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TEROGRADE AMNESIC EFFECT OF MIDAZOLAM

Midazolam 투여시 선행성 건망증 발현에 관한 연구

  • Lee, Jung-Ha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Kim, Mi-Ra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Na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이정하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미라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난영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nterograde amnesic effect of Midazolam administrated by intranasal and oral route. Fifteen healthy volunteers(ASA I) were administrated with placebo, oral Midazolam(15mg), intranasal Midazolam(0.25mg/kg) every 2 weeks. First picture cards were shown to volunteers before medication. At 15, 30, 45 minutes, other picture cards were shown to volunteers. BP, $SpO_2$ and sedation scores were measured. After 24 hours, the volunteers were questioned about their memory of pictures. To assess amnesic effect, recall and recognition test were performed using a series of picture cards designed for this purpos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Compared to placebo, Midazolam group(oral and intranasal) experienced a significant anterograde amnesic effect(P<0.01) 2.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ral and intranasal Midazolam(P>0.01). 3. Anterograde amnesic effect of oral and intranasal Midazolam group began at 15minutes. It became increasingly, oral Midazolam group experienced extremely amnesic effect at 45minutes, intranasal Midazolam group was at 30minutes. 4. After 30minutes of Midazolam administration, anterograde amnesia of oral Midazolam group is more effective than intranasal Midazolam group.

최근 의식하 진정요법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Midazolam의 임상적 효과로는 항불안, 진정, 수면, 항경련, 근이완, 기억상실 등이 있는데, 이중 기억상실효과는 주로 선행성 건망증(anterograde amnesia)으로 약물투여 후 약물의 작용이 지속되는 동안에 경험한 일들을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이는 시술 중환자의 협조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시술 후 환자는 시술중의 불편한 과정을 기억하지 못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임상적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Midazolam 투여 시 선행성 건망증의 발현 양상을 평가할 목적으로 약물에 대한 기왕력이 없으며 미국 마취학회 전신상태 평가기준에 따라 1등급으로 판정된 조선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위약, 경구용 Midazolam투여 주사용 Midazolam의 비강내 투여 후 Snograss와 Vanderwart에 의해 표준화된 260개 그림 시리즈를 이용하여 선행성 건망증의 발현정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가 위약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1). 2. Midazolam의 비강내 투여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가 경구투여보다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 3.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모두 약물투여 15분 후부터 선행성 건망증을 보이기 시작하여 경구투여시는 45분, 비강내 투여시는 30분에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다. 4. 약물투여 30분이 지나면서 비강내 투여보다 경구투여에서 선행성 건망증의 정도와 진정정도가 더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1). 본 결과로 미루어 보아Midazolam을 투여한 후 선행성 건망증은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 모두 약물투여 15분 후부터 나타났으며 30분전까지는 비강내 투여에서, 30분이 지나면 경구투여에서 더 높은 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관찰된 바, 치과치료 시 Midazolam의 경구투여와 비강내 투여를 이용한 의식진정요법을 시행함에 있어 국소마취 등의 고통스러운 과정은 최소 약물투여 15분 후 시행하는 것이 향후 치과진료에 대한 환자의 긍정적 자세를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