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s with the family of origin of youth transitioning from out-of-home care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

  • 김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지선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정익중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3.20
  • Accepted : 2017.06.16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of origin and youth transitioning from out-of-home care.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youths transitioning from out-of-home care and were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ur categories and twelve subcategories were drawn from the meaning units. The four categories were 'chaos in separation', 're-established relations but with distance', 'completely ended relationships with the family of origin', and 'redrawing family boundaries'. First, the participants who were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due to poverty or divorce reunited with their parents, and they appeared to continue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family of origin after transitioning from out-of-home care. The youth were receiving various forms of support from their parents in order to be independent, and they were experiencing stable independence through this support. Second, the participants who were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due to serious child abuse or parental death had broken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The youth were independent and relied on new alternative relationships that were not with the family of origin, but they experienced somewhat unstable self-reliance. In short, participants' relationships with families of origin in this study can be defined as a tight rope between love and hate. Based on these results, child welfar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help out-of-home care youth's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of origin.

본 연구에서는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이 원가족과 어떠한 관계를 경험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 6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4개의 범주와 12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는데, 4개의 범주는 '혼돈 속의 헤어짐', '다시 만났지만 거리가 생김', '완전히 끝나버린 관계', '새로 만드는 가족의 경계'로 구분되었다. 첫째, 빈곤이나 이혼 등의 문제로 부모와 분리된 연구참여자 3명은 부모와 다시 재회를 하였고, 퇴소 이후에도 관계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자립하는데 있어서 부모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지원을 통해 안정적으로 자립을 해가고 있었다. 둘째, 심각한 아동학대, 부모의 죽음으로 부모와 분리된 경우는 부모와의 관계가 단절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원가정이 아닌 새로운 대안관계를 통해 자립해 가고는 있지만 다소 불안정한 전이를 경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참여자의 원가족 관계 경험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애증의 외줄타기"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퇴소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를 돕기 위한 아동복지 실천적 및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