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Scale for Korean Marriage Values

한국형 결혼관 척도 개발 연구

  • 남순현 (호남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07.07.10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Most of the researches on the view of marriage from 1970s until now have merely been the status survey to get a glimpse of thoughts on the marriage of the time. It is true that the recognitions of marriage in the recent days, especially those of the youth are going through a great deal of changes. However, it is also recognized that although westernized views on marriage recently are flooding in, still the traditional perspectives are firmly rooted underneath.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predict the potential conflicts from diversified marital perspectives of the youth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pplying the Korean views on marriage as an effort to develop views on marriage in scientific way, analyze the psychological problems before and after marriage, and pursue successful marriage to form a stable and desirable family. As for the method, questions were selected by 275 university students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arriage views by 1,283 married couple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The scale for Korean marriage values were summarized to six factors - 'traditional marriage', 'successful marriage', 'irrationality of marriage', 'necessity of marriage', 'cohabitation', and 'divorce and remarriage', showing high correlation with the existing scales,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each subscale indicated as comparatively reliable with the value of Cronbach α=.88 at Cronbach α=.63.

1970년대 이후 현재까지 결혼관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그 당시 결혼에 대한 생각들을 알아보기 위한 실태조사에 그치고 있다. 현대사회에 들어서면서 결혼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특히, 젊은이들의 결혼관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여전히 최근 서구의 결혼관이 많이 유입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도 그 이면에는 과거 전통적인 제도적 결혼관이 뿌리박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관을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발전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한국형 결혼관 척도를 통하여, 현대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젊은이들의 가치관 혼재에 따른 갈등을 예측해보고, 기혼부부의 안정적이고 바람직한 가정형성을 위하여 성공적인 결혼과 결혼 전·후의 심리적인 문제들을 탐색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보고자 한다. 275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문항선정 예비연구와 1,283명의 기혼부부들을 대상으로 결혼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한국형 결혼관 척도에서는 '전통적인 결혼', '성공적인 결혼', '결혼의 불합리성', '결혼의 필요성', '동거', '이혼 및 재혼'의 6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기존의 척도와도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각 하위척도들의 신뢰도 계수는 Cronbach α=.63 에서 .88로 비교적 신뢰롭게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06년도 호남대학교 교내공모 연구과제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것임.

References

  1. 권오주 (1989). 결혼관에 나타난 결혼이데올로기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권정혜, 채규만 (1999).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I.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123-139.
  3. 김명자 (1992). 성의식의 남녀차이에 관한 연구: 구미공단 상담사례를 중심으로. 효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봉소 (1969). 미혼 남자의 이상적 배우자에 관한 연구: 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의한. 경북대학교논문집, 15.
  5. 김혜선, 박혜인, 옥선화 (1996). 가족관계학. 서울: 한국방송대학출판부.
  6. 김영옥 (1999). 우리나라 여대생의 배우자선택 및 결혼관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8(1), 29-44.
  7. 김철자 (1977). 인천 교대생의 결혼관 조사연구. 인천교육대학교 학생지도연구, 5.
  8. 김혜선, 김영희 (1983). 배우자 선택과 성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 107-125.
  9. 김혜선, 신수아 (2002). 결혼준비도 척도 개발 연구: 기혼 남.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0(3), 41-53.
  10. 김혜향 (1969). 졸업반 여대생들의 결혼관의 조사연구. 사회학지, 2.
  11. 남순현 (2004). 가족 내 세대갈등과 통합.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2), 1-15
  12. 남순현, 한성열 (2002). 가족분화수준, 가족관계의 질 및 친밀감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33-49.
  13. 박경숙 (1993). 한국여성의 교육수준별 결혼유형의 변화.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영신, 김의철 (2006). 한국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61-195.
  15. 박인덕 (1973). 한국인의 결혼관에 관한 연구. 아세아여성연구, 12.
  16. 백남희 (1986). 결혼적령기 남녀의 배우자 선정조건: 서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서정아 (1994). 충남대학교 재학생들의 결혼관과 연애관에 대한 조사. 충남대학교 학생 생활연구, 19.
  18. 송대현 (1969). 결혼생활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태도: 남녀의 역학기대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 3.
  19. 신혜성 (1987). 한국인의 결혼구조 변화에 대한 분석: 1935-1985년 인구센서스 자료의 15-34세 연령집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안해옥 (1987). 미혼 남자대학생들의 결혼관에 대하여: 광주직할시 의학계 미혼남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양명숙 (1996). 예비부부세대의 결혼관과 자녀관 그리고 성역할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2), 167-182.
  22. 연합뉴스 (2005. 11. 8). 서울시 여성 40%, "결혼 안 해도 무방."
  23. 옥양련 (1977). 한국 미혼여성의 결혼관: 부산시내 은행여성을 대상으로. 부산대학교논문집, 16.
  24. 유영주 (1976). 한국가족에 있어서의 결혼연구: 현대인의 결혼관 조사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논문집, 2.
  25. 이경숙 (1980). 미혼 근로자와 대학생의 결혼관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성해 (1979). 한국여성의 결혼과 변화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연세사회학, 3.
  27. 이온죽 (1982). 농촌부락의 결혼 실태와 태도에 관한 연구: 3개 부락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정임 (1978). 일부 미혼여성들의 성, 결혼 및 가족계획에 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논총, 25.
  29. 이해춘 (1987). 결혼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연구. 원광대학교 교육연구, 6.
  30. 임진 (1992). 일부 미혼여성의 결혼관에 대한 조사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정윤경 (1997). 우리나라 성인의 결혼관 연구: 성별, 결혼여부별, 지역별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연구논집, 32.
  32. 정현숙 (2001).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 205-224.
  33. 조영숙 (1980). 전문대학 여대생의 결혼과에 대한 조사연구. 순천농업전문대학교논문집, 17.
  34. 최재석 (1979). 제주도의 결혼. 가족학논집, 1.
  35. 최호원 (1983). 혼인의식에 나타난 배우자 선정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한남제 (1974). 한국 도시주민의 결혼관. 여성문제연구, 3.
  37. 한덕웅 (2003). 결혼적응검사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679-705.
  38. 홍두승 (2000). 사회조사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39. 홍준숙 (1987). 미혼남녀의 결혼관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통계청 (2006). 전국 결혼, 출산 동향조사.
  41. Drew, E. (1998). Re-conceptualizing family, women, work and family in Europe. N.Y.: Routeledge.
  42. Larson, J., & Holman, T. B. (1994). Premarital predictors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Family Relations, 43, 228-237.
  43. Lee, G. R. (1977). Age at marriage and marriage satisfaction: A Multivariate analysis with implications for marital 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3-504.
  44. Lewis, R., & Spanier, G. (1979).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W. Burr., F. Nye, & I. Reiss(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New York: The Free Press.
  45. Locke, H. (1951). Predicting adjustment in marriage: A comparison of a divorced and a happily married group. New York: Holt.
  46. Marini, M. M. (1976). Dimensions of marriage happiness: A research not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3-448.
  47. Powers, W. G., & Hutchinson, K. (1979). The measurement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in the marriage relationship.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 Roach, A. L., Frazier, & Bowden, S.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Development of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 537-546.
  49. Sabateilli, R. M. (1984). The marital comparison level index: A measure for assessing outcomes relative to expectation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89-95.
  50. Schumm, W. R., Jurich, A. P., & Bollman, S. R. (1986).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by a sample of 84 married mothers. Psychological Report, 53, 567-572.
  51. Spanier, G. B. (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 15-28.
  52. Terman, L. (1938). Psychological factors in marital happiness. New York: McGraw-Hall Book Company.
  53. Westermarck, E. A., 최달곤, 정동호 역(1981). 인류혼인사. 박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