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화학성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9초

계류수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동결융해침식토사의 영향 (Influences of the Solifluction Soil on the Physicochemistry of Stream Water Quality)

  • 박재현;이승우;최형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24
    • /
    • 2002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caused by solifluction soil on the physicochemistry of stream water quality at the riparian area four point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Bughansan National Park from March to May of 2001. The average pH of stream water was higher than those in the caused by solifluction soil. The average electrical conductivity of upstream water was about 0.8~1.7 times lower than those in the caused by solifluction soil, but the average electrical conductivity of downstream water was about 1.6~3.8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caused by solifluction soil. Theref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of downstream was worse than that of upstream. Twelve factors including the physicochemistry on the stream water and caused by solifluction soil were analyzed by spss/pc+ for the data collected from during March to May of 2001. pH of stream water was ver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at the caused by solifluction soil.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stream water was ver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amount of cation($Na^+$, ${NH_4}^+$, $Mg^{2+}$) at the caused by solifluction soil.

열풍건조시 적입 및 송풍량에 따른 황색종 연초엽의 이화학성 변화 (Effects of Leaf Loading Quantity and Circulating Air Volume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Curing in Flue-cured Tobacco Leaves.)

  • 석영선;노재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8-56
    • /
    • 1992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f loading quantity and circulating air volume during bulk curing on the variation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in flue-cured tobacco.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ontent of sugar in cured leaves was decreased with more circulating air volume and leaf loading quantity at bulk curing. 2. Total nitrogen and protein nitrogen were decreased with less circulating air volume and more leaf loading quantity, while amino nitrogen was increased. 3. The contents of linolen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increased with more leaf loading quantity and oxalic acid and citric acid had a tendency of being increased in case of high circulating air volume. 4. In general, major aromatic compounds were increased through flue-curing. Relatively high content of solanone in case of lower air volume and less leaf loading were observed, while megastig matrienone was increased when leaf loading was small. 5. The more circulation air volume with leaf loading quantity caused lowering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and higher shatter index, which resulted in poor quality of cured leaves based on quality index, nitrogen number, taste index phillips index, and sugar-nicotine ratio.

  • PDF

콩 유기재배시 춘파호밀 간작의 효과 (Effect of Intercropping of Spring-Sowing Rye for Organic Soybean Cultivation)

  • 윤덕훈;남기웅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29-538
    • /
    • 2009
  • 호밀을 간작으로 하는 콩 유기재배시 호밀의 파종시기 및 파종방법을 구명하고자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밀의 파종 계절별 콩 수확 후 근권토양 내 토양 화학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호밀의 춘파시기에 따른 콩 수확 후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를 보면 호밀의 파종시기가 늦춰질수록 유기물 함량은 높아졌으나, pH, 유효인산 및 치환성양이온의 값은 낮아졌다. 호밀을 간작으로 하는 콩 유기재배시 호밀의 파종을 3월 20일에 실시하고, 호밀을 2줄 5열로 파종을 하되 콩을 조간 70cm로 점파하였을 때 가장 높은 콩 수량을 보였다.

  • PDF

담배의 엽 발달 및 노화과정 중 이화학성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the Leaf Development and Senescence of Tobacco Plant)

  • 이상각;장병화;석영선;배길관;노재영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8-144
    • /
    • 1996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tobacco leaf during the growth period by measuring the changes of chlorophyll, sugar, lipid and mineral contents in tobacco plant. Leaf length and width have been fully developed at 25 days after leaf emergence. Dry weight was rapidly increased between 10 and 15 days after leaf emergence and reached the highest at 30 days. Crude lipid content, palmitic acid, and the major saturated fatty acid were increased with progressing senescence, while unsaturated fatty acid including linolenic acid was decreased as the senescence was advanced. The total nitrogen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at IS days after leaf emergence. On the other hand, the total sugar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at 45 days after leaf emergence and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decreased with leaf development and increased at the end of senescence. The content of chlorophyll showed the highest value at 15 days after leaf emergence and began to decrease at 30 days after leaf emergence. The contents of p, Cu, Zn, and Fe in tobacco leaves were decreased by the end of senescence after leaf emergence but those of Ca, Mg, and Mn in leaves were increased. Key words : Nicotiana tabacum chlorophyll, fatty acid, senescence.

  • PDF

영남지역(嶺南地域) 몇개 야산지(野山地) 토양(土壤)의 특성(特性) (Characteristics of Hillside Soils in Yeongnam Area)

  • 허남호;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1-245
    • /
    • 1988
  • 야산지(野山地)를 경작지(耕作地)로 전환(轉換)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영남지역(嶺南地域)을 중심(中心)으로 야산지(野山地) 토양(土壤)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일반적(一般的) 이화학성(理化學性)은 기경지(旣耕地) 토양(土壤)에 비해 불량(不良)하였다. 경사지(傾斜地)에서는 침식성인자(浸蝕性因子) K치(値)가 높고 입단안전성(粒團安定性)이 낮아 침식(浸蝕)에 의(依)한 표토(表土)의 유실(流失)이 있을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주구성점토광물(主構成粘土鑛物)은 Kaoline계(系)이고 영일(迎日)II는 Bentonite로 판단(判斷)되었다. 이들지역(地域)의 토양(土壤)은 치환성(置換性) Al 및 Fe함량(含量)이 높고 인산흡착계수(燐酸吸着係數)가 246~551(Pmg/100g)으로 높았다. 따라서 야산지(野山地)를 경작지(耕作地)로 전환(轉換)하기 위해서는 물리(物理) 및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의 개량(改良)이 선결(先決)되어야 하겠다.

  • PDF

지렁이 분립을 첨가한 유기상토가 벼의 유식물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 톱밥발효 돈분으로 생산한 분립의 첨가 - (Effect of Commercial Organic Medium Amended with Vermicast on the Growth of Rice Seedlings(Oryza sativa L.) -Amended with Vermicast of Fermented Pig Manure with Sawdust-)

  • 이주삼;김인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9-308
    • /
    • 2008
  • 유기상토에 툽밥 발효 돈분으로 생산한 분립의 첨가비율을 달리했을 때, 벼의 유식물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면도포 무처리구에서 추청 벼는 분립 20%까지의 혼합비율, 흑미 벼는 분립 10%까지의 첨가비율에서 유식물체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또한 저면도포 처리구에서는 추청 벼와 흑미벼 모두 분립 5% 혼합비율에서 유식물체의 생육이 양호하였다. 저면도포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분립 첨가비율에서 유식물체의 생육이 양호하였던 것은 뿌리신장에 의하여 토양표면에 시용된 분립으로부터 생육에 필요한 양분의 공급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장기간 벼를 육묘할 경우에는 유식물체의 생육이 양호하였던 분립의 적정 혼합비율의 범위가 갖는 상토의 이화학성의 유지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지렁이 분립의 이화학적 특성으로 볼 때, 유기 경종농업에서 토양시용 또는 상토재의 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버섯 폐상퇴비의 이화학성과 미생물 조사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organisms on the Waste Composts of Mushroom)

  • 주길재;우철주;이인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0권
    • /
    • pp.49-54
    • /
    • 2002
  • 본 연구는 팽이버섯의 병재배용 폐배지를 이용하여 폐상퇴비를 제조하고 퇴비의 이화학성 및 미생물을 분석한 내용이다. 폐상퇴비의 유기물 함량은 43.29%, 유기물함량/질소비는 27.00, 전질소함량은 1.60%, 수분함량은 46.48%, 염농도는 0,64%, $P_2O_5$는 1.32%, $K_2O$ 1.18%로 나타났다. 퇴비내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는 $1.6{\times}10^{10}$(cfu/g)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대부분이 Bacillus sp.으로 나타났고 주로 B. lentimobus, B. coagulans, B. brevis, Clostridium thermocellum, Escherichia coli 등이 존재하였고, 방선균류는 주로 Streptomyces thermovulgaris, S. thermofuscus 등 Streptomyce sp.가 주종이며, Micropolyspora faeni도 존재하였다. 곰팡이류는 Aspergillus sp. 나 Penicillum sp.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이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Effects of an Organic Fertilizer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e Amended with N) on the Yield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 임선욱;류진창;홍종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5-132
    • /
    • 1979
  •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가 비교적(比較的) 높은 토양(土壤)에서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대풍표(大豊標)) 시용(施用)이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져 포장(圃場)과 실내(室內)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가. 시험포장(試驗圃場)의 비옥도(肥沃度)가 높아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이 배추나 무우의 수량(收量)에 현저(顯著)한 영향(影響)은 못 미쳤다. 이는 공시토양(供試土壤)의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상당(相當)히 높았던 때문인 것 같다. 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특(特)히 배추의 가리농도(加里濃度)를 높게 했으며, 무우의 경우(境遇) 엽중(葉中) 가리농도(加里濃度) 증가(增加)는 무우의 엽(葉)/근(根) 비(比)를 낮게 했고 낮은 엽(葉)/근비(根比)는 근중(根重)을 낮게한 경향(傾向)이었다. 2.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가.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공극율(空隙率)을 높이고 가비중을 낮게 하여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을 개선(改善)하는 효과(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내수성(耐水性) 대립단(大粒團)의 발달(發達)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과 토양총질소(土壤總窒素)의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이나 1 회시용(回施用) 으로는 그 증가량(增加量)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pH를 낮게 하는 경향(傾向)인데 이는 이 비료중(肥料中)의 질소(窒素)가 유안(硫安)의 형태(形態)로 들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 할 수 있을 것 같다. 3. 본(本) 비료(肥料)는 유기물(有機物)과 질소(窒素)를 함유(含有)하는 비료(肥料)이므로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낮은 척박지 에서 효과(效果)가 기대(期待)되며 그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는 시험(試驗)이 바람직하다.

  • PDF

유기농 실천 논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Properties of Organically Practiced Paddy Soils)

  • 홍승길;박광래;김진호;안민실;이초롱;김민기;김석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69-76
    • /
    • 2016
  • 최적의 유기농경지 토양 관리 기준 및 양분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만들기 위해 유기농 인증을 받은 국내 75개 선도 농가를 선정하고, 논 토양에서 이앙 전에 토양 시료를 채취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기농 토양은 평균적으로 pH 6.2, 유기물 $25.6mg\;kg^{-1}$, 유효 인산 $88.4mg\;kg^{-1}$이나 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유기농과 관행농을 포함한 전국 규모 토양조사 결과에 비해 pH는 높게 나타났고, 유효 인산은 낮게 나타났으며 유기물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한편 재배년수에 따라 토양 pH와 공극률은 높아지고 있었으며, EC와 유효인산, 용적밀도, 토양 경도는 낮아지고 있었으며, 유기물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용적밀도는 표토($R^2=-0.5424$)와 심토($R^2=-0.6429$) 모두 유기물과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조사 결과 유기물과 유효 인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토양 이화학성 인자들에서 토양의 질이 향상되고 있어, 향후 유기물 관리 대책 수립과 유기농업자재로 사용가능한 인산 자재의 발굴이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 및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이 시호(柴胡)(Bupleurum falcatum L.)근(根) 중(中) Saikosaponin a, c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Soil Fertility and the Inorganic Nutrients in the Root on the Contents of Saikosaponin a, c in the Root of Bupleurum falcatum L.)

  • 장상문;박병윤;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52
    • /
    • 1990
  • 시호(柴胡)의 주(主) 약효성분(藥效成分)인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산지에서 채취(採取)한 1년근(年根) 중(中)의 saikosaponin a, c의 함량(含量)과 재배지(栽培地)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의 관계(關係)를 규명하였다. 시호근(柴胡根) 중(中)의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0.141~0.479%와 0.042~0.094%의 범위에 속(屬)하였다. Saikosaponin a의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은 시호근(柴胡根) 중(中)의 Fe의 함량(含量)과 공(共)히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