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ervation and Analysis of Gilding Silver Buddhas and Relics Discovered Inside Buddha of Joseon Period

조선시대 은제금도금불상과 그 복장품의 보존처리 및 재질연구

  • Kwon, Yoonmi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 Park, Seungwon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 Yu, Heisun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 Choi, Heeyoon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 Yun, Eunyeong (Conservation Science Team, National Museum of Korea)
  • 권윤미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 박승원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 최희윤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 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팀)
  • Published : 2008.12.01

Abstract

We have investigated and conserved three small Buddha statues dating from Joseon period that were purchas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hemical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internal structures were enabled us to identify its compositions and hollow spaces which have various materials just like fabrics, silver ornaments, beads and wood fragments. The fabrics date from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o the middle one. The compositions of matrix of the Buddha statues vary 80-90 wt% Ag and 7-15 wt% Cu. And its surface layers were gilt with amalgam. Mechanical and chemical cleaning with EDTA-2Na were applied together during the cleaning process.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구입한 조선전기 소형불상 3점을 보존처리하고 X-선촬영과 X-선형광분석, 현미경조사를 통해 내부구조와 조성, 제작기법 등을 조사하였다. 3점의 불상은 중공식(中空式) 주조품으로, 직물·금속·유리·목재편 등 다양한 재질의 복장품이 확인되었다. 복장직물은 조사결과 늦어도 조선전기~중기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Ag 약 80~90%, Cu 약 7~15%인 은합금재질에 수은아말감 금도금을 한 은제금도금불상이며 용도에 따라 재료의 조성을 달리하였다. 보존처리 중 이물질제거 단계에서 물리적인 방법과 EDTA-2Na를 사용한 화학적 방법을 병행하였고, 그 결과 다양한 표면 장식기법과 제작 기법이 드러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