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식하 진정요법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4초

진단검사 전 처치로 실시하는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환아 보호자의 인식도와 간호요구도, 간호만족도 (Awareness, Nursing Needs, and Nursing Satisfaction on Conscious Sedation as a Pretreatment for Diagnostic Tests in the Guardians of Hospitalized Children)

  • 서미희;박순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3-581
    • /
    • 2021
  • 본 연구는 환아 보호자를 대상으로 진단검사 전 처치로 실시하는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와 간호요구도, 간호만족도를 확인하고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있는 C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 병동에 입원하여 진단검사 전 처치로 의식하 진정요법을 받는 환아의 보호자 120명이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고(2.49±0.83), 간호요구도(4.53±0.40)가 간호만족도(3.81±0.56)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도는 간호만족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18, p=.048), 간호요구도와 간호만족도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0, p=.033).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대상자의 간호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식하 진정요법에 대한 인식 정도와 간호요구 영역들을 먼저 확인하여 대상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하는 맞춤형 간호중재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한양대학교 치과 진정요법클리닉에서의 진정요법(II) (Sedation at Sedation Clinic of Department of Dentistry in Hany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II))

  • 전재윤;빙정호;박창주;황경균;심광섭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17
    • /
    • 2007
  • 2006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한양대의료원 치과 진정요법클리닉은 모두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총 92건의 치과치료를 위하여 미다졸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정주의식진정요법을 시행하였다. 이전 논문에서 이미 본원의 진정요법 프로토콜을 자세히 설명하였고 이번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진정요법 결과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근거에 기반한 접근법으로, 이번 연구는 일반 치과의사들도 미다졸람을 이용한 정주의식진정요법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Midazolam 투여시 선행성 건망증 발현에 관한 연구 (ANTEROGRADE AMNESIC EFFECT OF MIDAZOLAM)

  • 이정하;김미라;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12-420
    • /
    • 2004
  • 최근 의식하 진정요법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Midazolam의 임상적 효과로는 항불안, 진정, 수면, 항경련, 근이완, 기억상실 등이 있는데, 이중 기억상실효과는 주로 선행성 건망증(anterograde amnesia)으로 약물투여 후 약물의 작용이 지속되는 동안에 경험한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이는 시술 중환자의 협조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시술 후 환자는 시술중의 불편한 과정을 기억하지 못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임상적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Midazolam 투여 시 선행성 건망증의 발현 양상을 평가할 목적으로 약물에 대한 기왕력이 없으며 미국 마취학회 전신상태 평가기준에 따라 1등급으로 판정된 조선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위약, 경구용 Midazolam투여 주사용 Midazolam의 비강내 투여 후 Snograss와 Vanderwart에 의해 표준화된 260개 그림 시리즈를 이용하여 선행성 건망증의 발현정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가 위약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2. Midazolam의 비강내 투여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가 경구투여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 3.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모두 약물투여 15분 후부터 선행성 건망증을 보이기 시작하여 경구투여시는 45분, 비강내 투여시는 30분에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4. 약물투여 30분이 지나면서 비강내 투여보다 경구투여에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와 진정정도가 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 본 결과로 미루어 보아Midazolam을 투여한 후 선행성 건망증은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모두 약물투여 15분 후부터 나타났으며 30분전까지는 비강내 투여에서, 30분이 지나면 경구투여에서 더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관찰된 바, 치과치료 시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를 이용한 의식진정요법을 시행함에 있어 국소마취 등의 고통스러운 과정은 최소 약물투여 15분 후 시행하는 것이 향후 치과진료에 대한 환자의 긍정적 자세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

Chloral hydrate와 병용투여 시 Hydroxyzine용량에 따른 진정효과의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ACY OF CHLORAL HYDRATE AND HYDROXYZINE OF DIFFERENT DOSES IN SEDATING YOUNG PEDIATRIC DENTAL PATIENTS)

  • 이인천;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30-440
    • /
    • 2001
  • 본 연구에 사용된 Chloral hydrate는 바람직한 치과치료가 불가능한 소아환자의 진정 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약물이다. 그러나 Chloral hydrate 단독투여 시 진정효과가 불안정하고 오심과 구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약물의 추가투여는 과용량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에 단독투여시의 부작용을 보완하고 상승효과를 기대하는 목적으로 Hydroxyzine과의 병용투여가 추천된다. 그러므로 각기 다른 용량의 Hydroxyzine을 병용 투여하여 각각의 진정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의 병용 투여가 Chloral hydrate 단독투여 시보다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고, 이중 2mg/kg의 Hydroxyzine용량(III군)이 소아 환자를 위한 진정요법의 바람직한 용량으로 평가되었다.

  • PDF

혈압 상승으로 인한 의식하 진정 요법의 실패 -증례보고- (Failure of Intravenous Sedation due to Significant Hypertension -A Case Report-)

  • 고세욱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6-130
    • /
    • 2007
  • Sedation is often indicated for the relief of anxiety for outpatient oral surgery. In combination with local anesthesia, it is safe and effective method of treatment. However, it is not always effective in allowing the physician to complete the planned oral surgery procedure. On occasion, a procedure is left unfinished due to patient combativeness and discomfort and hypertension in spite of increase in sedative doses. Episodic increases in blood pressure were most commonly caused by light anesthesia or sedation and by the patient's experience of pain during treatment. Female patient was 42 years old. blood pressure is 150/90 mmHg. Extraction and implant surgery was done under IV sedation. During seadtion, her blood pressure was increased (200/100 mmHg). Surgery was stopped. She was done monitoring blood pressure. The blood pressure was decreased to 130/90 mmHg. Sedation was failed due to significant hypertension. Blood pressure is seldom increased during sedation but we should evaluate the patient's medical history and know guideline for hypertension crisis.

  • PDF

Midazolam의 경비투여와 경구투여 시 진정효과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OF INTRANASAL AND ORAL MIDAZOLAM)

  • 박헌동;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31-438
    • /
    • 2004
  • Midazolam은 현재 치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의식하 진정용 약물이다. 그러나 주로 경비투여로 사용될 뿐 경구투여 특히 소아에서 경구투여에 대한 지침이 언어 본 연구를 통해 midaaolam의 경구투여 시 진정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신상태가 양호하며 2회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남아 15명 여아 13명, 총 2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midazolam($Dormicum^{(R)}$, Roche)을 경비투여 (0.2mg/kg)와 경구투여 (0.5m/kg)하여 치과치료를 시행한 후 치료과정을 6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수면지수와 울음지수, 움직임지수, 전반적인 행동지수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치료과정동안 수면지수와 울음지수, 움직임지수, 전반적인 행동지수 비교 시 I군(경비투여)과 II군(경구투여)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보호자 설문조사 결과 I군에서는 67.8%의 보호자가 투여 시 아이가 고통스러워한다고 답하였으며 T군에서는 17.8%의 보호자가 투여에 어려움이 있다고 답하였다. 3. 귀가 후 행동양상에 대한 질문에서 '평상시와 비슷하다'가 I군에서는 78.6%, II군에서는 57.1%로 경비투여 시 더 빠른 회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midazolam의 경구투여는 경비투여와 유사한 적절한 진정효과를 가지면서 환자에게 더 잘 받아들여지는 투여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Chloral hydrate 경구 진정에 실패한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사용한 두 가지 진정요법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WO SEDATIVE REGIMEN USED FOR CHILD PATIENT WHO FAILED TO ORAL CHLORAL HYDRATE)

  • 이상민;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05-516
    • /
    • 2000
  • Chloral hydrate단독 경구투여는 소아치과 환자의 진정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중의 하나지만 실패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보게된다. Chloral hydrate의 처음 투여용량이 실패할 경우 추가 용량을 투여하기보다는 다른 약물의 투여가 바람직하며, 이는 안전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효과적인 진정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chloral hydrate의 수면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소아환자에게 치료를 연기하지 않고 즉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재발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아산화질소-산소와 enflurane 혼합가스를 이용한 초기 수면유도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었다. 의식하 진정을 이용한 치과치료가 예정된 건강한 환자에게 kg당 70mg의 chloral hydrate를 경구투여하고 조용한 방에서 60분이 경과한 다음, 환자가 수면상태에 이른 경우를 진정효과의 성공으로 평가하고 계획된 치료를 수행하였다(I군). 수면에 이르지 않아 실패로 평가된 환자는 50%의 아산화질소와 2vol%의 enflurane이 혼합된 가스를 약 $1\sim2$분간 투여하여 초기 수면유도를 시행한 후 예정된 치료를 수행하였고(III군), 다음 내원에는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2mg/kg)을 병용투여 하였다(III군).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 35명씩 총 70명 (남자 44명, 여자 : 26명)의 환자가 실험대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35.9{\pm}8.9$개월 체중은 $14.4{\pm}2.2kg$이었다. 치료과정을 10단계로 나누어 환자의 생징후(말초 동맥혈 산소 포화도, 심박수,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를 측정하였으며, 행동양상은 video촬영하여 역시 10단계로 나누어 1명의 평가자가 OSU behavior rating scale과 Automated Counting Syst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생징후의 경우 각 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양상을 보였으나, 개구기 삽입이나 국소마취 단계에서 발생하는 자극에 대한 말초 동맥혈 산소포화도와 심박수의 반응정도가 I군에 비해 II군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임상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양상(Q : Quiet)의 비율이 III군에 비해 II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II군과 I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본 실험에서 시도한 두 가지 진정요법이 비교적 높은 임상적 치료 성공률(II군 : 97.14%, III군 : 88.57%)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플루마제닐의 경비 투여 (Clinical Trial of Nasal Flumazenil Administration)

  • 홍수진;김현정;염광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41-446
    • /
    • 2001
  • 플루마제닐은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의 길항제로서, 정주로를 통하여 체내에 투여된다. 그러나 정주로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플루마제닐의 길항작용이 필요할 때에는 정주로 이외의 체내 투여로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다졸람으로 심진정을 유도한 후 플루마제닐의 경비투여로 인한 의식 상태의 가역을 임상시험하였다. 성인남녀 25명을 대상으로 미다졸람을 소량씩 0.08mg/kg까지 투여하여 의식소실을 유도하였다. 미다졸람 투여 10분 후 플루마제닐 0.5mg을 1분 동안 주사기를 이용하여 천천히 경비투여하였다. 환자감시에는 심전도, 자동혈압계, 호기말 이산화 탄소분압 백박산소포화도 등을 사용하였다. 진정의 정도는 진정점수와 뇌파감시를 이용한 bispectral index로 평가하였다. 플루마제닐 투여 직전에 미다졸람과 플루마제닐의 혈중 농도를, 플루마제닐 투여 후 5, 10, 및 20분 후에 혈청 플루마제닐 농도를 측정하였다. 플루마제닐의 경비투여 후 완전한 길항효과를 나타낸 경우는 전체 25명 중 2명이었다. 혈청 플루마제닐의 농도는 투여 10분 후에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20분간 지속되었다. 진정점수는 미다졸람 투여 후 증가한 뒤 플루마제닐 투여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bispectral index는 미다졸람 투여 후 시간경과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플루마제닐 투여후에는 유의 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0.1m/ml 농도의 플루마제닐 0.5mg 경비투여는 미다졸람으로 유도된 심진정시 길항효과가 완전하지 않았으나, 경비투여 후 혈액에서 플루마제닐의 농도측정이 가능하였다는 결과는 임상사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정주용으로 사용되는 플루마제닐의 농도가 낮은 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제재의 고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lis 단독 배양시 ml당 $2.1\times10^8$ 이었으나, S. oralis와 4주의 분리균주 혼합 배양시 S. oralis는 $1.4\times10^7$ 내지 $7.0\times10^7$으로 감소되었다. 6. 3주의 분리균주로 부터 약 60 kb의 plasmid를 분리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강에서 분리된 E. durans는 S. mutans의 증식을 억제하여 인공치태 형성을 저지하였고, S. oralis의 증식은 약간 억제하였다.5), II군과 I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본 실험에서 시도한 두 가지 진정요법이 비교적 높은 임상적 치료 성공률(II군 : 97.14%, III군 : 88.57%)을 보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었다.to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 PDF

소아치과 의사와 행동조절방법에 대한 보호자의 선호도 조사 (A SURVEY ON THE PARENTAL PREFERENCE ON PEDIATRIC DENTIST AND THEIR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

  • 박수진;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4-209
    • /
    • 2002
  • 본 조사는 소아치과 환아 보호자들이 소아치과 의사와 행동조절방법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조사는 6개월간 부산대학교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초진단계 환아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는 초진시, 그리고 1개월 후의 2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선호도 조사는 크게 2가지로 대별하여 의사에 관한 부분으로 의사의 성별, 가운(gown)의 색, 안경착용에 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행동조절방법에 대한 조사로는 진료실에서의 보호자 분리, 진정요법, 음성조절, 신체속박장비에 관한 부분들이었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을 알 수 있었다. 1. 소아치과 의사의 성별에 대한 보호자 선호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의사의 안경착용이 어린이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별다른 의식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의사의 흰 가운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를 나타내었다. 3. 진료실에서의 보호자 분리에 대해서는 대부분 반대하였다. 4. 주요 행동조절 방법들에 대해서 대부분의 보호자들은 수용하는 편이었다. 5. 1차 조사결과와 2차 조사결과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