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력특성

검색결과 881건 처리시간 0.036초

수면경사활용 수위-유량 이력현상 현저성 진단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method for diagnosing the severity of water stage-discharge hysteresis using water surface slope)

  • 김경동;김동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54-54
    • /
    • 2021
  • 최근 홍수파 또는 댐 및 보 등의 하천 구조물과, 본류와 지류의 합류로 인해 발생하는 배수영향 등으로 하천에 고리형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발생하여, 수위-유량관계식으 신뢰도가 저하된다고 판단하여, 대하천 본류와 합류부 인근 지류에 초음파기반유속계(ADCP)의 측정결과를 지표로 활용하는 자동유량관측소가 현재 58개소가 구축되어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4대강 사업으로 다기능보의 설치 등으로 인해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이 변동되었고, 지류에서 주로 운용하는 수위-유량관계 기반 유량관측소에 수문사상으로 인해 발생한 홍수파 또는 배수영향으로 인한 하천에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발생할 경우, 지류 수위관측소를 자동유량관측소로 대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의 자동유량관측소의 경우 홍수량이 기준이하로 발생할 경우 수위-유량 관계식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지만, 적용기준이 명확하지 않다. 또한, 하천의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발생했을 경우 수위-수면경사의 이력현상도 같이 발생하게 된다. 수면경사의 경우 기존 수위관측소로부터 수위 측정결과로부터 산정할 수 있기에, 수면경사로부터 하천의 이력현상 현저성을 산정할 경우 자동유량 장치를 활용하지 않고 이력현상 현저성 진단을 할 수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규 자동유량장치 설치, 기존 수위관측소의 자동유량관측소대체, 자동유량관측소에서 수위-유량관계의 활용 기준 마련 등을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상류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수위 측정으로부터 하천의 수면경사를 산정하고 수면경사를 활용하여 수위-유량관계 이력현상의 패턴을 분석하여 현저성을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기능보 설치 및 지류-본류로 인한 지류하천의 배수영향과 홍수파에 의해 발생한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를 다양한 수문사상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대상유역으로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발생하는 영산강유역에 위치한 남평교, 나주대교 두 지점을 선정하고 자동유량관측소 상류에 위치한 기존 수위관측소의 수위 측정값으로부터 하천의 수면경사를 산정하고 수위-유량관계와 수위-수면경사관계의 패턴을 분석하고, 수위-수면경사의 이력현상으로 부터 수위-유량관계 이력현상의 현저성을 진단하였다. 분석결과 각 수문사상마다 수위-유량관계의 최대이력범위와, 수위-수면경사의 최대이력범위를 각각 무차원화시켜 관계그래프를 산정하였다. 남평교의 경우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현저히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수위-수면경사의 이력범위는 거의 없었다. 나주대교의 경우 수위-유량관계와, 수위-수면경사관계 각각의 이력범위가 현저히 나타나 관계를 분석하기 용이하였다. 또한, 나주대교관측소지점의 분석을 통하여 수위-수면경사 이력범위의 유의 수준을 두어 일정 이력범위(20%)가 발생한 경우, 수위-유량관계의 이력현상이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이상의 이력범위를 수위-수면경사의 이력범위로부터 수위-유량관계의 현저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제안하였다.

  • PDF

상용차량용 판스프링의 이력특성 구현 (Hysteretic Characteristics of Leaf Springs in Commercial Vehicles)

  • 문원기;송철기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99-105
    • /
    • 2008
  • Multi-leaf springs are widely used for a major suspension component in many commercial vehicles. The modeling technique of multi-leaf springs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in suspension modeling as the elements have complicated nonlinear characteristics such as a hysteresis behavior due to the friction. In this paper, hysteretic characteristics with the static and dynamic test are modeled and are simulated with three links and joints in MSC.ADAMS. Simulation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est results. Using this methodology, it is expected that dynamic characteristics of suspension system with multi-leaf spring can be more accurately evaluated in vehicle dynamics.

이중 토글브레이스를 이용한 변위증폭 제진시스템의 이력특성 (Behavior of Seismic Control system with Double Toggle Brace)

  • 최기선;유영찬;김긍환;양원직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137-13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고성능 제진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이중 토글브레이스를 갖는 제진시스템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물모형 철골프레임에 이중 토글브레이스를 설치하고, 점증반복가력을 도입하여 제진시스템의 변위증폭효과 및 이력특성을 파악하였다.

  • PDF

강유전체 캐패시터의 회로 시뮬레이션 모델과 이의AHDL 구현 (A Circuit Simulation Model of Ferroelectric Capacitors and its AHDL Implementation)

  • 김시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10호
    • /
    • pp.25-3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강유전체의 이력 특성을 정밀하게 계산하기 위한 모델을 제공하였다. 본 모델은 2중 전위우물에 근거한 반경험적 분극 천이 모델에 기초하고 있으며 프라이사흐의 이력 함수의 분포 모델의 물리적 특성과도 잘 일치되고 있음을 보였다. 본 모델은 강유전체 이력 특성의 천이 경사도와 임프린트 특성을 고려하고 있으며 인가 전압의 극성이 바뀌는 경우에 발생되는 부 이력 경로에 대해서도 정확하게 분극 전하의 변화를 표현하고 있음을 보였다. 본 모델의 예측 결과는 PZT와 SBT의 두 종류의 강유전체에 대해서 측정 결과와 잘 일치하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본 모델을 AHDL 코드로 구현하여 스펙트레 시뮬레이터를 통하여 회로 설계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 PDF

지진하중의 특성과 이력모델에 따른 저층 표준학교건물의 비탄성 지진거동 (Inelastic Seismic Behavior of Low-story Standard School Building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Loads and Hysteresis Models)

  • 김진상;윤태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294-4301
    • /
    • 2012
  • 본 연구는 내진설계 되지 않은 학교시설물 중 다수를 차지하는 1980년도 표준설계 도면(건설부 공고 제130호, 1980년 10월 28일)에 의하여 건설된 국내에 현존하는 4층 모멘트 연성골조의 학교건물을 대상으로 이력모델의 특성과 지진파의 특성에 따라 표준학교건물의 비탄성지진거동을 분석하고자 한다. El-centro지진은 주파수 성분과 강진지속시간의 특성에 의하여 표준학교건물의 단변방향 층전단력, 층간변위비, 층변위 응답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수정다케다모델 선택시 응답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층전단력의 경우 최대 46%, 층간변위비의 경우 최대 70%, 층변위의 경우 최대 59%의 편차를 보인다. Santa Monica지진은 장변방향의 응답에서 이력모델별 편차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층전단력은 최대 59%, 층간변위비는 최대 65%, 층변위는 최대 50%의 편차를 보였다. 이는 장변방향의 고유주기가 단변방향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1초이상의 주기성분이 많은 Santa Monica지진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Taft지진은 이력모델에 따른 층간변위비와 층변위 응답의 편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층간변위비는 최대 15%, 층변위는 최대 5%의 편차를 보여 변위응답에 있어서 이력모델에 가장 의존도가 적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음성 신호의 부호화 이력 검출 (Coding History Detection of Speech Signal using Deep Neural Network)

  • 조효진;장원;신성현;박호종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86-9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음성 신호의 부호화 이력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음성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송 또는 저장할 때 데이터양을 줄이기 위해 부호화한다. 따라서 음성 신호 파형이 주어질 때, 해당 신호가 원본인지 부호화된 신호인지 판단하고, 만일 부호화 되었다면 부호화 횟수를 검출하는 부호화 이력 검출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12.2kbps 비트율의 AMR 부호화기에 대하여 원본, 단일 부호화, 이중 부호화 여부를 판단하는 부호화 이력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입력 음성 신호에서 음성 고유의 특성 벡터를 추출하고, 해당 특성 벡터를 심층 신경망으로 모델링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특성 벡터가 일반적인 스펙트로그램으로부터 추출한 특성 벡터보다 우수한 부호화 이력 검출 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진동이력분석을 응용한 발파 진동파형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blast vibration waveform by vibration time history analysis)

  • 김진수;임한욱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9권1호
    • /
    • pp.36-47
    • /
    • 1999
  • 세심한 제어발파를 위해서는 발파진동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진동이력분석을 응용하여 진동파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몇가지 실험이이루어졌다. 충격진동과 자유진동의 구분, 지속시간, 진동의 크기에 대한 자유진동의 중첩효과, 지발당량의 증가에 따른 진동파의변화 등이 파형분석과 함께 연구되었다.

  • PDF

Tendon의 인장응력에 따른 자기이력특성 변화의 측정 (Changes of Hysteresis Loop Characteristics of the Tendon Under Tensile Stress)

  • 강선주;손대락;조창빈;이정우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3-128
    • /
    • 2015
  • 철은 강도와 경도가 높고 전기전도도가 훌륭한 원소이며, 또한 가공이 쉽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교량에서는 큰 하중이면서도 경량화를 위하여 강철선으로 된 텐던이 사용되고 있다. 철이 구조용 강으로 사용될 경우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인 안전 진단을 위해서는 비파괴 검사(Non-Destructive Testing)가 필수적인데 철강의 자기적 특성이 비선형의 자화곡선과 이력(hysteresis)현상이 있는 자기이력곡선으로 인하여 비파괴 검사에 적용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에 부착되어 있는 텐던의 인장변형력을 비파괴 적이면서 자기적인 방법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텐던의 인장변형력에 의한 자기이력 특성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직경 15.5 mm의 7-strand 텐던에 인장력을 0에서 2 GPa까지 인가할 수 있는 자기이력곡선 측정 장치를 제작하였다. 제작 된 자기이력곡선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시판되고 있는 두 제조회사의 텐던에 대하여 자기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인장변형력에 따른 자기적 특성의 변화가 가장 큰 부분은 자기이력곡선 상의 knee 부분 근처에서의 상대 진폭투자율로 500에서 200까지 감소하였으며 최대 자속밀도 또한 0.6 T 정도로 변화하였다. 텐던의 인장변형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knee 부분의 진폭투자율 측정뿐만 아니라 최대 자속밀도의 측정방법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강유전체의 유전이력특성 측정에서의 오차요인 및 보정 (Errors and Their Corrections in the Measurement of Dielectric Hysteresis in Ferroelectrics)

  • 박재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667-671
    • /
    • 2001
  • Sawyer-tower 회로를 이용한 강유전 이력곡선의 측정과정에서의 주요 오차 원인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강유전체 시편에 존재하는 직류 누설성분에 의해 잔류분극과 항전계는 과대평가될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오차의 보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또한 강유전 이력곡선의 측정에서 측정하는 시간이 증가되면서 시편의 발열로 인해서 시편의 온도가 증가하게 되어 잔류분극 값과 항전계 값이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남을 관찰하였고, 그 대책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