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직행동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8초

2단계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직무만족도와 이직행동에 관한 연구 -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Behavior with 2-Stage Logistic Regression: In Case of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 정성석;이기훈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5권6호
    • /
    • pp.859-873
    • /
    • 2008
  •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는 이직의사와 높은 연관성을 갖고 이직의사는 이직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직무만족도가 이직행동에 영향을 주는가를 조사하였다. 이직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에서 이직행동을 종속변수로 하고 이직의사를 독립변인으로 모형화 하였을 때, 이직의사는 직무만족도, 급여, 근로형태 등의 다른 독립변수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이직행동에 유의한 변인을 검출하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자료에서 이항 변수인 이직의사를 도구변수에 의해 확률값으로 추정하고 이를 이직행동 모형에 독립변인으로 대입하는 2단계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함으로써 이직행동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요인을 검출하였다.

중소기업 종사자의 조직지원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ME Work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 고연경;정기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620-63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조직지원인식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조직지원인식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조직지원인식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는 감소하지만,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개입하게 되면 조직지원인식이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영향력에 다시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지원은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개입되어도 이직의도가 여전히 나타나지만, 수단적 지원은 상사의 비인격적 행동이 개입되면 이직의도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직의도가 높은 중소기업의 제조 서비스, 반도체, IT 업종을 대상으로 영역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블랙컨슈머행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Black Consumer Behavior on the Intention of Turnover: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 양진호;권혁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139-145
    • /
    • 2019
  • 본 연구는 블랙컨슈머행동이 조직구성원에게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블랙컨슈머행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른 분석 결과 블랙컨슈머행동의 상습성, 기만성, 과도성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기만성과 과도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가 존재한다는 결과를 통해 심리적 계약위반에 대한 지각을 감소시키는 노력을 통해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음을 밝혔다.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를 줄이기 위한 블랙컨슈머 접근 금지 정책이나 감정노동 수당 등의 보상시스템 등의 대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고객의 행동과 조직구성원의 행동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조직시민행동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on Employee Engagement and the Intention to quit)

  • 허제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02-41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조직시민행동이 결과변수가 아닌 원인변수로서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직무몰입,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최종적으로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시민행동의 5가지 하위요인 중 이타주의 행동과 예의있는 행동은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양심적 행동, 참여적 행동, 정정당당한 행동이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며, 그중 참여적 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업원 조직몰입에는 조직시민행동 요인 중 참여적 행동, 정정당당한 행동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참여적 행동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조직시민행동 요인 중 참여적 행동과 정정당당한 행동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 모두에 영향을 미치며, 그중 참여적 행동의 영향이 더욱 크다고 나타났다. 셋째, 조직시민행동 요인 중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참여적 행동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타주의 행동, 양심적 행동, 예의있는 행동, 정정당당한 행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의 요인 중 참여적 행동과 정정당당한 행동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참여적 행동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기업은 생산성 향상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종업원 인게이지먼트 증대를 위해서 뿐 아니라 조직 및 생산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종업원들의 참여적 행동을 높일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결국, 조직은 조직구성원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업무에 열정과 헌신으로 기여할 수 있는 환경조성이 매우 중요하다.

KTX승무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TX Attendants' Emotional Labor on Emotion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 김태성;허찬영;황보작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1-77
    • /
    • 2013
  • 본 연구는 KTX승무서비스 종사자 263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을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으로 구분하고, 각각 감정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KTX승무서비스 종사자의 내면행동은 감정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표면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TX 승무서비스 종사자의 내면행동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나, 표면행동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KTX승무서비스 종사자의 감정소진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KTX승무서비스 종사자의 이직예방을 위해서는 감정관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하고 있다.

해기사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Turnover Intentions in Marine Officers as Mediat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 이창영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787-797
    • /
    • 2020
  • 해기사는 복합적이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전문직으로서 해운조직 내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육상근무와 달리 해상에서는 고립된 공간에서의 생활, 정해진 항해기간동안 지속적인 교대근무와 고강도의 업무 긴장감 및 스트레스, 사회적 고립감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이직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기사의 조직시민행동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대기업, 중소기업, 공기업 3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 간 차이를 구조방정식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3그룹 간 분석 결과, 해기사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요인들, 그리고 이직의도의 크기를 확인하였을 때, 충성심과 이직의도가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조직시민행동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간접효과를 확인하였을 때 충성심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관계지향 시민행동은 충성심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공기업을 제외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에서는 각각 비표준화경로계수가 -0.229±0.117과 -0.319±0.06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해운회사의 직원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조직시민행동뿐만 아니라 조직몰입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호텔기업의 고용관계특성이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셀프리더십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in Employment Relations)

  • 김정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167-17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호텔 기업의 고용관계 특성이 조식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어떤 여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셀프리더십의 조절로 얼마나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기존연구에서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조직시민행동을 그리고 장기근속을 대변하는 변인으로 이직의도를 다루는 연구들은 상당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서비스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기근속을 증가시켜줄 수 있는 방법으로 중요한 변인으로 셀프리더십의 조절을 보려고 한다.

  • PDF

간호업무수행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조절 및 매개효과 분석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etween Nursing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 김은희;이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250-262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업무수행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D지역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간호사 총 439명에게 자가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PASW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였다.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위계적 회귀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시민행동은 간호업무수행과 이직의도와의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업무수행이 높은 임상 간호사의 이직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조직시민행동을 향상시키는 방안과 간호업무수행과 조직시민행동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연구가 필요하다.

병원고객의 불량행동이 감정부조화와 감정고갈을 매개로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감정노동전략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Hospital Customers' Disgruntled Behaviors on Turnover Inten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using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Exhaustion as Mediators: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Labor Strategy)

  • 한나영;배상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13-12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객 불량행동이 서비스 종사원의 감정부조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감정부조화가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고갈이 이직의도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고객 불량행동과 감정부조화 간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전략(표면행동, 내면행동)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병원에 종사하는 종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량행동은 감정부조화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부조화는 감정고갈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며 셋째, 감정고갈은 이직의도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 고객지향성에는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종속변수인 감정부조화에 대해서, 불량행동과 조절변수인 표면행동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불량행동과 조절변수인 내면행동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직장인의 경력관리행동이 고용가능성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일-삶 균형과 커뮤니케이션 풍토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areer Management Behavior on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a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Life Balance and Communication Climate)

  • 홍준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5권3호
    • /
    • pp.179-202
    • /
    • 2019
  • 본 연구는 청년 직장인들의 경력관리행동이 고용가능성 상승을 통해 오히려 이직의도를 높일 수도 있다는 가정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에 더하여 고용가능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일-삶 균형과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풍토에 대한 지각이 중재변인으로서 조절된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만 34세 이하의 일반직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분석 결과, 첫째, 경력관리행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고용가능성의 정적인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일-삶 균형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산출되었으나, 고용가능성과 이직의도의 정적인 관계는 일-삶 균형의 수준이 높을수록 강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풍토는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는 물론, 고용가능성과 이직의도의 관계도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 검증에 실패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해석과 함께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