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구학적 배경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2초

1973년 국민복지연금법과 1986년 국민연금법은 왜 제정되었는가?: 인구학적 보너스에 대한 대응이라는 시점 (Why were National Welfare Pension Act of 1973 and the National Pension Act of 1986 Legislated?: From the Viewpoint of Response to the Demographic Bonus)

  • 박이택;이헌창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4호
    • /
    • pp.781-805
    • /
    • 2015
  • 기존 연구들은 1973년 국민복지연금법과 1986년 국민연금법의 제정을 인구 고령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라는 시점에서 고찰하지만, 본 논문은 이 법들이 잠재적인 인구학적 보너스를 실제적인 인구학적 보너스로 구현하려는 국가주도의 대응 과정 속에서, 필요한 자금을 적립식 연금제도로 조달하고자 제정되었다고 본다. 이와 같은 시점에 서면, 국민복지연금법의 제정, 시행 연기, 개정 등을 국가적 자본 및 자산 형성체계와 결합하여 고찰할 수 있다. 1973년' 국민복지연금법은 중화학공업 건설 및 수출진흥을 위한 자금 조성을 위해 제정되었지만, 1차 오일쇼크를 배경으로 발생한 브래킷 크리프 현상으로 실시하기 어렵게 되자, 대안적인 재원조달 방법을 마련함으로써 시행 연기되었다. 1986년의 국민연금법은 1980년대 전반 정부관리 기금의 재원 조성 위기를 배경으로 하여 제정되었는데, 갹출금을 부담할 대상들이 국민연금제도를 수용할 유인을 강화하기 위해 수지상등이 성립하지 않는 적립방식으로 구상되었으며, 적립금의 상당부분은 공공부문 투자에 활용되었다. 국민연금제도와 관련하여 적립금의 운영 방식과 재정안정성을 위한 개혁방안이 논의될 수밖에 없게 된 것은 이와 같은 제정 배경 때문이었다.

정치 참여자의 세대적·사회경제학적·인구배경학적 대표성에 대한 인터넷의 영향 (Internet Effects on Generational,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Representativeness in Political Activity)

  • 남태우
    • 정보화정책
    • /
    • 제22권3호
    • /
    • pp.61-93
    • /
    • 2015
  • 이 연구는 인터넷을 통한 미국 시민들의 정치 참여가 참여자의 인구배경학적 사회경제학적 특성을 어떻게 하는 변화시켰는지를 분석한다. Pew Research Center의 서베이 데이터에 대한 분석은 일상적인 정치적 대화, 정부 공무원과의 접촉, 민원 제기, 정치적 기부 등의 네 가지 차원에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인터넷이 정치적 참여의 기존 패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인터넷이 참여적 불평등의 인구배경학적 분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의 부가적 도구를 제공하는 인터넷은 불평등과 비례적이지 않은 대표성의 기존 패턴들을 크게 변화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인터넷이 여전히 정치적 활동의 주요한 매개체가 아니기 때문에 인터넷의 새로운 참여를 유발하는 잠재성은 아직은 제한적으로 발현되는 경향이 있다. 인구배경학적 및 사회경제학적 특성에 따라 나누어지는 사회집단 간의 참여적 격차는 인터넷의 활용에도 불구하고 극적인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대중 민주주의의 차원에서 볼 때 인터넷의 정치 참여에 대한 효과는 동원(mobilization) 효과보다 강화(reinforcement)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정보격차의 다원모형분석 (A Multivariate Analysis of Changing Information Gaps in Korea)

  • 심상완;김정석
    • 한국인구학
    • /
    • 제24권2호
    • /
    • pp.235-253
    • /
    • 2001
  • 정보격차현상은 정보화 혹은 정보사회로의 진입과 더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상하리라 예측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관심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정보 격차 현황과 추이를 파악하려는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술적 분석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들에서 정보격차 배경변인으로 알려진 거주지역, 성, 연령, 교육수준 및 가구소득 등의 상대적 영향력과 이들 변인에 따른 정보격차가 지난 몇 년간 심화, 지속 혹은 완화되었는지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정보문화센터가 실시한 <1998년도 국민정보화인식 및 정보생화실태조사>와 <2000년도 정보생활 실태 및 정보화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컴퓨터와 인터넷 이용여부에 대한 다중로짓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998-200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에서의 남녀간 격차는 다소 줄어들었으나, 대부분의 사회집단간 격차는 지속되거나 증가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점차 가속되는 정보화과정에서 이러한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배경변인에 따른 정보격차는 사회통합과 발전에 중요한 걸림돌로 등장하며, 그에 따른 사회적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

  • PDF

온라인대학 학습자의 평정성향이 강의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arners' rating tendencies on the course evaluation results in an online university)

  • 이의길;김윤정;김주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5-66
    • /
    • 2016
  • 본 연구는 온라인대학 학습자들이 강의평가에서 보여주는 평정성향에 대해 알아보고, 그 평정성향이 강의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년 1학기에 한 온라인대학의 재학생 1,098명으로부터 인구학적 배경, 학습활동, 평정성향, 강의평가 결과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강의평가 참여율과 평정일관성 영역에서 자신만의 뚜렷한 평정성향을 보였다. 참여율이 0%와 100% 등 양극단에 몰려 있었으며, 평가문항 간 평정일관성과 전체 수강과목 간 평정일관성은 상호관련성이 매우 높았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은 인구학적 배경과 학습활동 정도에 따라 강의평가 참여일과 평정일관성, 강의평가 결과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배경, 학습활동, 평정일관성은 강의평가 결과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평정성향을 세분화하여 드러냈다는 점과, 강의평가 결과 해석 시 학습자의 평정성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인의 고향관: 그 지리학적 요인과 정서(ethos)의 관계 (Koreans Sense of Hom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thos and Relevant Geographical Attributes)

  • 이은숙;신명섭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01-42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고향의 개념을 의미론적 측면과 지리학적 입장에서 정의하고, 한국 사람들이 고향이라고 지칭하는 고향의 공간적 대상, 고향에 대한 감정과 선호, 고향의 지리적 특징 및 이미지 등을 조사하여, 이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의 본질과 정서(ethos)를 밝히려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애착은 본질적으로 고향 의식과 회귀본능과 같은 고향에 대한 인류의 보편적 정서로부터 나온 것이다. 둘째. 이러한 보편적 정서 위에 한국의 사회적 배경에서 나오는 고유한 고향의식이 첨가되었다. 사회적 배경에서 발생된 고향에 대한 강한 애착은 효에 근본을 둔 유교적 전통, 남북분단, 도시화에 따른 광범위한 실향의 결과에 의해서 형성된 정서라고 볼수 있다. 섯째, 고향이미지는 이러한 한국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으며, 자연환경적, 인문환경적, 감각적 요소가 모두 수렴된 전형적이며, 추상화된 유형으로 나타난다. 넛째, 한국인의 고향에 대한 정서는 인간의 본성으로부터 나오는 보편적 정서와 대체로는 일치하지만 개인이나 집단의 인구.사회적 배경과 공간적 체험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내면화와 외현화 행동문제집단과 정상집단 아동의 인구학적, 가족기능적 특성의 차이 (Clinical and Normal Children with Internalizing 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 Differences in Demographic and Functional Family Variables)

  • 정문자;이미리;전연진
    • 아동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1-265
    • /
    • 2007
  •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45 4th and 5th graders and their parents from 8 elementary schools in Seoul, Daejeon, and Pusan. Using the Korean Youth Self-Report (K-YS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were measured and assigned to either clinical or normal groups. Between group differences were that the educational level of mothers of internalizing girls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girls. Girls with internalizing problems had more siblings than normal girls. Parents of both boys and girls with either internalizing or externalizing problems were more rejecting and/or permissive than parents of children without behavior problems. Fathers of children with behavior problems perceived more marital conflicts, while mothers whose children have behavior problems had more negative family-of-origin experiences compared to parents of normal children.

  • PDF

정신장애인 가족의 대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milies' Coping with the Mentally III)

  • 서미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217-239
    • /
    • 1999
  • 본 연구는 일차적 보호제공자인 가족들이 만성 정신장애인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적극적 대처를 하는 것이 그들의 치료와 재활에 중요한 요소라는 전제하에 정신장애인 가족의 적극적 대처에 어떠한 요인들이 관련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총 191명의 만성정신장애인 가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보호부담, 사회적 지지가 적극적 대처와 어떤 관련을 갖는지 그리고 그러한 요인들의 적극적 대처에 대한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인구학적 배경에서는 대상 가족의 성별과 교육정도가 적극적 대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가족이 느끼는 여러 가지 보호부담과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제도적 지원부족에 대한 부담만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 척도인 판단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모두가 적극적 대처와 높은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다. 적극적 대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학적 배경, 보호부담, 사회적 지지는 적극적 대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26.2%이다. 또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적지지, 사회적, 제도적 지원부족에 대한 부담, 대상자의 교육정도가 적극적 대처에 영향력 있는 예측요인이었고 이 3가지 요인만으로도 21.9%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 가족들의 대처를 강화하기 위해 지지집단의 활성화와 정서적 지지, 교육, 가족치료를 포괄적으로 제공하는 교육 및 지지모델의 임상적 활용을 제안하였다.

  • PDF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과 교사의 배경: 미국 교사에 관한 연구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Teachers' Backgrounds: A study of U.S. Teachers)

  • 김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33-550
    • /
    • 2013
  • 교사가 어느 수준의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를 가지고 있는가는 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강력한 영향을 준다 (Hill, Rowan, & Ball, 2005). 그러나 학교나 지역 교육청이 교사의 MKT 수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어떤 교사들에게 MKT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와 재원을 줄 것인지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어떤 특징이 그들의 MKT 수준과 관련이 있는가를 탐구한다. 본 논문은 33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의 MKT와 그들의 인구학적 그리고 교육적 배경 및 교수 경험과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특히, 교사의 MKT를 측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객관식 평가 문항을 이용했다. 결국, 교수경력은 MKT 측정과 아무런 영향이 없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수학 교사 교육을 위한 정책에 대한 논의로 본 고를 마친다.

  • PDF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사회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on Their Social Welfare Consciousness)

  • 김창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33-334
    • /
    • 2019
  •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봉사활동 경험과 사회복지의식에 관한 것으로 대학생들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사회복지의식의 변화는 차이가 없으나 봉사활동 경험의 유무에 따른 사회복지의식의 변화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대학생들보다 사회복지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소득층 온라인학습 만족도 및 변인별 만족도 차이 분석: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 variables in online learning for low-income students: Seoul U-learning system)

  • 안미리;박성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9-68
    • /
    • 2013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저소득층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행해오고 있는 온라인학습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에 따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저소득층 가정 학생 대상 온라인학습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저소득층 초등학생과 중학생 대상으로 웹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에 성실하게 응답한 285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학습 서비스 만족도에 대해 다소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만족도 하위영역을 자세히 살펴보면 온라인학습 지원 기능과 학습매니저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학습 만족도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 분석을 위해 학습자 인구배경학적 변인 및 학습자 개인적 특성변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인구배경학적 변인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들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자 개인적 특성에서는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들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가정의 청소년 대상의 온라인학습서비스에서는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저소득층 청소년의 특성과 환경을 배려한 온라인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