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이공계위기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31초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에 대한 고찰 (How Science-Engineering Graduates Become so Powerful Elites in China?)

  • ;박희제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32
    • /
    • 2004
  • 이 논문은 최근 한국사회에서 큰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른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의 내용과 그 배경을 살펴본다. 지금까지 언론과 과학기술계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에 대한 논의는 그 원인과 과정에 대한 논의는 도외시 한 채 결과적인 현상에만 주목하여 중국을 부러움의 대상으로 부각시켜왔다. 그러나 이 논문은 중국의 이공계 강세현상은 사회주의 국가건설과 문화혁명이라는 중국의 독특한 역사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 것임을 보여준다. 사회주의 교육개혁이 중국사회에 인문사회교육은 무용지물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면 문화 대혁명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인문사회계열의 학문을 공부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위험하다는 인식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중국의 이공계 강세 현상은 매우 극단적인 정치적인 결정에 의해 형성된 기형적인 현상으로 정치에 의해 강요된 학문의 위계질서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공계 출신의 고위 공직자 비중이 높은 것도 이들이 대학에서 인문사회교육을 충실히 받았거나 이공계 졸업자에 대한 정책적 우대 때문이라기보다는 중국의 정치체제 특히 중국공산당의 독특한 인사제도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대한 이해 없이 결과적인 현상에만 주목하며 중국의 예와 한국의 예를 비교하는 것은 이공계 위기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진단에 큰 오류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를 요한다.

  • PDF

공학교육 만족도 지수에 기반한 전략연구 (Strategic Analysis for Engineering Education based on Customer Satisfaction Index)

  • 이승용;윤재용;김태현;손소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3호
    • /
    • pp.69-76
    • /
    • 2005
  • 요즘 거론되는 이공계의 위기는 국가 경쟁력을 저해하는 중대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공계의 위기를 구체적으로 정량화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전공과 인성적 측면에서의 학생들의 공학교육 만족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도출된 지수를 바탕으로 공학 교육의 현 주소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공학 위기 극복을 위한 발전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공계 기피현상에 대한 원인 분석: 이공계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Avoidance Situation)

  • 박성준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1호
    • /
    • pp.55-76
    • /
    • 2004
  • 본 연구는 대학수능 시험자 중 자연계열의 지원자가 절대적인 숫자에서뿐만 아니라 그 비중에 있어서도 떨어지고 있으며, 특히 경제위기 이후 그 하락추세는 가속화되는 등 이공계 대학 기피현상이 심화되는 원인을 분석코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공계 출신 인력이 사회에서 어떠한 대접을 받는지를 특히 직업안정성, 사회적 지위, 그리고 임금보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들이 직업생애에 걸쳐 타계열 특히 인문사회계 출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직장이 불안하고 사회적 신분 상승의 기회가 적으며 또한 소득수준도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이공계위기, 산학협력, 직무능력표준 및 대학수학교육학 (Science-Engineering Education Crisis, Industry-University Co-op, Job-Skill-Standard and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 정치봉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649-670
    • /
    • 2005
  • The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in a crisis during the last 10 years. In recent years, the crisis is rapidly amplified with a science-engineering student resource downsizing. In korea, government and industry have intervent several supporting policies to treat the mathematics-science-engineering crisis in university education. In this article, policies and its contents about human reasource development, industry-university co-ops, national skills standards are presented in context of university mathematics education.

  • PDF

대학내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공학교실 프로그램 운영상의 특성과 개선방안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school Students in University)

  • 김이형;이선하;정상만
    • 공학교육연구
    • /
    • 제7권4호
    • /
    • pp.5-15
    • /
    • 2004
  • 대학이 안고 있는 심각한 이공계 위기는 이제 특정 대학을 넘어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공계의 위기는 장래 국가 발전의 원동력인 이공계 인력의 질적 및 양적 감소를 초래하여 경쟁력 상실 및 장기간의 경제 침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우수한 인재를 이공학 계열로 유도하는 문제는 이제 대학만의 관심이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도 접근 중이다. 이러한 위기의 극복과 우수한 인재 양성과 더불어 장래 대학의 신입생이 될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공학에 관한 올바른 지식 및 동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공주대학교 공과대학에서는 2001년도부터 공학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공학적 이론과 실험실습을 통한 공학교육을 수행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공학적 경험을 제공하여 능동적인 사고방식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 또한 공학교실의 목적이다. 본 논문은 최근 4년간의 공학교육 경험과 학생들의 설문 조사를 정리한 것으로 향후 보다 나은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정리되었다.

이공계 기피현상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5권7호통권398호
    • /
    • pp.43-65
    • /
    • 2002
  • [위기론의 함축적 의미] 과학교육 낙후성과 질 저하가 더 큰 문제, 바람직한 과학문화교육 국가 성패 좌우/[현황과 문제] 정책 큰 틀속서 일목요연하게 추진해야, 시스템 잘 작동하는 일이 대우보다 중요/[선진국은 이렇게 대처하고 있다] '이과 기피' 잘 사는 나라에서 일반적 현상, 과학교육 강화위한 교육혁신 조치해야/[정부의 대처방안] 인력양성과 활용시스템 구축이 급선무, 청소년 이공계 진출 촉진대책 마련 착수/[초ㆍ중ㆍ고 과학교육개선책] 과학전담부서 부활ㆍ연구센터 신설 시급, 재정확충ㆍ과학실험 여건 개선 선행돼야/[대학과학교육 개선책] '교수 연구몰두'-교육 등한시 큰 문제, 흥미끌 다양한 교과개편ㆍ교재개발 절실/[종합대책] 과학기술만 있고 과학문화 없는게 문제, 청소년 자신 과학기술 선호케 만들어야

  • PDF

대졸 청년실업 대책방안

  • 강길훈
    • 대학교육
    • /
    • 통권150호
    • /
    • pp.26-31
    • /
    • 2007
  •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신규채용의 감소와 함께 청년실업 특히 대졸 청년실업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많은 수의 대학생들이 취업난 속에서 본연의 전공 교육과정보다는 취업준비에만 열을 올리거나, 해외 연수나 공무원 시험 등의 준비를 이유로 대학졸업까지 미루는 실정이다. 또한 취업이 잘 되는 학과로의 편중지원, 이공계 기피현상 등 다양한 문제점을 양산하고 있다. 올해 기업의 신규채용이 다시 줄어드는 추세로 돌아서 취업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제 국가차원의 청년실업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여기서는 청년실업의 원인을 분석해 보고,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

  • PDF

대학졸업자의 전공계열별 직업노동시장 성과: 이공계 위기의 노동시장 원인론을 중심으로 (Occupational Labor Market Activities by College Majors: On the Crisis of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 김창환;김형석
    • 한국인구학
    • /
    • 제29권3호
    • /
    • pp.1-27
    • /
    • 2006
  • 본 연구는 이공계 전공자들의 노동시장 성과, 특히 사회적 위신이 타 전공자들에 비해 낮다는 논의에 대한 경험적 검증이다. 대학졸업자의 전공계열에 따라 고용 확률, 고위직, '좋은 직업' 획득 확률에 차이가 있는지를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의 2% 표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본 선택편향을 수정한 2단계 프로빗 모형 분석 결과, 이학계와 공학계열 전공자가 인문사회계열 전공자에 비해 고용, 고위직, '좋은 직업' 획득 확률이 유의하게 낮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하지만 공학계 전공자의 경우 노동생애 초기에는 인문사회계 전공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좋은 직업' 획득 확률을 가지지만 연령 증가와 더불어 이러한 이점이 빠르게 사라져 40대 이후로는 인문사회계보다 '좋은 직업' 획득 확률이 낮다. 이는 공학계에서는 현장 경험에 의한 인적 자본의 축적률이 낮고, 대학에서 습득한 기술이 급격히 노화되기 때문일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