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열강도

Search Result 11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MOCA 대체용(代替用) 신(新) 가황제(加黃劑) Methylene dianthranillic diester류(類)의 성능(性能)

  • Choe, Jun-Cheol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12 no.2
    • /
    • pp.157-164
    • /
    • 1977
  • (1) 탄성체(彈性體) MBMA를 가황제(加黃劑)로 사용한 가황체(加黃體)는 MOCA를 가황제(加黃劑)로 한 것 보다 Pot life가 긴 것이 특징(特徵)이다.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에 있어서는 2가지 공(共)히 비승하였으나, 내열성(耐熱性)은 MOCA의 경우가 더 우수(優秀)하였다. 인장강도(引張强度), 신장률(伸張率), 반발탄성(反潑彈性)에 있어서는 MBMA를 사용(使用)한 가황(加黃體)와 MOCA를 사용(使用)한 가황체(加黃體)가 동일(同一)하였으나 압축(壓縮)줄음율은 전자(前者)가 높았다. 인열강도(引裂强度)에 있어서는 10부(部)의 MBMA를 가(加)했을 때 후자(後者)와 동일(同一)하였다. 또 MBIA 가황제(加黃劑)를 사용하였을 경우 인장강도(引張强度), 신장률(伸張率) 그리고 반발탄성등(反潑彈性等)이 MBMA 또는 MOCA의 경우와 거의 동일(同一)하였으나 고무가 부드러운 것이 특징이었다. 다만 100% 모듈러스의 경우 전자(前者)가 후자(後者)들보다 낮은 값이었다. NCO와 OH의 비(比)가 2 : 1인 Prepolymer를 사용한 MBIA가황체(加黃體)(MBIA를 가황제(加黃劑)로 한 가황체(加黃體))는 MBMA 가황체(加黃體) 또는 MOCA 가황체(加黃體)에 비(比)해 인열강도(引裂强度)는 낮았다. 그러므로 인열강도(引裂强度)를 향상(向上)시키기 위하여 NCO와 OH의 비(比)를 2 : 1보다 높은 비율(比率)로 취(取)하면 된다. 내열성(耐熱性)에 있어서 MBIA가황체(加黃體)가 MOCA가황체(加黃體)보다 우수(優秀)하였 고 또 배합작업(配合作業)에 있어서도 MOCA나 MBMA 가황체(加黃體)보다 작업성(作業性)이 용역(容易)하였는 바 이같은 이유(理由)는 전자(前者)의 녹는 점(點)$(70^{\circ}C)$이 후자(後者)들보다 낮기 때문이다. MBIA의 기타(其他) 특성(特性)으로서는 Pot life가 MOCA가황체(加黃體)보다 2.5배(倍) 길었다. 끝으로 MBEHA와 MBCHA가황체(加黃體)의 특징(特徵)은 가황속도(加黃速度)가 MBIA가황체(加黃體)보다 느림과 동시(同時)에 고무자체(自體)가 부드러웠을 뿐만 아니라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도 좋지 않았다. (2) 미세구조용(微細構造用) 포옴라버 미세구조용((微細構造用) 포옴라버를 제조(製造)할 경우 이때까지 사용(使用)해온 MOCA가황제(加黃劑) 대신(代身) MBMA를 가황제(加黃劑)로 대체사용(代替使用)이 가능(可能)한 바, 이를 사용(使用)하였을 때의 물리적(物理的) 특성(特性)은 MOCA를 사용(使用)하였을 때 보다 인열강도(引裂强度), 신장률(伸張率) 그리고 열안정성등(熱安定性等)은 월등(越等)히 우수(優秀)하였다.

  • PDF

Effects of Silica-Silane for CIIR Vibration Isolation Compound upon Increased Mechanical Properties (실리카-실란이 클로로부틸 방진고무 복합소재의 기계적 물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 Min;Kim, Kwang-Jea
    • Polymer(Korea)
    • /
    • v.39 no.1
    • /
    • pp.107-113
    • /
    • 2015
  • The effects of silica-silane in CIIR vibration isolation compound were investigated regarding mechanical and dynamic properties. Addition of silica-silane in the compound resulted in higher tear resistanc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than the control, which was increased by 13% and 14%, respectively. Other valu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hardnes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Viscoelastic property results supported that the improvement of tear resistanc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resulted from the formation of 3-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between silica and CIIR. The mechanism of the tear resistance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 improvement was discusse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 Foam Prepared from Prepolymer with Resin Premix (Prepolymer와 Resin Premix로 부터 제조된 Polyurethane Foam의 기계적 성질)

  • Kim, Tae Sung;Park, Chan Y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8 no.3
    • /
    • pp.241-248
    • /
    • 2013
  • Polyester type polyurethane foam has low hydrolysis resistance. It was overcome with addition of acrylic polyol by quasi prepolymer method. Tensile strength and hardness of polyurethane foam contained acrylic polyol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acrylic polyol contents. But split tear strength and tear strength was slightly changed. Hydrolysis resistance of polyurethane foam was measured by loss % of tensile strength. It was improved with increasing of acrylic polyol contents from 25.5g to 102g.

THE CHARACTERISTICS OF WEB BREAKS IN WEB-OFFSET PRINTING (윤전지절특성연구)

  • 이재수;전성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inting Society Conference
    • /
    • 1995.11a
    • /
    • pp.4-8
    • /
    • 1995
  • 본 실험에서는 최근 급 신장된 국내신문인쇄의 윤전지절에 관해 지절발생수준 및 원인에 관해 분석하였다. 국내 신문사의 윤전지절 발생수준은 구미수준이며, 자동계지 (Autopasting)시 지절이 많았다. 전체적으로 국내 신문인쇄정비기술 및 장력수준은 양호하나 전기적친 정비기술, 신문사란 통일된 관리기법이 요구된다. 종이물성측면에서 기존의 인장, 인열강도 등의 관리로는 미소의 상관성 또는 부분상관성으로 전체적인 지절예측에는 한계가 있으며, 인열강도를 현실성있게 표현한 Fracture Toughness(FT)가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마찰계수 역시 지절상관성이 기대되는 물성임을 알 수 있었다. 윤전지절은 인쇄기의 불안정과 종이결함이 복합된 결과로 인쇄기의 안정성유지와 종이의 결함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FT와 마찰계수를 이용한 관리기법으로 지료조성 및 펄프의 개질, 초지공정에 응용하여 최적강도 포인트를 찾아야 할 것이다.

  • PDF

신문용지의 소프트 닙 캘린더링

  • Lee, Hak-Rae;Lee, Sa-Yong;Ryu, Hun;Jeon, Dae-Gu;Kim, Ch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1999.04a
    • /
    • pp.44-44
    • /
    • 1999
  • 전적으로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소프트 닙 캘린더 피복의 국산화를 위해 시험 제작 된 소프트 닙 캘린더용 연질롤의 캘린더링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서 공정 변수에 따른 신문 용지의 물성변화를 평가하였다. 연질 롤로는 (주)광성고무롤에서 시험제작된 경도 90 Shore D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캘린 더링 시의 압력, 가열 롤의 표면온도, 닙 체류 시간, 유입지의 함수율 변화에 따른 신문용지 의 별크, 평활도, 광택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불투명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별크는 캘린더링 시 압력, 가열 롤의 표면온도, 닙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가열 롤의 표면온도가 높을수록 별크가 크게 감소되었으며, 닙 체류시간이 짧은 경우에는 1 120 226;C 이하에서 캘린더링을 실시하는 것이 별크 유지에 효과적이었다. 평활도는 가열 롤의 표연 온도, 닙 체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개선되었으며, 선압과 함 수율 증가에 의해서도 상승되는 경향을 보였. 인장강도는 유입지의 함수율, 닙 체류시간, 가열 롤의 표면온도가 모두 상승할 경우 증 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함수율 증가에 의해 섬유의 유연성이 향상된 상태에서는 칼렌더링 온도와 닙체류 시간 증가에 의한 섬유의 기계적 변형과 열전달에 의한 섬유의 열 변형이 효과적으로 발생하여 섬유간 결합면적이 증가된 결과로 생각되었다. 인열강도는 소프트닙 캘린더링 후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캘린더링 온도와 닙체류시 간은 인열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 닙 캘린더링 시 발생하는 인 열강도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는 닙 체류시간을 짧게 적용하고 섬유의 열변형이 종이의 표변 에서만 일어날 수 있도록 유입지 함수율과 가열롤의 표면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필요 하리라 판단되었다.광택도는 온도와 압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닙 체류시간에 따라서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120도씨에서는 닙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광택도가 오히려 감소하기도 하였다. 불투명도는 벌크와 마찬가지로 압력이 높고 가열롤의 표면온도가 높은 경우 낮게 나타 났다 특히 닙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보였다.

  • PDF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PVC Involving Norbornene Dialkyl Ester (Norbornene Dialkyl Ester가 첨가된 PVC의 물성 연구)

  • Yun, Dae-Hee;Ko, Tae-Won;Woo, Je-Wa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5 no.6
    • /
    • pp.602-606
    • /
    • 2014
  • In this study, we observed changes 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norbornene dialkyl ester applied to a PVC. The PVC specimens were prepared by blending PVC, norbornene dialkyl ester and stabilizers. Then, the hardness, tensile strength, elongation, tearing strength, transmittancy, haze and yellowness index of these specimens were measured, and were compared with DOP. The hardness of compounds except dicyclohexyl-5-norbornene-2,3-dicarboxylate (DCHN) were an equal to or higher than that of DOP. The tearing strength and tensile characteristic of DCHN could not be analyzed due to its high hardness. Tensile properties such as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were improved for six compounds except diisononyl-5-norbornene-2,3-dicarboxylate (DINN). All compounds measured showed better tearing strength and transmittancy than those of DOP. Also all norbornene derivatives except DDN showed good haze indices. The yellowness index of DON and DPN showed similar values as DOP.

Strength Restoration of DP Finished Cotton Fabric by Enzymatic Treatment (효소처리에 의한 DP 가공 면직물의 강도회복)

  • 김주혜;김수연;최은경;이현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29-430
    • /
    • 2003
  • Durable Finish(DP) 가공은 면직물이나 의복의 구김 방지성을 주기 위해 널리 사용되어진다 이는 비결정부분에 위치한 셀룰로오즈 분자의 체인 사이에 수지가 가교결합을 형성하여(Figure 1) 네트워크 형태의 거대 분자구조를 만들고 체인간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섬유가 뻣뻣하게 된다. 이로 인해 면섬유의 인장강도, 인열강도 등 물리적 강도가 심각하게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durable finishing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Dimethylol Dihydroxy Ethylene Urea(DMDHEU)를 이용한 DP 가공 면직물의 강도저하를 관찰하고 선택된 효소처리가 강도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중략)

  • PDF

Basic Test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Polyester Membrane (폴리에스터 막재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기초시험)

  • Park, Kang-Geun;Yoon, Seoung-Hyun;Lee, Jang-Bok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0 no.2
    • /
    • pp.127-134
    • /
    • 2010
  • Membrane structures are now us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the world with the merits of free shape, lightness, durability, sunlight transmittance and homogeneous material. The development of new membrane material opened up new possibility for the design of new building structures. Recently it was mainly used PVC, PVF, PVDF, PTFE, ETFE membrane for using the roofing material of membrane structures. Some problems of architectural membrane have fire proofing, lack of strength, tear resistance, durability and elasticity. For the estimation of this problems, it will be tested the basic mechanical properties of membrane material about tensile strength, tearing resistance and repeated loading behavior. Elastic modulus is 337.30~1257.63N/$mm^2$, and strain is 17.90~26.9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