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

검색결과 3,682건 처리시간 0.029초

고등학생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0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243-259
    • /
    • 201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의사소통이 사회적 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의사소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며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이 프로그램이 활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 PDF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노래활동 사례 분석 (A Case Study of Music Therapy with Song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ly Disable Children's Communications)

  • 강성미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권1호
    • /
    • pp.33-46
    • /
    • 2004
  • 정신지체 아동은 타인과의 제한되고 미분화된 의사소통으로 인해 실패감을 느끼고 상대방에게도 좌절감을 갖게한다. 의사표현이 부족한 정신지체 아동은 언어습득과 의사소통 활동의 측면에서 자발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많은 경험을 우선적으로 해야 한다. 음악은 비언어적 의사소통 수단으로 비위협적이면서 흥미로운 자극을 제공한다. 그래서 정신지체아의 음악적 경험은 말하기와 언어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다감각적 경험을 촉진한다. 이에 의사소통 중재로써 여러가지 접근방법 중에서 노래를 중심으로한 음악치료활동은 정신지체 아동에게 더 자연스럽고 즐겁게 언어를 표현함으로 의사소통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본 연구는 노래를 중심으로 하는 음악치료활동이 정신지체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반응하기, 시도하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보았다. 대상은 초등부 저학년 네 명의 정신지체아동으로, 이들은 구어능력을 가졌으나 적절한 표현어휘의 부족으로 자발적인 의사소통 시도와 반응에 어려움을 지녔다. 음악치료활동은 학령기 아동들이기에 실생활에 활용되고 기초적 학습개념의 가사를 지닌 노래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음악치료활동은 개별아동마다 한 세션에 20분씩 주 2회, 총10주 동안 진행하였다. 전체 활동은 매 세션마다 시작노래, 의사소통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본 활동, 헤어지는 노래의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본 활동은 5회기 동안 연속적으로 반복하는 형식으로 세션을 실시하였다. 비디오 관찰을 통하여 대상아동의 반응하기와 시도하기에 대한 의사소통 기술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각 대상 아동에 대한 사전, 사후의 언어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치료활동 전,후에 검사도구인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PRES,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를 사용하여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래를 중심으로한 음악치료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의사소통 반응하기와 시도하기 기술을 중심으로 의사소통 행동 발생률을 증가시킴으로 네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켰다. 둘째, PRES 검사도구를 이용한 사전, 사후 검사 비교를 통하여 노래를 중심으로한 음악치료 활동이 네 아동의 수용 및 표현언어 능력을 향상시켰다.

  • PDF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net-Addiction on Adolescents' Family Communication)

  • 김기리;이선정;신효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87-203
    • /
    • 200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인터넷 사용관련 변인에 따른 인터넷 중독정도의 차이와 인터넷 중독성에 따른 가족 의사소통의 차이, 인터넷 중독 정도가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기 가족의 가족 내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중학생 394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의 인터넷 중독은 50.71%로 여학생의 30.31%보다 높게 나타났고, 가족 의사소통 중 개방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문제형 의사소통은 중간값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가 집을 비우는 날의 빈도가 많은 집단이, 생활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았고, 부모가 인터넷의 바람직한 사용을 위해 지도를 해 주는 경우, 인터넷 이용 동기가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함인 경우, 인터넷을 메일이나 자료검색용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인터넷 중독 수준이 낮았고, 한번 접속하면 오랫동안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에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았다. 셋째, 인터넷 비중독군은 중독군보다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인터넷 중독군의 경우 비중독군보다 문제형 의사소통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의 개방형 의사소통은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이용에 대해 부모가 관심을 갖는 경우, 인터넷 중독 정도가 낮을수록, 인터넷 1회 이용시간이 짧을수록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제형 의사소통은 인터넷 중독 정도가 높을수록 많이 하며,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청소년이 지각하는 주관적 행복감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해순;변상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9-12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 화성 등 경기도 내 거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10일에서 8월 20일까지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277부 중 26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8.0과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공감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공감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행복감과 공감 능력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정(+)적인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중고등학생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측 변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성을 발달하기 위해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활성화하고, 매개변인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활성화하여 건전한 성장을 위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청소년 프로그램 및 청소년 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

  • 박순규
    • 전기저널
    • /
    • 통권332호
    • /
    • pp.101-109
    • /
    • 2004
  • 프로젝트 의사소통관리에는 프로젝트 정보의 시기적절한 생성, 수집, 배포, 저장 및 최종적인 처분을 분명히 하기 위하여 필요한 프로세스들이 포함된다. 이것은 성공을 위하여 필요한 인력, 아이디어 및 정보 간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프로젝트에 관련된 모든 사람들은 원할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며, 개개인이 관련된 의사소통이 프로젝트 전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여야 한다.

  • PDF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따른 대인관계불안과 대학생활적응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xiety and College Adjustment according to Communication Style of Nursing Freshmen)

  • 박정원;정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696-70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으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에 대한 주관성 유형을 파악하고,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대인관계불안과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여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 신입생 89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3월 7일부터 2016년 9월 23일까지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의사소통 스타일은 PC-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의사소통 스타일별 대인관계불안과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SPSS 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의사소통 스타일은 '배려 공감형', '긴장 수동형', '예민 산만형', '촉진 주도형'의 4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의사소통 유형에 따라 대인관계불안은 '긴장 수동형'과 '예민 산만형' 이 '배려 공감형'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대학생활적응 정도는 '배려 공감형'이 '예민 산만형'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의사소통 스타일을 고려한 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대인관계불안 감소 및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학생지도 지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초등학교 6학년 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과 학생의 수학적 사고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and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n Sixth Grade Mathematics Classrooms)

  • 홍우주;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201-219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수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을 분석하고 의사소통 수준에 따라 학생의 수학적 사고의 특징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적 의사소통을 질문하기, 설명하기, 수학적 아이디어의 근원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적 의사소통의 수준에 따라 학생의 수학적 사고의 빈도와 수학적 사고의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 양적연구방법과 질적연구방법을 병행하여 살펴보았다. 교사와 학생의 수학적 의사소통은 하위 요소에 따라 수준이 동일하지 않았으나 학생 간 질문이 활발할수록, 교사가 수학적으로 다양한 해결방법과 수학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설명을 요구할수록, 학생의 수학적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반영할수록 수학적 의사소통이 활발히 일어났다. 그리고 수학적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학생의 수학적 사고의 빈도가 많이 나타났고 학생의 수학적 사고의 유형도 높은 단계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초등학교 수준에서 경험적 근거를 토대로 수학적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경증 자폐성 장애인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지원프로그램 (Individual with mild autistic disorde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 유성령;박정화;박수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07-50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안드로이드를 활용한 경증 자폐성장애인을 위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지원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보완대체의사소통이란 구어 및 비구어적 의사표현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사용하는 의사소통체계로서, 본 프로그램에서는 자폐장애인의 의사소통과 의사소통 언어의 선택적 빈도를 측정하는 방법과 자폐 아등의 지적 장애인의 언어에 대한 기본적인 훈련을 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완대체 의사소통에서의 언어표상기법을 활용하여 여러 의사소통의 자유가 없는 사용자들이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TTS(Text to Speech)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의사를 육성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판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의사전달의 폭을 넓히고 언어빈도 측정을 통한 사용자의 언어사용빈도 그리고 자폐아의 경우 의식적 무의식 의사전달에 따른 백분율 수치를 두어 도움을 주도록 구현하였다.

  • PDF

국내 간호대학생의 SBAR를 이용한 의사소통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Use of SBAR in Communication for Domestic Nursing Students)

  • 이미진;김화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171-182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연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체계적 고찰이다. 문헌검색은 2023년도 6월까지 출간된 논문으로 데이터베이스는 RISS, KISS, DBpia, KCI를 이용하였다. 검색어는 '간호대학생', '간호', 'SBAR', '의사소통'을 사용하였다. 총 57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최종적으로 17편이 포함되었다. 측정된 결과 변수는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신감, 비판적 사고능력, 자기효능감, 보고 자신감, 임상판단력, 의사소통 만족도 등에 대부분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었으나 일부 연구에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도 확인되었다. 이에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의 툭성과 내용을 분석하고 효과를 평가하여 향후 SBAR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재의 후속 연구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남아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 관련변인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Husbands' Authoritarian Communication)

  • 김순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1호
    • /
    • pp.157-167
    • /
    • 1995
  • 본 연구는 평등한 부부관계로의 변화를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부인과의 대등하고 민주적인 의사소통을 저해하고, 부인의 정신.신체증상 호소라든가 가족문제를 야기시키는 한국남편의 전형적인 권위주위적 의사소통에 대한 관련변인을 밝혀내어 부부간의 민주적인 관계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328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에 대한 관련변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변인으로 자아존중감 성역할태도, 부부간의 변인으로 부부간의 의사결정권, 부부간의 학력차, 부부간의 연령차, 가족환경적 변인으로 남편의 성장가족에서 친부의 권위주위적 행동, 주관적인 사회계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개인적 변인, 부부간의 변인, 가족환경적 변인은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의 전체분산 중 14.5%, 11.3%, 11.5%를 각각 설명해 주고 있다. 개인, 부부간, 가족환경 변인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는 자아존중감, 부부간의 의사결정권 친부의 권위주의적 행동, 성역할 태도, 부부간의 학력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이들 변인은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의 전체분산 중 25.2%를 설명해 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