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사소통

검색결과 3,693건 처리시간 0.037초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의 관계 (Relation of Day-care Teachers'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 이영애;부성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66-4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에 대해 살펴보고, 두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 기회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 마련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수원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1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Oneway-ANOVA,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육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 및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은 36세 이상 나이 많은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았고, 경력과 학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았으며,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민간 어린이집 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은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고, 보육교사의 학력과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4년제 대졸 이상 교사의 가정-교사 간 의사소통 수준이 2, 3년제 대졸 교사 보다 높았고,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의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 수준이 민간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았다. 셋째, 보육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의사소통능력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 분석 (Analysis of Pattern of Mathematical Interaction Occurring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 조영준;신항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81-700
    • /
    • 2010
  • 최근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수학적 의사소통이라는 것이 초등 수학교실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학적 사고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수학적 의사소통의 유형을 IRE형, 깔때기형(funnel pattern), 초점형(focus pattern)으로 나누었고,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수학적 사고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인지하기(recognize), 형성하기(building-with), 구성하기(constructing)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초등 수학 교실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유형은 IRE형, 깔때기형, 초점형이 나타나는데, 그 발생정도는 교사의 수업 방식에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수학적 사고수준은 그 유형에 따라 수학적 사고의 수준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수학적 사고 수준과 관련된 바람직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의 수학적사고 수준을 높게 일으키는 유형이다. 수학적 의사소통은 교사와 학생의 활발한 상호작용의 발생 빈도보다는 수학적 사고를 높이 게 할 수 있는 수학적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이런 부분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은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를 높일 수 있는 수학적 의사소통인 초점형 의사소통을 통해 초등 수학 교실에서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이다.

  • PDF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융합연구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about Awareness towar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 Centered on the 'S' University college students)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9-8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수강생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능력,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융합연구이다. 2017년 3월13일부터 24일까지 S대학 융복합 수강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128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도구는 Likert 5점 척도이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 5점 만점 평균 $3.50{\pm}.41$, 의사소통 능력 $3.32{\pm}.38$,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3.00{\pm}.40$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의사소통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r=.633, p<0.01), 의사소통 인식도와 자기효능감(r=.336, p<0.01),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효능감(r=.480, p<0.01)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융복합수강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 적용된다면 의사소통 능력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with Mother Perceived by Adolescents - Focused on the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

  • 박옥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16-25
    • /
    • 1994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들이 의사소통 만족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 의사소통 변인은 자녀성별, 어머니 연령, 교육수준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으나, 의사소통 만족도는 어머니 연령, 가족형태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둘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이 높을수록 의사소통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 가족의 정서적 유대감과 변화 대처능력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 만족과 관련이 깊은 것을 보여준다. 세째,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부정적인 대화로 나타나, 긍정적인 대화를 이끌수 있는 어머니의 역할이 강조된다.

  • PDF

유창성 장애 및 음성 장애 집단의 의사소통 태도에 관한 연구

  • 김효정;조성미;박희정;이무경;권도하;정옥란;석동일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2003년도 제19회 학술대회
    • /
    • pp.243-243
    • /
    • 2003
  • 연구 배경 및 목적 : 많은 구어 장애 환자들은 구어 장애 자체로 인한 고통과 불편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함으로 인해 느끼는 좌절감 등의 2차적인 고통을 받고 있다. 장기간에 걸친 구어의 병리는 반복되는 의사소통의 실패를 낳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의사소통 자로서의 자신에 대하여, 또는 의사소통 상황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키우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어 장애로 인한 의사소통 태도가 정상인들과 차이가 있는 지와 함께 구어장애의 하위 유형에 따라 개인이 느끼는 의사소통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중략)

  • PDF

중소화장품 브랜드샵 종사자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영향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Small and Medium Cosmetic Brand Shop)

  • 이병효;이선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17-12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내에 소재하고 있는 화장품 브랜드샵에 종사하고 있는 판매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하위변수로 의사소통 요인은 공식적인 의사소통, 상사와 의사소통, 동료와 의사소통으로 설정하였고, 사회적 지원 요인의 하위 변수는 상사의 지원과 동료의 지원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공식적인 의사소통, 상사와 의사소통, 동료와 의사소통으로 설정된 의사소통 요인은 판매원들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고,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으로 설정된 사회적 지원은 상사의 지원 요인만이 판매원들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동료의 지원은 판매원들의 조직몰입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의사소통과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전남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Variables 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Focusing on The High School Students in Jeonnam)

  • 정연호;류점숙;신효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45-158
    • /
    • 2005
  • 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의 차이와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의 차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변인에 따른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청소년들에게 가족내에서 바람직한 의사소통과 가족 응집성 및 적응성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남지역 고등학생 425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적 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차이는 부개방형은 출생순위에 따라, 부문제형은 성별, 출생순위, 가족형태에 따라, 모개방형은 성별에 따라, 모문제형은 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이 부모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으며 여학생이 어머니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다. 또한 장자가 부와 개방형 의사소통을 적게 하고 막내인 경우에 부모와 문제형 의사소통을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가족인 경우에 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 응집성과 적응성을 살펴보면 가족 응집성은 성별과 생활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인 경우, 가정의 생활정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 응집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가족 적응성은 성별 출생순위, 생활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여학생인 경우, 독자인 경우, 가정의 생활정도가 높은 경우에 가족 적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지각되었다. 셋째, 가족 응집성은 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생활정도,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개방적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생활정도가 부유할수록, 여학생이 가족 응집성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적응성은 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부와의 문제형 의사소통, 생활정도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와 개방적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아버지와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하지 않을수록, 생활정도가 부유할수록, 여학생일수록 가족 적응성을 높게 지각하였다.

  • PDF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한 고찰과 '고등학교 수학' 의 의사소통 코너 분석 (Note o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corner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

  • 김향숙;이성애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1-168
    • /
    • 2010
  • 수학적 의사소통은 수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학습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에 수학적 아이디어를 교환하는데 필수적인 활동이다.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여러 영역에서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편찬된 '고등학교 수학' 18종 교과서에는 의사소통 문제를 다루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고, 실제 학교 현장의 교사들은 수학 수업 시간에 어떤 과제를 어떤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해야 할지에 대해 알고 싶어 한다. 이렇게 수학적 의사소통이 수학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는 시점에서 본 논문은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 이를 토대로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수록된 의사소통 관련 코너의 내용을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나아가 각 유형에 적절한 의사소통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차후에 개정될 교과서의 실질적인 의사소통 코너 마련을 위한 정보 및 교사들에게 수학적 의사소통이 활발한 수학 수업을 안내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학생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 김근화;신효식
    • 한국가정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정과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
    • /
    • pp.94-94
    • /
    • 2003
  • 본 연구는 남$\cdot$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을 살펴보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여성 한부모 가족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치료적 음악 만들기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rapeutic Music Making for Enhancement of Communications in Single-Mother Families)

  • 이나경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8권2호
    • /
    • pp.21-4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적 음악 만들기가 여성 한부모 가족의 의사소통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혼으로 인한 여성 한부모 2가족을 대상으로 노래 만들기, 즉흥 모방하기, 오스티나토 창작하기, 합주하기로 구성된 치료적 음악 만들기 프로그램을 14회기 동안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에 측정한 대상자들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점수가 대상자 B는 59에서 69.5로 상승하였으나, 대상자 A는 잦은 결석 및 음악 적용의 차이로 인해 81에서 75.5로 감소하였다. 둘째, 대상자들의 언어적 비언어적, 음악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 B는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모-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후기로 갈수록 감소하고, 기능적 의사소통이 증가하는 변화가 있었다. 대상자 A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에서 초기에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많이 나타나다가 8회기 이후 기능적 의사소통이 증가하였고, 음악적 의사소통에서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다르게 초기부터 기능적 의사소통을 주로 보였으며, 프로그램 후반까지 유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