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Effects of an Organic Fertilizer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e Amended with N) on the Yield of Chinese Cabbage and Radish an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이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 Lim, S.U. (Agricultural Colleg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Ryu, J.C. (Institute of Agricultaral Sciences) ;
  • Hong, C.W. (Institute of Agricultaral Sciences)
  • Published : 1979.12.25

Abstract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n organic fertilizer (Glutamic acid fermentation by product ameded with nitrogen) on the growth and yield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 on a relatively fertile soil. Additional laboratory studies were also made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mentioned fertilizer on the phi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 of soil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 1. Effect of fertilizer on the growth and yield. a. On a relatively fertile soil with high organic matter content (3%), the organic fertilizer was not effective for the growth and yield of radish and yield of radish and chinese cabbage. b. The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increased the K contents in plants both in radish and chinese cabbage. It was observed that the high content of K in radish leave lowered the leaf/root ratio and the leaf/root rati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oot weight. 2. Effect on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 The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soil physical property by lowering bulk density and increasing porosity. b. It was found that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increased the water stable soil aggregates. c. The application of organic fertilizer did not result in the significant increase in soil organic matter. d. Soil pH was lowered by the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It was speculated that the oxidation of ammonical nitrogen in the fertilizer is responsible for the lowering of soil pH.

토양비옥도(土壤肥沃度)가 비교적(比較的) 높은 토양(土壤)에서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대풍표(大豊標)) 시용(施用)이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및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밝히고져 포장(圃場)과 실내(室內)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추와 무우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 가. 시험포장(試驗圃場)의 비옥도(肥沃度)가 높아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이 배추나 무우의 수량(收量)에 현저(顯著)한 영향(影響)은 못 미쳤다. 이는 공시토양(供試土壤)의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상당(相當)히 높았던 때문인 것 같다. 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특(特)히 배추의 가리농도(加里濃度)를 높게 했으며, 무우의 경우(境遇) 엽중(葉中) 가리농도(加里濃度) 증가(增加)는 무우의 엽(葉)/근(根) 비(比)를 낮게 했고 낮은 엽(葉)/근비(根比)는 근중(根重)을 낮게한 경향(傾向)이었다. 2.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 가.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공극율(空隙率)을 높이고 가비중을 낮게 하여 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을 개선(改善)하는 효과(效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내수성(耐水性) 대립단(大粒團)의 발달(發達)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과 토양총질소(土壤總窒素)의 함량(含量)을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이나 1 회시용(回施用) 으로는 그 증가량(增加量)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시용(施用)은 토양(土壤)의 pH를 낮게 하는 경향(傾向)인데 이는 이 비료중(肥料中)의 질소(窒素)가 유안(硫安)의 형태(形態)로 들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 할 수 있을 것 같다. 3. 본(本) 비료(肥料)는 유기물(有機物)과 질소(窒素)를 함유(含有)하는 비료(肥料)이므로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낮은 척박지 에서 효과(效果)가 기대(期待)되며 그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는 시험(試驗)이 바람직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