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ke-up preference images influenced by the clothing preference images group, and importance orders among the make-up preference images.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female residents in the ages between $20{\sim}45$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during October 2004. 32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0.0 software with various techniques such as ANOVA test, Duncan test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1. It was found out that the graceful, chic, and modern make-up image ha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graceful make-up preference image was preferred by the graceful clothing preference image group. The chic and modern make-up preference image were preferred by modern clothing preference image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categori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those with the same clothing and make-up preference image groups, which indicate people prefer unified image coordination. 2.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of make-up preference images, it was found out that the natural make-up preference image was the most preferred by people, and followed by the youthful make-up preference image. On the other hand, the romantic make-up preference was preferred the least. This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clothing images and make-up images found that the costume culture is becoming more of 'total fashion' and that it would be beneficial for clothing brands to incorporate cosmetics in their business strategies and expand their businesses.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clothing preference images according to the age groups (30's, 40's, 50's and 60's) and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present clothing preference images and that of the future after 60.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482 questionnaires on the age groups ranging from 30s through 60s were used in the analysis. As for the present clothing preference images in accordance with age groups, the younger age groups in the range of 30's and 40's presented higher scores in most of these images. But the older age groups in the 50's and 60's had lower scores in most of these images. On the contrary, the older age groups had higher scores than the younger age groups with respect to similar, mature, magnificent, innocent, plump and virtuous images. As for the future clothing preference images after 60 in the elegant, luxurious, graceful, intellectual, chic, urbane, slimy and sociable images, the age groups in the 30's and 40's presented higher scores than the age groups in the 50's and 60's did. However, with respect to the youth-oriented images such as fashionable, innocent, remarkable, cute and vigorous images, the age group in the 60's had a higher score than the age group in the 30's, 40's and 50's di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ent clothing preference images and future clothing preference images after 60. The 30's and 40's presented distinctively different clothing preference images in the present and future after 60. Thus, distinct images were pursued in the older age group. The 50s showed closest images to that of the older age group, presenting more conservative inclination in clothing preferences.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lothing behavior and desired image according to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al tendency for women. A survey of 217 adult wome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6, mainly in Daegu. Reliability, frequency, percentage, factor analysis, ANOVA, t-test, Tukey test and a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using SPSS WIN 11.0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group with a higher tendency toward individualism valued personality and convenience above everything else, the group which has a higher tendency to collectivism disposition has a much greater interested in conformity and brand-orientation. Second, while the group with a higher tendency toward individualism pursued an bold image for their clothing, the group with a higher tendency toward collectivism preferred a feminine and plain image. Third, regarding the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demographic peculiar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average monthly incom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dividualism-collectivism among the groups determined by age,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rural or urban background.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의 분석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을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유명상표를 더 추구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따른 의복추구혜택에서는 개성 및 심미성과 경제성 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의복추구혜택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학생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학생 모두 개성 및 심미성, 실용성을 추구했지만, 상대적으로 유명상표와 경제성 추구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복 변형의 경험과 태도에 대한 물음에도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았으며, 교복 변형에 대한 태도는 남녀 모두 전체적으로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중 고등학교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의 분석 결과, 교복착용 태도의 심미성에서 고등학생의 점수가 중학생의 점수 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교복 변형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다는 비슷한 결과를 통해 해석이 가능하다. 교복의 변형률이 높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외모를 타인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기 위함이며, 교복을 통해 자신을 개성있고 현대적인 이미지로 보여주고자 하는 심리가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지역에 따른 교복 착용과 교복 만족도 분석 결과, 경기지역 학생들이 서울 지역 학생들보다 교복에 대한 찬성도와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복 착용방법에는 지역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서울에 비해 경기도에서 교복을 변형한 경험이나 변형하려고 하는 의견이 높았고, 그 이유는 개성을 살리기 위해서이며 그 방법으로 치수나 폭을 줄이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추구혜택과 교복착용 태도와의 관계 분석 결과, 개성 및 심미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도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았으며, 실용성을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서 심미성과 안전성보다는 경제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명상표를 추구하는 학생일수록 심미성과 안전성을 추구하였지만 경제성은 추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성을 추구하는 학생들은 심미성, 안전성, 경제성 모두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착용 태도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평상시 교복착용 태도에서 심미성과 안전성, 경제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생일수록 교복에 심미적인 부분과 실용 및 편리 부분에서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의복에 대한 추구혜택과 교복 착용실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교복 착용실태가 교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의복에 대한 의식과 태도가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교복업체와 학교를 통해 학생들의 교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xamined what type of clothing image middle aged housewives strive for, and how to classify the preferred clothing style. Secondly, we examined how their clothing image corresponded to age and observed the meaning of such changes over tim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ight middle aged housew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at were based on an un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October 201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sult related to preferred clothing image implicated fashion, esthetic sense, and clothing concerns. Preferred clothing image fell into 'intelligent-colorful' and 'urban-neat' categories. The preferred clothing style types of the participants were labeled as 'trendy', 'classic', 'conservative', and 'unique'. Second, the clothing image that participants thought to be of greater value in middle age included 'graceful' and 'elegant' allowing for the expression of age-appropriate style, high quality, and mind of plenty.
섬유산업내의 정보를 수집하고 체계화하여 경쟁력이 있는 제품을 생산해 내는데 있어서 데이타 베이스를 제공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 일부로서 제품의 경쟁력과 부가가치를 향상시킬수 있는 상표가 가지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내외 많은 선행 연구자들은 상표의 인지도, 상표 이미지와 상표 포지셔닝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의복의 구매행동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1,3,5](중략)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he self-perception and value of clothing they wear to today's businessmen who work in a fast-growing global network society and for developing a suitable image consulting program for business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businessmen into personality types, and then analyzing purchase behaviors for clothing and image perception, self-image satisfaction among categorized group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320 businessmen who are from 20's to 50's and working in Seoul. A total of 30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urvey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3 different parts as follows: 1) personality types, 2) purchase behaviors for clothing and image perception, 3) self-image satisfaction.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cluster analysis, t-test and reliability analysis. In conclusion, an image consulting education program for businessmen has to be based on one's own personality type, current fashion style and image perception. Each person has to be provided a unique direction to increase his self satisfaction, which will result in improvements in both personal image satisfaction and social satisfaction. These changes will ultimately become the driving force of career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 of consumers' self-image and pursued-image of clothes on the clothing purchase decision making according to the location. Data were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filled out by 575 women living in Seoul and Jechon. For data comparative analysis, paired t-test,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image and pursued-image in terms of clothing purchases between women who live in Seoul and Jechon residents. 2. Demographic variables influenced to the self-image and pursued-image of clothes factor. Among them, size of the ci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influence to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3. Self-image, pursued-image of clothes, problem recognition and evaluative criteria factor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Seoul and Jechon residents. In two cities, problem recognition factor which was arisen by external stimulus and all of the evaluative criteria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4. When the cities were partitioned by size(large and small city), the influence of self-image and pursued-image of clothes on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showed different phases. Generally, self image and pursued-image of clothes were more important to various problem recognition and evaluative criteria factors in large city(i.e. Seoul) than in small city(i.e. Jechon). However economic rational factor was the excep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desired image and fabric preference of woman college student for appare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260 woman college students through August to September of 2000. After eliminating incomplete questionnaires, 236 were analyzed. The most desired image was neat, and the most preferred fabric was natural fiber textile in fiber contents and light and soft in fabric sensation. The avoided image was masculine, and the negative sensation was heavines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7 factors -cute, intellectual, animate, neat, mature, sporty, sexy- were determined in image. And 8 factors -soft, durable, flat, rigid, light, bulky, heavy, pliable- were determined in fabric sensation. These factors explained large percentage of variance respectively. Multidimensional scaling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red image and fabric preference. Two dimensions were accepted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One of the results showed the closeness among the natural fiber textile, lightness, durability and natural image. And the short distance among the blended textile, elasticity, warmness and sporty image was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nsumers' post acquisition behavior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familiarity of jeans, and pursued image.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survey, three stages of pre-tests, and main survey conducted in the U.S and Korea. A total of 520 participants from each country(260 males and 260 female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amiliarity of jeans and pursued image of jeans wear were compared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As a result,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countries on familiarity that the U.S showed higher familiarity, frequence of wearing and owned quantity. Pursued image was consisted of unique factor and activity factor and Korean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on pursuing individualistic im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marketing strategy for fashion marketers of global jean brand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