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

검색결과 3,682건 처리시간 0.032초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시스템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ystem Design for Auditory Disabled)

  • 양승호;송지원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172-1175
    • /
    • 2009
  •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들의 통신기기에 대한 요구를 발견하고 이를 제품 및 인터페이스 개발에 반영함으로써 청각장애인들의 의사소통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디자인 연구이다. 청각장애인들과 통역사들에 대한 3회의 FGI를 통하여 청각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 방법,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의 사용, 그리고 소통에 대한 요구 등을 이해하고, 이들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시스템을 제안하고, 원격 통역서비스 및 전화 중개통역 서비스를 포함한 청각장애인과 건청인간의 실시간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의사소통 시스템의 기능적 측면, 수화영상통화와 디지털 필담 및 문자 메시지에서 청각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의 특성을 반영하여 디자인된 인터페이스의 측면, 그리고 수화영상통화 및 청각장애인들의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도구의 하드웨어 디자인 측면에서 청각장애인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한 디자인 대안의 탐색이 이루어졌다. 제안된 디자인 안은 사용자 평가를 통하여 청각장애인들의 요구에 부합함을 검증하고 개발을 위한 디자인의 구체화 단계에 있다.

  • PDF

상급 종합병원 내 의사, 간호사 간 의사소통 인식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Nurses in Advanced General Hospital)

  • 유미자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호
    • /
    • pp.77-86
    • /
    • 2022
  • 본 연구는 전문 의료인인 의사와 간호사간 의사소통 인식 정도와 의사소통에 대한 세부 영역과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C시의 종합병원 의사, 간호사 372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ANOVA, Scheffe test,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와 간호사 간 의사소통 인식의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가 인식한 의사소통과 간호사가 인식한 의사소통 세부영역 중 개방성(t=9.91), 직종 간 상호이해(t=5.25), 만족도(t=8.1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사소통 세부영역에서 간호사와 의사 그룹 모두 의사소통 세부영역과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사는 개방성(r=.72, p<.001), 직종 간 상호이해(r=.71, p<.001)가 의사소통 만족도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의사는 직종 간 상호이해(r=.79, p<.001), 적시성(r=.73, p<.001)이 의사소통 만족도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자안전을 보장하고 양질의 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간호사, 의사 직종 간 상호이해, 개방성 등 취약부분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V 프로그램 시청이 직장인의 스트레스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tching TV Programs on Employees' Stress and Communication)

  • 천경주;이상옥;김유리;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94-404
    • /
    • 2018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직장인의 높은 스트레스 지수와 낮은 의사소통 지수의 현상을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TV 시청의 방법을 사용하여 그들의 스트레스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조업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총 20주간 진행 되었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TV 프로그램 시청' 방법을 사용하여 점심식사 이후 30분간 프로그램을 시청하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 시청에 앞서 먼저 스트레스 지수와 의사소통 지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TV 프로그램 시청' 수행 후 실험 참여자들은 일상 업무로 복귀하여 오후 일과를 다시 시작하였고, 20주 후 실험 참여자들의 스트레스 및 의사소통 지수를 한 번 더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지수와 의사소통 지수는 30~50대의 직장인들이 실험 전과 후의 평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특히 30대는 스트레스 감소와 의사소통 증가량이 크게 나타나, 다른 연령과 비교했을 때 스트레스 지수와 의사소통 지수가 가장 크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TV 시청이라는 새로운 방법이 사내 직원들의 스트레스 완화와 의사소통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동안 기업에서는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관리와 의사소통 증진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여 왔지만, 그 효과나 지속성 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본 연구의 점심시간을 통한 30분의 짧은 'TV 프로그램 시청'이 직장 내에서 직원들의 높은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낮은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접근 방법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발달성 언어장애아의 의사소통 의도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THE COMMUNICATIVE INTENT OF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 이경숙;이호분;신정현;노경선;임연화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8권2호
    • /
    • pp.207-216
    • /
    • 1997
  • 본 연구는 반응성 애착장애(reactive attachment disorder:향후 RAD라 칭함)집단과 발달성 언어장애(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향후 DLD라 칭함)집단을 대상으로 외관상 유사한 사회성 문제를 지니고 있으나, 타인과의 사회적 접촉의 시도라는 좀 더 근본적인 의사소통의 의도에서는 집단간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생활 연령과 언어 연령으로 두 집단을 짝지어 의사소통 의도의 빈도와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의도의 유형 및 발달 단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DLD아동의 의도 표현 방법이 RAD아동보다 세련되고 정교화 되었음을 보여 주었으며, DLD아동이 RAD아동보다 의사소통하려는 의도를 더 많이 가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그리고 두집단이 사용하는 의사소통 의도의 내용을 살펴보았더니, DLD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공유적 주의>행동 통제의 순으로, RAD아동은 행동 통제>사회적 상호작용>공유적 주의의 순으로 의사소통하려는 의도를 나타냄으로써, 주로 사용하는 의도의 내용 범주간에도 두 집단간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용한 의사소통 의도의 다양성 비교에서도 총 12가지의 의사소통 의도에서 DLD아동이 RAD아동보다 더 다양한 수의 의사소통 의도를 나타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DLD아동보다는 RAD아동에게서 의사소통의도로 잰 사회적 결함의 심각성이 더 드러났음을 알 수 있다.

  • PDF

동사의 문형 패턴을 이용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인터페이스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AC based on Sentence Pattern derived by Verb)

  • 류제;한광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59-76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말로써 의사소통을 하는데 장애를 겪는 사람들을 위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도구(AAC)의 구현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보완 대체 의사소통 도구는 단어의 의미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그림들을 이용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며, 본 논문에서도 이러한 그림들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단어 중에서 동사를 중심으로 선택된 그림들을 조합하여 문장을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동사를 자동사, 타동사 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동사가 가지는 문장의 형태를 체계화하였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그림들을 동사의 문형 패턴에 맞게 조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문장으로 변환시킴으로써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도록 하였다.

  • PDF

수학 수업 중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교실문화 형성하기 (Establishing Classroom Culture Supporting Harmonious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Instruction)

  • 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2권2호
    • /
    • pp.99-115
    • /
    • 2009
  •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중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의사소통의 강조이다. 의사소통은 단지 학생들의 의견을 청취하는 것이 아니다. 즉, 의사소통과 발표는 구분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의사소통이 원활이 이루어지는 교실문화 형성을 위해 교사에게 요구되는 교수 학습 실제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을 위한 학제간 의사소통을 포함한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including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for Nursing Students)

  • 김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209-1215
    • /
    • 2019
  • 의사소통은 간호사가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 및 다양한 직종간의 협력관계를 형성하여 성공적인 간호중재를 이끄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이에 간호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의료인 간의 의사소통 능력 함양 할 수 있는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간호교육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P 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54명이며, 연구결과, 대상자의 의사소통명확성 (t=-7.75, p<.001)과 셀프리더십 (t=-4.43, p<.001)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의사소통 만족도는 교육 후에 점수가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1.22, p=.226). 결론적으로 SBAR를 활용한 학제간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과 셀프리더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시나리오의 개발과 반복 훈련을 할 수 있는 지속인 교육개발이 필요하다.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igh 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박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7-7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을 적용한 후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의사소통능력 및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이다. 2021년 10월 28일부터 11월 18일까지 4주 동안 A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4학년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x2 test, independen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충실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 후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t=2.87, p=.007), 의사소통능력(t=2.96, p=.005), 교육만족도(t=4.75, p=<.001)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충실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의사소통 자기 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교육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se-Based SBAR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 박수진;최효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26-4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D시 소재 일개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8일부터 2018년 1월 4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사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전조사, 3회기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사후조사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대인관계 정도는 만족함이 75.0%, 전공만족도는 만족 54.4%로 나타났으며,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성향(t=-2.734, p=.007), 의사소통능력(t=-4.237, p<.001)이 교육 전보다 교육 후에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사례기반 SBAR 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forgivenes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Communication)

  • 정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02-412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남녀의 용서수준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긍정적 의사소통이 어떠한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혼남녀의 용서가 긍정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총 300명의 기혼남녀들에게 Rye 용서수준 척도, 긍정적 의사소통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혼남녀의 용서수준과 긍정적 의사소통, 긍정적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 용서수준과 결혼만족도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남녀의 용서는 긍정적 의사소통을 완전매개로 결혼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남녀의 용서수준이 높아지면 긍정적 의사소통이 증가하고, 이를 매개로 결혼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