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물질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31초

조선시대 은제금도금불상과 그 복장품의 보존처리 및 재질연구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Gilding Silver Buddhas and Relics Discovered Inside Buddha of Joseon Period)

  • 권윤미;박승원;유혜선;최희윤;윤은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9권
    • /
    • pp.31-49
    • /
    • 2008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구입한 조선전기 소형불상 3점을 보존처리하고 X-선촬영과 X-선형광분석, 현미경조사를 통해 내부구조와 조성, 제작기법 등을 조사하였다. 3점의 불상은 중공식(中空式) 주조품으로, 직물·금속·유리·목재편 등 다양한 재질의 복장품이 확인되었다. 복장직물은 조사결과 늦어도 조선전기~중기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Ag 약 80~90%, Cu 약 7~15%인 은합금재질에 수은아말감 금도금을 한 은제금도금불상이며 용도에 따라 재료의 조성을 달리하였다. 보존처리 중 이물질제거 단계에서 물리적인 방법과 EDTA-2Na를 사용한 화학적 방법을 병행하였고, 그 결과 다양한 표면 장식기법과 제작 기법이 드러났다.

황남대총 남분 출토 용문투조은판피안교의 보존과 제작기법 연구 (A Study on Conservation and Manufacturing Technique of Saddle Ornament(Angyo) Excavated from South Tomb Hwangnamdaechong)

  • 권희홍;전효수;윤은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2권
    • /
    • pp.59-69
    • /
    • 2011
  • 황남대총 출토 용문투조은판피안교의 보존처리 과정과 제작기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보존처리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병행하여 이물질제거를 실시하였으며, 강화처리와 함께 결실 및 취약한 부분은 접합·복원하였다. 안교금구와 좌목선금구 분석결과 은(Ag)이 99 wt%이상이며, 원두정, 내연금구, 복륜은 구리 위에 수은아말감 금도금기법으로 제작하였다. 은판으로 투조된 안교금구와 좌목선금구의 결합방법은 두금구를 포갠 후 내연금구를 올려 놓고 금동원두정을 일정 간격으로 박아 결합시켰다. 그리고 곡선 형태로 생장한 나무를 의도적으로 목심으로 사용하였으며, 마(麻), 모(毛) 종류의 평직직물이 부착되어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안면부 및 경구개부 기형을 초래한 거대 여포성 치아낭종 1례 (A Case of the Dentigerous Cyst which produce the Facial and Palatal Deformity)

  • 박순일;문태용;이석용;윤강묵;심상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2.1-12
    • /
    • 1981
  • 여포성 치아낭종은 치아여포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낭종으로서, 매몰 혹은 미립치아의 치관부가 완전히 형성된 이후에 치관부와 퇴행성 변화를 일으킨 사기질 상피 사이에 액체가 저류되어 낭종으로 발달된 것을 말한다. 여포성 치아 낭종은 전 치성낭종의 약 20%를 차지하며, 영구치에서 잘 생긴다. 하악골에 주로 발생하며, 특히 매몰치아가 흔한 하악골색 제 3 대구치, 상악골의 견치에서 잘 볼 수가 있다. 안면부 기형이 나타날 때까지는 임상증세가 없는 것이 보통이나 종들이 커지면 안면부 기형과 함께 구개부 융기, 종물부위의 이물감, 암통 및 인접치아의 치근 흡수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드물게는 범람종, 상피암 및 점막상피암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기적출을 하는 것이 좋다. 진단방법으로는 X-선 촬영이 중요하며 이때에 치관주변부가 투명하게 나타난다. 저자들은 최근 안면부 기형 및 경구개 융기를 초래한 거대 여포성 치아남종이 있던 15세 남자 환자를 치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LUORIDE RELEASING ORTHODONTIC SEALA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AND CHEMICAL-CURED ORTHODONTIC RESINS)

  • 김봉현;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81-789
    • /
    • 1997
  •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위해 최근에 발거된 소구치 65개를 대상으로 발거직후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생리식염수에 담구어 보관한 후 법랑질을 퍼미스 및 $38\%$ 인산으로 표면 처리하고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로는 광중합형 FluoroBond, 광중합 접착제로는 Transbond, 화학중합 접착제로는 Mono-Lok 2를 선정하여 1차 부착 및 재부착시의 전단결합강도를 만능강도시험기로 측정함으로서, 치아우식 예방 및 진행 억제효과를 지닌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재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변화를 규명하고, 광중합형 접착제와 화학중합형 접착제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1차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크기는 Mono-Lok2군(11.84MPa), Trans bond군(10.75MPa),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 2군(9.69MPa),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군(9.39MPa)순이었다. 2. 재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크기는 Transbond군(7.40MPa),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군(6.48MPa), Mono-Lok 2군(5.89MPa),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 2군(5.15MPa)순이었다. 3.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적용한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화학중합형 접착제가 광중합형 접착제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적용한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재부착된 광중합형 접착제가 재부착된 화학중합형 접착제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없었다(p>0.05). 5. 1차 부착된 군에 비해 재부착된 모든 군에서 전단결합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01).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볼 때 임상적으로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경향을 미치지 않는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치아 협면에 적용하여 불소의 유리에 의한 치아우식 예방 및 억제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퇴원손상심층자료를 이용한 환자안전지표의 적용 (Application of Patient Safety Indicators using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 김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293-2303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환자안전지표 산출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조사방법: 환자안전지표의 정의는 OECD에서 AHRQ에 근거하여 작성한 보건기술문서 19의 기준을 이용하였고, 이에 따라 2004-2008년 퇴원손상심층조사 875,622건에서 환자안전지표(PSIs)를 산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환자안전지표별 비율의 변이요인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2004-2008년간 약 80만 건의 퇴원 중에서 8개의 환자안전지표에 해당하는 위해사건은 3,084건이었다. 욕창(PSI3, 4.88), 시술 중 이물질 체내 잔류(PSI5, 0.05), 수술 후 패혈증(PSI13, 1.32), 출생손상-신생아(PSI17, 7.92), 산과적 외상-도구를 이용한 질식 분만(PSI18, 32.81)의 퇴원 1,000건당 비율은 모두 OECD 환자안전지표 비율의 최소-최대 범위 내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내과적 치료에 의한 감염(PSI7, 0.22), 수술 후 폐색전증 또는 심부정맥혈전증(PSI12, 0.90), 우발적 천공 또는 열상(PSI15, 0.71)의 퇴원 1,000건당 비율은 OECD 환자안전지표 최소값에 못 미쳤다. PSI 18을 제외한 7개의 지표값 모두 부진단명의 개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자안전지표 비율은 환자특성을 보정했을 때, 병상규모 및 병원소재지 등 병원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국가적인 행정자료를 이용하여 위해사고를 스크리닝 하는 환자안전지표를 산출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료의 질, 임상 관련 변수 등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여전히 있지만, 환자안전에 대한 국가적인 통계를 추계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위해사건으로 인한 사망 규모 산출 등의 결과연구가 필요하다.

독활(獨活)(Aralia continentalis K.) 주산지(主産地) 토양특성(土壤特性)과 시비양분(施肥養分)이 근경수량(根莖收量)에 미치는 영향 -II. 3요소(要素) 시비수준별(施肥水準別) 수량반응(收量反應)과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吸收) (Effect of Soil Characteristics and Fertilizer Application on Fresh Root Yield of Aralia continentalis K. -II. Yield Response to N, P, K Application rates and Nutrient Uptake)

  • 오동훈;황남열;나종성;박건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9-214
    • /
    • 1994
  • 독활(獨活)에 대(對)한 3요소(要素) 시비량(施肥量) 차이(差異)가 생육(生育) 및 수량반응(收量反應)과 양분흡수(養分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 적정(適正) 시비량(施肥量)을 얻고자 축행(逐行)과 시험결과(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시비량(施肥量) 증가(增加)에 따라 파종후(播種後) 1년차(年次)와 2년차(年次) 공(共)히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과 뿌리수량(收量)이 증가(增加)되었고 회귀식(回歸式)에 의한 2년차(年次) 3요소(要素)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턴은 10a당(當) 질소(窒素) 38kg, 인산(燐酸) 21kg, 가리(加里) 18kg이었다. 2. 독활(獨活)의 뿌리수량(收量)에 대(對)한 제형질(諸形質)의 기여도(寄與度) 값을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초장(草長), 근경(根徑), 묘두수(苗頭數), 경대(莖大), 근수(根數) 순(順)으로 나타났다. 3. 3요소별(要素別) 상대수량(相對收量) 지수(指數)는 질소(窒素), 가리(加里), 인산(燐酸) 순(順)으로 낮았고, 시비효율(施肥效率)은 가리(加里), 인산(燐酸), 질소(窒素) 순(順)으로 높았다. 4. 독활(獨活) 잎의 무기성분(無機成分) 분석결과(分析結果) 석회함량(石灰含量)이 가장 많은 반면(反面), 인산함량(燐酸含量)이 적게 함유(含有)되어 있고 질소(窒素)와 가리(加里) 시비량(施肥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잎의 질소(窒素)와 가리함량(加里含量)도 증가(增加) 경향이었으며 특히 질소함량(窒素含量)이 뿌리수량(收量)과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5. 무기질비료(無機質肥料)와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처리간(處理間)의 생약(生藥) 일반성분함량(一般成分含量) 즉 이물함량(異物含量), 회분(灰分), 에탄올 추출 엑기스를 비교(比較) 분석(分析)한 결과 두 처리(處理)간에 뚜렷한 성분함량(成分含量)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 PDF

세척방법에 따른 신선편이 슬라이스 더덕의 저장 중 품질 특성 변화 (Effect of wash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freshly cut sliced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during storage)

  • 최덕주;이윤정;김윤경;김문호;최소례;차환수;윤예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51-759
    • /
    • 2013
  • 세척방법 차이에 따른 신선편이 슬라이스 더덕의 저장 중 품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0^{\circ}C$에서 저장 실험을 진행하였다. 저장 10일 후에 무세척구와 손세척은 전체의 80.3% 더덕이 부패되어 상품성을 상실하였을 뿐만 아니라 조직감의 연화도 급격히 진행되어 측정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버블세척구들은 20.4~30.1%의 중량 손실만을 보였으며, 특히 마이크로버블세척구는 저장초기에 비하여 11.1%정도의 조직감만 감소하여 저장 중 변화가 가장 적었다. 슬라이스 더덕의 표면색도 갈변화를 최소화시키며 저장 중 색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중 수분함량의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는데, 특히 무세척구와 손세척은 각각 74.6, 78.3%로 수분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저장 중 미생물의 수도 마이크로버블세척, 일반버블세척, 손세척, 무세척구 순으로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와 video microscope system을 이용하여서도 마이크로버블 세척구는 이물질이 발견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다른 처리구들보다 세척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마이크로버블세척을 하여 슬라이스 더덕을 저장하는 것이 품질유지에 가장 적합하였으며, 저장수명도 10일($10^{\circ}C$ 저장시)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가축분뇨 병합처리 바이오가스화를 위한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 마련 연구(II) - 정밀모니터링 결과 중심으로 -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echnical Guideli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for the Efficient Bio-gasification Facility of Pig Manure and Food Waste(II): - Results of the Precision Monitoring -)

  • 이동진;문희성;손지환;배지수
    • 유기물자원화
    • /
    • 제25권3호
    • /
    • pp.91-98
    • /
    • 2017
  • 본 연구는 유기성폐자원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음식물류폐수 등)을 병합 소화하는 시설을 대상으로 적정 설계 기준치를 충족하기 위한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서 마련하고자 현장조사와 정밀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시 정상적으로 운영 중인 9개의 혐기소화시설과 사육돈 종류에 따른 가축분뇨 발생원 (농가) 14곳을 정밀모니터링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삼성분, 영양성분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휘발성지방산, 질소 등에 대한 물리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축분뇨 바이오가스화 시설로 반입되는 유기물의 휘발성고형물 농도는 (Volatile solids, VS) 단독처리시 2.81 %, 음식물류와 병합처리시 5.92 %로 조사되었으며, 유기물분해율은 단독처리 대비 20.5 % 증가된 63.6 %의 제거율을 보였다. 영양물질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메탄수율과 실제 현장에서의 메탄수율을 비교한 결과, VS 기준 실제 메탄수율은 이론값 대비 72 %에 해당하는 $0.36Sm^3CH_4/kgVS$로 실측되었다. 농가발생원의 총고형물 농도를 분석한 결과, 자돈 및 이유돈은 5.6 %로 가장 낮았으며 육성돈, 비육돈, 모돈 등은 약 11~13 %로 높은 유기물 함량을 보였다. 또한 가축분뇨에는 모래, 가축털 뭉치 등의 이물질이 존재함으로 혐기소화 과정에서 스크리닝 등의 전처리 과정을 사전에 실시하여야 한다. 음폐수와 가축분뇨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운전한 연속식 반응기를 통해 병합처리 효과에 따른 적정 혼합비율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속식 반응기 실험에서 가축분뇨와 음폐수의 혼합비율을 100:0, 80:20, 40:60, 20:80으로 설정하여 진행하였을 때, 60:40~40:60의 범위에서 적정 혐기소화 조건 (100 gTS/L 이하, 알칼리도 1 gCaCO3/L 이상, C/N비 12.0~30.0 등)에 부합하는 실험결과를 도출하였다.

흰쥐에서 N,N-dimethylformamide에 의한 간장의 Microsomal Cytochrome P450의 유도 (Induction of Hepatic Microsomal Cytochrome P450 by N,N-dimethylformamide in Sprague-Dawley Rats)

  • 고상백;차봉석;강성규;정효석;김기웅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1호
    • /
    • pp.88-94
    • /
    • 1999
  • 이 연구는 DMF에 의한 간독성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이물질 대사효소와 그와 관련된 효소가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에 사용된 동물은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로 DMF를 체중 kg당 0(Control), 450 (D1), 900 (D2), 1,800 (D3) mg을 1일 l회씩 3일간 연속하여 복강주사하였다. 마지막 투여 후 24시간 후에 실험동물로부터 간장의 microsome을 분리하였고, P450 동위효소의 유도와 P450의존성 촉매 효소의 활성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DMF를 투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microsomal 단백질 함량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낮은 수치를 보였다. P450과 b5 함량 역시 대조군과 투여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사과정에서 어떠한 전자전달계가 주로 관여하는지를 알아보았는데, NADPH-P450 reductase의 경우 대조군보다 투여군이 투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NADH-b5 reductase의 활성도 의 경우는 대조군보다 투여군이 감소하여(p<0.01), 전자전달이 주로 NADPHP-450 reductase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활성도 측정에서는 EROD 와 PROD 활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pNPH 활성도는 처리군에서 현저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1). 또한 P4501A1/2, P4502B1/2 및 P4502E1에 대한 단세포군 항제를 이용한 Western immunoblot 분석에서 P4502E1 단백질 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 상의 결과를 보면, DMF에 의해서 P4502E1 형태의 동위효소가 유도되며, 유도된 P4502E1 동위효소가 DMF의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부산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급식 위생 중요도 수행도 평가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High School Foodservice Hygiene in Busan)

  • 박정선;류은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57-1765
    • /
    • 2014
  • 본 연구는 부산지역 10개 고등학생 634명을 대상으로 학생개인 급식 위생 및 학교 급식 위생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조사를 통해 급식 위생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급식 위생 향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조사대상 학생의 49.1%가 위생교육 경험이 있었다. 개인 급식 위생 중요도 전체 평균점수는 3.81/5.00점, 수행도 3.48/5.00점이며, 학교 급식 위생에 대한 전체 평균점수 중요도 4.37점, 수행도 3.67점으로 개인 급식 위생이 학교 급식 위생보다 중요도와 수행도 점수가 낮았다. 개인급식 위생 중요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식사 전 손 씻기'와 '올바른 방법대로 손 씻기'(P<0.05), '식사 중 이동하거나 화장실 가지 않음'(P<0.01)에서 유의적으로 높음 점수를 보였다. 개인 급식 위생 수행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올바른 방법대로 손 씻기'에서 유의적(P<0.01)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학교 급식 위생 중요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2학년이 1학년보다 음식 위생과 환경 위생을 유의적(P<0.05)으로 높게 평가하였고, 학교 급식 위생 수행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2학년이 1학년보다 음식 위생, 기기 시설 위생을 유의적(P<0.05)으로 높게 평가하였다. 위생교육 경험자가 미경험자보다 개인 급식 위생의 중요도와 수행도 점수가 유의적(P<0.05)으로 높았고, 학교 급식 위생 중요도 평가점수도 경험자가 미경험자보다 환경 위생(P<0.05), 기기 시설 위생(P<0.0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중요도 수행도의 격자도 분석에서 중요도는 높으나 수행도가 낮은 영역으로 개인 급식 위생은 '식사 전 손 씻기', '정수기 이용 시 지정된 컵 사용', '잔반통 주위에 음식 흘리지 않기'가 해당되었고, 학교 급식 위생은 '식판에 이물질 없음'이 해당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학생들의 손 씻기 실천을 비롯한 개인 급식 위생 실천이 미흡하므로 학교에서는 다양한 캠페인 및 홍보물 부착을 통한 위생교육을 강화시켜야 하겠다. 학교급식 위생에서는 식기류가 청결하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원인 파악 및 개선과 더불어 급식 시설 환경 관련 항목들에서 수행도가 평균점수보다 낮은 항목들에 대한 영양(교)사들의 집중적인 관심이 필요하겠다. 무엇보다도 중학생들에 대한 위생교육 실시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학생들의 개인 및 학교 급식 위생에 대한 중요도 인식 부각 및 실천 증진을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집중적인 위생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정책적인 방안도 필요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