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혼 가정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4초

자녀가 경험한 부모 이혼과 부자가족으로의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Children's Experiences of Parental Divorce and Adaptation to Single-Father Families)

  • 김기화;양성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1호
    • /
    • pp.83-95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es of parental divorce and adaptation in single-parent families as well as examined how the experience of living in family welfare facilities influences the adaptation process of such families. The research question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was, "What is the adaption process for a singlefather family, and what influence does living in a single-father family welfare facility have on that proces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June 2013 and April 2014 that included an in-depth interview process and continuous participatory observations on 14 children residing in the facility.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heme in a two-parent family period was 'changes in reduction of family: serious conflicts between parents.' Children directly witnessed intense conflicts between parents and experienced anxiety from situations that involved verbal and physical violence during the two-parent family period. The experience of children prior to entering the facility was represented by "loss and confusion experienced." The theme for children of singlefather family in entering a facility was "selecting a realistic alternative." Children's daily activities consisted of being with friends of a similar age, which allowed them to play and support each other in building social skills. The facility departure theme for the children was "hope for a new life."

2층 고무/코드 적층판의 층간거동 (Behavior for 2 Ply Rubber/Cord Laminates)

  • 이윤기;임동진;윤희석;김민호;김춘휴
    • Composites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1-9
    • /
    • 2003
  • 타이어 벨트층의 층간거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2층 복합적층판을 고려하였다. 벨트층내의 층간전단응력 및 변형률을 측정하기위하여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폭방향 전단변형률은 핀 이용법을 활용하여 측정되었다. 이들 실험 측정값은 적층판의 중앙부에서는 고전적층판이론과 그리고, 양가장자리부에서는 Kassapoglou 및 Kelsey의 이혼과 비교 하였다. 고무는 선형탄성체의 가정하였으며. 고투/코드 복한적층판은 직교이방성재질로 단순화 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층간박리의 원인인 층간전단응력은 고무내부의 양가장자리부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다. 결과값은 중앙영역에서 고전적 층판이론과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양가장자리부에서는 이론값들과는 다소 차이를 보였다.

이혼가정의 경제상태 및 양육행동이 자녀의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양육부/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Economic Condition and the Parenting o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in Divorced Families - A Comparison of Custodial Fathers and Mothers -)

  • 김영희;손정연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7-55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conomic conditions and parenting of custodial fathers/mothers and to explain their impacts on the children's social adjustment after divorce. A total of 185 custodial parents divorced within the last 5 year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Children's social adjustment wa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and was defined as their school performance and behavior problems. Results show that compared with divorced custodial fathers, divorced custodial mothers demonstrate more effective parenting,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conomic conditions between them. In addition, children in single-father divorced families have lower school grades and more behavior problems than those in single-mother divorced families.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economic conditions and parenting have different effects for children across family type. For children raised with a custodial father in divorced families, the economic conditions and the divorce duration are associated with lower school grades and behavior problems. For children with a custodial mother, however, the effective of parenting and the children's ag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hildren's social adjustment after the parent divorc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trategies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adjustment in divorced families.

  • PDF

이혼한 여성 한부모가족의 가족 레질리언스에 대한 질적분석 (Qualitative Analysis the Family Resilience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 유순희;정민자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603-612
    • /
    • 2013
  • With the increase of single-parent families in the Korean society, the perception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family is changing. Thus, a public transition toward embracing single-parent families as another form of family is necessary. This study focuses on the families of divorced female single-parents using Walsh's family resilience framework with a strengths-based perspective. It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deducing policy-related and practical ways of supporting the families and for developing programs that help divorced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maintain and reinforce resilience. Qualitative analysis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A preceding literature review was also carried out to collect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age of divorce is around 30-40, with children of school age. The mothers' level of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ranging from high school graduates to graduate school students. On Rothwell and Cohen's happiness scale, their objective level of happiness was higher (74.1) than that of the average Korean (64). Second, it was found they were very careful to avoid violence in everyday life as an after-effect of domestic violence, which was the major cause of their divorce. Third, their positive and optimistic attitudes about life even in adversity can be interpreted as Walsh's belief systems taking a more important role among other characteristics of family resilience.

결혼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종단분석 및 아동기 부모 이혼의 조절효과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ransition into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and Childhood Parental Divorce as a Moderator)

  • 이윤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1호
    • /
    • pp.113-125
    • /
    • 2021
  • Previous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is limited due to the lack of attempts to investigate the time profiles of life satisfaction around marriage. This study addresses unresolved questions abou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ests if it is moderated by childhood parental divorce. Using 14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N=3,890 individuals or 25,338 person-year observations), the author first used an ordinary least squares model with clustered standard errors and found that married people reported higher life satisfaction before marriage, compared to people who remained single during the survey. This result supports a social selection perspective. Next, the author used a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 and found that the transition into marriage was associated with an initial rise and subsequent decline in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fter reaching its lowest level in the third year of marriage. Life satisfaction after the transition into marri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bserved three or more years prior to marriage. The result supports a social causation perspective. Such changing patterns were not moderated by parental divorce during childhood. This study advances the current literature o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by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data set as well as by testing social selection and causation perspectives.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 (Relationships with the family of origin of youth transitioning from out-of-home care)

  • 김수정;김지선;정익중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8호
    • /
    • pp.1-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이 원가족과 어떠한 관계를 경험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4개의 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는데, 4개의 범주는 '혼돈 속의 헤어짐', '다시 만났지만 거리가 생김', '완전히 끝나버린 관계', '새로 만드는 가족의 경계'로 구분되었다. 첫째, 빈곤이나 이혼 등의 문제로 부모와 분리된 연구참여자 3명은 부모와 다시 재회를 하였고, 퇴소 이후에도 관계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자립하는데 있어서 부모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지원을 통해 안정적으로 자립을 해가고 있었다. 둘째, 심각한 아동학대, 부모의 죽음으로 부모와 분리된 경우는 부모와의 관계가 단절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원가정이 아닌 새로운 대안관계를 통해 자립해 가고는 있지만 다소 불안정한 전이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참여자의 원가족 관계 경험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애증의 외줄타기"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를 돕기 위한 아동복지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이혼위기에 있는 결혼 초기 부부에 대한 부부치료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Marital Therapy for Newly Wedded Couple in Divorce Crisis)

  • 박태영;김태한;김혜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3호
    • /
    • pp.93-114
    • /
    • 2009
  •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spousal confli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 of family in couple, the intervention techniques of the family therapist, and the processes of change in couple through family therapy. The total family counseling was 9 sessions, which included individual and couple therapy. The study used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by using open coding method to find the factors. The study suggested the whole model for the study, which could be shown the processes of family therapy in this case study, by using graphical network display.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husband and wif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 of family in couple, the intervention techniques of the family therapist, and the processes of change in husband through family therapy by using matrix.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many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to cause spousal conflicts and characteriscts in family of origin to influence the crisis of divorce.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to treat the couples in the crisis of divorce were facilit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husband's differentiation of self from family of origin, and understanding about the perspectives of family members. As result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there were showed the spousal change of recognition to each other, husband's differentiation of self, wife's growth of self, and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인권과 사회통합관점에서 본 여성결혼이민자 관련법 (The Law Regarding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and Social Integration)

  • 위인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17-327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세계화를 통하여 한국에서 급속하게 증가하는 여성결혼이민에 따른 다문화가족이 직면하고 있는 위장.계약결혼, 그리고 잦은 이혼, 특히 농촌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겪고 있는 문화차이에 따른 부부갈등, 부부간의 폭력과 학대 등 인종, 계층, 지역을 떠나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반하는 현실적인 인권문제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보장하고, 그들이 우리사회의 일원으로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 논문은 결혼이민자의 가정을 위기의 상태로 계속 방치할 경우 막대한 사회적 비용과 함께 향후 사회통합에 심각한 장애로 대두될 것임은 명확 관화한 일이기에, 다문화사회라고 하는 현실에 대처하는 각국의 입법례에 관하여 연구 검토하고, 민주 인권 평화의 도시를 표방하면서 유엔인권도시를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광주광역시에서의 결혼이주여성 실태조사를 통해 기존의 통계자료와 비교해 보면서 한국의 <다문화가족지원법>의 문제점과 <결혼 중개업의 관리에 관한 법률> 및 <국적법>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중 인물지칭 신어의 사회·문화적 양상에 대한 고찰 -2017년~2018년 인기 신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Patterns of Korean-Chinese New Words)

  • 왕연;주봉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9호
    • /
    • pp.39-45
    • /
    • 2022
  • 인물지칭 신어는 일상생활에서 사용 빈도와 전파 속도가 높으며, 만들어진 시대의 생활양식이나 문화현상을 잘 반영한다. 본 연구는 2017년과 2018년 한국과 중국에서 생겨난 인물지칭 신어를 바탕으로 당시의 사회·문화 현상을 비교 분석했다. 한·중 양국의 인물지칭 신어를 개인생활, 가정생활, 직장생활 세 분야로 나누고, 연구 방법은 정성분석과 대조 분석을 채택했다. 한국에서는 자신의 기준에 따라 행복을 추구하는 다양한 생활방식이 생겨났으며, 합리적이고 절약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가 늘어났다. 반면 중국에서는 무절제한 쇼핑이 이슈가 되었다. 한국에서는 미혼이나 비혼의 청년 1인 가구가 많았으며 중국에서는 결혼 후 1인 가구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중국에서는 도시화에 따른 이혼이 급증하였고, 한국에서는 자녀의 독립 후 이혼을 택하는 부부가 많았다. 한국의 자녀는 결혼 후에도 육아 등을 부모에게 의지하는 경우가 많았고, 부모 세대는 노후에 빈곤하고 소외되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중국에서는 조기 유학 열풍이 불었다. 한국과 중국 청년층은 구직난을 겪었고 취업 후 고단한 직장생활을 자조하며 이직이나 퇴직을 준비하기도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최신 신어 자료를 보강한 후 한국어 신어 지도방안을 연구하면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형 결혼관 척도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Scale for Korean Marriage Values)

  • 남순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4호
    • /
    • pp.1-27
    • /
    • 2007
  • 1970년대 이후 현재까지 결혼관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그 당시 결혼에 대한 생각들을 알아보기 위한 실태조사에 그치고 있다.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결혼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특히, 젊은이들의 결혼관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최근 서구의 결혼관이 많이 유입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도 그 이면에는 과거 전통적인 제도적 결혼관이 뿌리박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관을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형 결혼관 척도를 통하여,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젊은이들의 가치관 혼재에 따른 갈등을 예측해보고, 기혼부부의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가정형성을 위하여 성공적인 결혼과 결혼 전·후의 심리적인 문제들을 탐색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보고자 한다. 275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문항선정 예비연구와 1,283명의 기혼부부들을 대상으로 결혼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한국형 결혼관 척도에서는 '전통적인 결혼', '성공적인 결혼', '결혼의 불합리성', '결혼의 필요성', '동거', '이혼 및 재혼'의 6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기존의 척도와도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각 하위척도들의 신뢰도 계수는 Cronbach α=.63 에서 .88로 비교적 신뢰롭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