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구매성향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 의복관심 및 브랜드와 구매에 대한 태도 연구 -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Clothing Interest, and Attitudes toward Brand and Purchase - Cross-cultural Study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s Consumers -)

  • 김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1-192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가 다른 사람과 차별되며 특별하게 지각되고자 하는 성향을 나타내는 소비자의독특성 욕구와 의복에 대한 관심이 브랜드 인식, 브랜드 충성, 및 구매의도와의 어떠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이러한 관계에 있어 문화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과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특성이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과정의 모형을 검증한 후, 두 모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한국과 미국대학생을 중심으로 수집되었으며, 응답이 부정확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85부-한국 271부와 미국 214부-만이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방법으로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SPSS 11.0을 이용하여 신뢰도 계수를 구하였으며, Prelis 2와 Lisrel 8.53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미국소비자의 선택친 모형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모형의 구조에도 차이를 보였을 뿐 아니라 각 변수간의 영향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의 하위차원인 '독창적 선택'과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는 두 그룹간의 반대의 성향을 보였으며, '비대증적 선택'과 '브랜드 인식'도 또한 한국 소비자는 정의 관계를 보인 반면, 미국소비자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와 더불어 유사성을 회피하려는 한국소비자들은 브랜드에 충성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미국소비자들은 브랜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두 문화간의 차이가 있음을 뒷받침하였다. '브랜드 충성도'는 두 집단 모두 '구매의도'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서울지역 중.고등학생의 환경친화적 의복 소비행동 (The Environmental-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 김지예;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8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환경친화적 의복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여, 환경친화적 의복 구매, 사용, 처분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교육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환경활동 경험은 보통 이상이며, 환경활동 경험 중 환경문제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환경친화적 가치관 중 환경보전 가치관이 가장 높게, 이타주의 가치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의복을 통하여 개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편안함과 가격을 추구했으며, 유행과 브랜드를 추구하는 성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환경친화적 의복 소비의식 중 처분의식은 보통 이상이나 구매의식과 환경문제 인식은 보통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의복이 유발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점을 감안해 의복의 생산과 소비과정에서의 환경오염과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환경친화적으로 의복을 소비하는 행동은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 사용과 처분 행동은 어느 정도 실행되나 구매 행동은 환경친화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그동안의 환경교육이 주로 자원 절약과 재활용 등 사용 및 처분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따라서 앞으로는 소비의 시작인 의복의 구매단계에서 환경친화적인 소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청소년의 환경친화적 의복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 가격 추구 성향과 의복 처분의식은 의복 구매 사용 처분의 모든 의복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학령기 아동의 의복성향과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Clothing Orientation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s)

  • 김미선;정혜영;여은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12-62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s clothing orientation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s. The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o 166 fifth and six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and 166 their mother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MANOVA, ANOVA, and LSD test. Responses were classified as 4 groups (Acceptance-Autonomy, Acceptance-Control, Rejection-Autonomy, and Rejection- Control groups) based on mother's parenting attitude. The four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clothing orientation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s. Especially, the Rejection-Control group, which is easily influenced by peer students, placed much emphasis on fashionability of clothing and showed strong complaining behaviors toward unsatisfactory clothing selected by their mothers. Study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analysis of target market for children's wear.

의복중독 구매 성향에 따른 의복구매 여부 영향 변수들의 연구 (Effects of Addictive Apparel Buying Tendencies on Apparel Buying Behaviors)

  • 박영신;박은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3호
    • /
    • pp.352-366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conceptual structure information sources, antecedent states, and purchasing situation related to the apparel buying behavior, 2)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high addictive buying consumers and low addictive buying consumers in related variables, and 3) to find out the discriminating variable of apparel buying behaviors on the degree of addictive buying tendencies of apparel in department stor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test and previous studies, and completed by 726 fcmale consumers living in Busan, Korea. 1) Factor analysis showed that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apparel buying behaviors consisted of the information of store and observation, and antecedent states did consumer's mood and availability of cash/cards. Also, purchasing situation in apparel store composed of four factors, such as Atmosphere, Price/quality, Store policy/salesperson, and Influence of others. 2) By t-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ddictive buying consumers and low addictive buying consumers in information sources, antecedent states, and purchasing situations. 3) The apparel buying behavior of high addictive buying consumers were influenced by the information of observation, and that of low addictive buying consumers were did by the atmosphere of apparel store.

  • PDF

위험지각 측면에서의 의복관여와 온라인 충동구매행동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Dimensions of Apparel Involvement and Online Impulse Buying Behavior)

  • 이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33-174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위험지각 측면에서의 의복관여도와 의류판매 웹사이트 상에서의 충동구매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인터넷 설문지를 사용한 데이터 수집을 통해 339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가설검증 전에 의복관여 요인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험지각 측면에서의 의복관여가 두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첫번째 요인은 risk importance이고 두 번째는 risk probability로 분류되었다. MANOVA를 통한 통계분석 결과 충동구매집단이 비충동구매집단보다 의복관여의 risk importance와 risk probability의 측면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충동구매집단의 충동구매성향과 의복관여도의 두 가지 측면이 모두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가설 1,2 모두가 검증되었다.

유행 관심 수준에 따른 의복 쇼핑 성향과 의복 구매 행동에 성별이 미치는 매개적 영양 (The Mediate Effect of Gender on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 김세희
    • 복식
    • /
    • 제55권3호
    • /
    • pp.33-4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 effect of gender on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Data was collected from 280 men and women of their twentieth and analyzed using crosstab analysis, ANOVA, scheff'e test, x$^{2}$ test, and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 interest groups showed little difference in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visiting store, time spent for shopping, and monthly clothing expenditure)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low interest groups showed a lot of differences in both the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between men and women. Third, several dimension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were more influenced from fashion interest level rather than the gender of consumers, and other several dimensions, visiting store, and the time spent for shopping were more influenced from gender rather than fashion interest level.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gender of consumer has mediate effect on the behavior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and the consumers of same fashion interest level must be approached concerning the gender of consumers.

여성 소비자의 의복 쇼핑 성향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 - 연령집단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n Women Consumers'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 Focu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by Age Variable -)

  • 이미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8권6호
    • /
    • pp.1138-1152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egment women consumers on the basis of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nd to investigat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of each segmented group by age variable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to meet very changeable modern consumers' need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survey and subjects were 650 women aged from 20s to 60s. The questionnaire consist of measurement items for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and subjects' demographic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x^2$ test,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5 factors were emerged on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Second, women consumers are segmented into 4 types(conspicuous, convenient, pleasurable, and unconcerned type) by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hird, each consumer type divided by age variable showed some important difference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ous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can be useful as one of the effective differentiated variables to segment women consumer market and age variable has important mediate effects on the differences of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 by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