력 전달 메커니즘이 길이방향 인장변형의 크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기거동 동안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누적되는 길이방향 인장변형을 평가할 수 있는 간단한 평가식을 제안하고, 다양한 재하이력을 갖는 보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 PDF

초고성능 콘크리트의 인장거동 설계기준 정립에 관한 연구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Tensile Behavior of Ultra-High Performance Concrete)

  • 강수태;조창빈;박종섭;박정준;류금성;김병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361-364
    • /
    • 2008
  • UHPC를 이용한 구조물 설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재료의 역학적 거동 특성을 명확히 규명하여야 하며, 일반 콘크리트와 비교할 때 가장 큰 특징은 구조적으로 유효한 인장강도 및 인장거동이다. 따라서 UHPC를 활용한 적절한 설계가 되기 위해서는 특히 UHPC의 인장거동의 특성을 나타내는 구성모델의 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UHPC의 인장거동을 실험 및 해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프랑스 SETRA/AFGC에서 제시한 설계기준(안)과 일본 JSCE에서 제시한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설계 s시공지침(안)과의 비교를 통해 UHPC의 인장 연화거동과 인장응력-변형률 관계에 대해 합리적인 거동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변형률 속도 및 수분포화가 암석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rain Rate and Water Saturation on the Tensile Strength of Rocks)

  • 정우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2호
    • /
    • pp.119-124
    • /
    • 2010
  • 암석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변형률 속도 및 수분포화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건조상태 및 포화상태 3종류의 암석에 대해서 여러 가지 변형률 속도에서의 홉킨슨효과를 이용한 인장파괴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건조상태뿐만 아니라 포화상태에서도 변형률 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석의 인장강도는 증가하였다. 특히, 건조 상태에 있어서 암석의 동적인장강도는 암석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변형률 속도의 약 1/3승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분포화의 영향으로 공극률이 높은 사암과 응회암은 건조상태와 비교하여 인장강도가 감소하였으나, 공극률이 0.49%로 낮은 화강암은 건조상태와 포화상태와의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