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스타그램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8초

뉴미디어 패션 콘텐츠 유형에 따른 사용자의 SNS 관심도 연구 -보그 코리아 공식 인스타그램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erest of SNS Users according to New Media Fashion Content Types -Focus on Vogue Korea's Official Instagram-)

  • 이청순;이승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1호
    • /
    • pp.75-8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rends in new media fashion content by analyzing the fashion content of the official Instagram accounts of domestic fashion magazines that are being transformed by digital media. The framework for these analysis of fashion content type and methods of production is based on one used in an earlier research project.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on Vogue Korea's official Instagram accounts, using the highest number of major views as the secondary measure of interest. After screening for fashion content in posts on the Vogue Korea account for four months, 291 short video postings were extracted to analyze the number of views the postings received.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as 'star', 'show/exhibition', 'product', 'shop', 'fashion film', 'designer', or 'event', included in the data are the number of postings by type and the number of views by pos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or and the editing, the posts were classified into 'professional production highlight', 'professional production private', 'UCC' or 'GIF' videos, the number of views per post were also collected. The research results show different levels of interest depending on the type of fashion content, and also on the way the videos were produced. The study also investigated how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factors affects interest. When producing a new media fashion content, combining a 'star' type post with 'professional production private' video content was most popular. The selection of production method is therefore important even given the same type of content.

화장품회사 서포터즈의 뷰티제품평가 콘텐츠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orters of Cosmetics Company's Beauty Product Evaluation Contents on Purchase Intentions)

  • 박영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68-174
    • /
    • 2020
  • 본 연구는 화장품회사의 서포터즈로 활동하는 뷰티인플루언서가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사용하여 소비자들의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화장품회사 서포터즈로 활동하는 뷰티인플루언서의 제품평가 콘텐츠에 노출된 소비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자료 설문지는 총 237부 15개 항목을 설문조사 하였고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 t 검정과 ANOVA,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였다. 특정 계정 HAJIN_21 뷰티인플루언서의 인스타그램 콘텐츠를 통한 제품소개에 따른 구매의도를 연구한 결과는 성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최종학력은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에 최종학력이 구매의도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연구가 화장품회사 서포터즈를 활용하는 홍보 방향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스타그램 이용에 나타난 패션 취향 표현 (Fashion Taste Expressions in the Use of Instagram)

  • 김희영;하지수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32-445
    • /
    • 2020
  • This study identified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shion taste expression on Instagram, and examined the impact of the use of the media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fashion taste.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1:1 indepth interviews with 19 people in their 20s and 30s using 501 images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osting, searching, and reading behavior on Instagram were identified in three dimensions (self-expression, information gathering, and relationship orientation). In the image of self-expression, clothes were displayed at the time so that they could be checked and applied in other ways. Accumulated posts inspired people to look back on past styles and use them to reflect on the present. A media environment that was constantly exposed to information in real time allowed people to try various styles by imitating other users' posts and share in a process of creatively exploring styles to help organize fashion tastes developmentally. Participants had selective relationships with people of similar tastes who experienced the pleasure of enjoying through the exchange of tastes in fashion. These taste mates direc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r change of tastes, serving as a criteria for styles or presenting new styles. In this study, fashion taste was formed by individual efforts of pursuit (not a collective social class choice) and was a continuous process of constantly changing that also exploring discriminatory styles.

인스타그램 이미지와 텍스트 분석을 통한 사용자 감정 분류 (A User Sentiment Classification Using Instagram image and text Analysis)

  • 홍택은;김정인;신주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1호
    • /
    • pp.61-68
    • /
    • 2016
  •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 기기들의 발전으로 인해 SNS(Social Network Service)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SNS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감정 분류 방법에 대한 기법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사용자 감정 분류는 SNS 게시글의 텍스트, 이미지 등을 이용하여 감정을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에서 대표 형용사를 추출하고 이미지에서 Canny 알고리즘과 삼각함수를 이용해 대표 도형에 대한 값을 추출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텍스트에서 추출한 대표 형용사는 텍스트에서 추출한 형용사 중에 빈도수가 가장 높은 형용사로 선정하였으며, 영어 감정어휘 사전인 SentiWordNet을 이용하여 긍정-부정의 수치를 측정했다. 이미지에서 추출되는 도형에서 삼각형, 사각형, 원중에 추출되는 도형을 대표 도형으로 선정했으며, 대표 도형의 종류와 기울기에 따라 쾌-불쾌 수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분류했다. 최종적으로 Plutchik의 감정 바퀴를 긍정-부정과 쾌-불쾌의 수치를 나타내는 x축과 y축을 갖는 좌표평면으로 재정의하고 대표 형용사와 대표 도형의 값을 재정의한 Plutchik의 감정 바퀴의 좌표 평면에 나타내어 사용자의 감정 분류를 수행한다.

소셜미디어의 디지털 준언어 행동유도(PDA : Paralinguistic Digital Affordances) 의미 해석: 대학생을 중심으로 (Sementic Analysis of PDA (Paralinguistic Digital Affordances) in Social Media :Focusing on College Student)

  • 차영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10-42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충족이론(Uses and Gratification, U&G)을 통해 소셜 미디어에서의 디지털 준언어 행동유도(PDA : Paralinguistic Digital Affordances)의미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PDA는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의 '좋아요'(Like)나 트위터의 '즐겨찾기'(Favorites)처럼 동일한 행동과 의미는 아니지만 그것을 누르는 행동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왜 사람들은 PDA를 사용하며, 송신자일 때와 수신자일 때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대학생 36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이용과 충족 프레임 안에서, 반 구조화된 이론을 적용하여 PDA의 이용 동기와 만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PDA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송신자와 수신자로서 접촉할 때 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이상으로 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SNS 종류에 따라 PDA가 갖는 의미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스타그램의 '좋아요'는 페이스북의 '좋아요' 보다 더 가볍고 의미 없게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DA를 사용함에 있어서 대부분 아주 부담 없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PDA를 충실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때로는 모순되게 사용되는 경향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성향에 따른 SNS 이용과 사회적 연결 효과 (The effects of SNS use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on the social connectedness)

  • 이영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215-227
    • /
    • 2019
  • 본 연구는 개인 성향으로 자존감에 따른 다양한 SNS 이용 행태가 사회 자본을 구성하는 사회적 연결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존감이 높은 집단의 페이스북과 카카오톡 이용률이 높게 나타나, 친사회적 성향의 개인이 다양한 SNS 중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러 SNS 중 트위터는 자존감이 낮은 집단의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과는 상이한 이용 행태를 보였다. SNS 이용과 자존감에 따른 사회적 연결 효과는 SNS 이용이 활발하고, 자존감이 높을수록 오프라인 모임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개인의 친사회적 성향과 SNS 이용도가 사회적 연결 효과를 높여 사회 자본 확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러 SNS 중 인스타그램의 이용이 오프라인의 사회적 연결 효과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여, 젊은 계층의 경우, 여타 SNS 보다 인스타그램 이용이 사회 자본 확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플루언서 유형에 따라 인스타그램 사용시간과 패션제품 구매액이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How Instagram usage time and spending on fashion products affects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influencer type)

  • 곽지혜;여은아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6호
    • /
    • pp.875-889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stagram usage time (short, long) and spending on fashion products (light, heavy) on product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promoted by an influencer. The moderating effect of influencer type (mega, macro, micro) was also investigated. A total of 515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wo-way ANOVA were conducted.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usage time, both short and long,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Also, the interactive effects of usage time and influencer type on product attitude were found. Consumers with short Instagram usage time displayed the highest attitude toward products promoted by a macro-influencer whereas consumers with long Instagram usage time displayed the highest attitude toward products promoted by a micro-influencer. Second, usage time and influencer type did not show interac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Third, both categoriacl variables of users' spending on fashion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Fourth, the interaction effects of spending on fashion products and influencer types on purchase intention were found. The group of light buyers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on products promoted by the macro-influencer while the group of heavy buyers showed the highest purchase intention of products promoted by the micro-influencer.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소셜 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 -패션 인스타그램 및 유튜브를 중심으로- (Social Media Usage and Social Capital -Focused on Fashion Instagram and YouTube-)

  • 박주하;허유선;이하경;전재훈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99-11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enefits of social capital obtained through the use of social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fashion.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0 women in their 20s who utilized Instagram and YouTube for fashion-related activities. The results show that bonding social capital was related to Instagram and led increasingly to narrow and deep relationships with acquaintances who had already established offline relationships. The study also finds that informational benefit was derived from people who use Instagram image information for smart fashion consumption; in addition, positive feedback on their posts brought the emotional benefit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bridge social capital developed from YouTube users and subscribers. The study discovers that YouTuber public communication or the exchange of opinions leads to an increase in bridge social capital, which is a wide and shallow relationship. Video-based YouTube brought informational benefits as a specific product description, and there were emotional benefits in terms of entertainment while watching videos that combined fashion and entertainment. This report sheds light on individual fashion activities on social media, which i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우리나라 치위생(학)과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 분석: 게시물 수와 팔로워 수의 관련성 (Analysis of official Instagram accou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s in Korea: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posts and followers)

  • 위승연;정윤숙;김영석;김기윤;박도희;김성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9-276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official Instagram accou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osts and the number of followers. Additionally, the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se Instagram accounts through classifying posts by type. Methods: A total of 49 official Instagram accounts from Korean dental hygiene departments were selected as subjec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 26.0 Statistics softwar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number of posts and the number of follower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ollower numbers between 3 year colleges (Mean: 284.11) and 4 year universities (Mean: 167.86), based on university classification (p=0.035).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number of pos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followers (r=0.338, p=0.017). Conclusion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Instagram follower numbers and the number of posts among different university classification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number of followers.

뷰티 상업광고가 20대 남,녀의 뷰티 상품 구매 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auty Commercial Advertising on Men and Women in Their 20's Purchase of Beauty Products)

  • 노승은;천승희;심보람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98-20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남녀의 뷰티 트렌드 정보를 바탕으로 성별에 따른 뷰티 상업광고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일종의 마케팅 수단으로 쓰이는 뷰티 상업광고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모에 대한 관심과 SNS 사용이 가장 높은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여성은 접근성, 신뢰성 정보성이 가장 높은 광고로 모두 유튜브 광고를 택했고 남성은 각각 인스타그램 광고, TV 광고, 유튜브 광고를 택했으며 그 결과 20대 여성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광고는 유튜브 광고, 남성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광고는 접근성이 높은 인스타그램 광고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의 뷰티 시장에서 서비스 및 마케팅 분야에 새로운 전략을 구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