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복관심도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2초

뉴 실버세대의 자기효능감과 외모관심이 외모관리행동과 의복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Appearance Interest on Appearance Management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New Silver Generation)

  • 임경복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3-17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appearance interest on appearance management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new silver generation. The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method using a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300 new silver woman(aged from 50 to 64) living in the large city.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were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elf-efficacy factor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cluding self-control 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physical self-efficacy. And appearance interest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weight control interest, outfit management interest, interest in clothing and disinterest in appearance.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effect on various appearance interests. Especially physical self-efficacy was the important factor which could describe the appearance interests more effectively. Self-efficacy and appearance interests had significant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and clothing purchase behavior. Social self-efficacy could describe mor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hile on the other side self-control efficacy could describe the clothing purchase behavior more effectively.

  • PDF

생체 신호 측정기술에 기반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 (A Development of Design Prototype of Smart Clothing for Healthcare Based on Sensing Technology of Vital Signs)

  • 조현이;이주현;이충근;이명호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27-232
    • /
    • 2006
  •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pc 를 분산, 부착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연구로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1990 년대 후반 이후 착용자 감성을 고려해 더욱 편안하며, 의복과 유사한 외관을 디자인 하려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스마트 의류는 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 스포츠, 의료 분야에 적용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생체신호 센서를 이용한 건강관리용 스마트 의류의 연구가 주목 받고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고령화 사회의 예상으로 인해 건강복지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는 최근 트렌드를 볼 때, 건강 관리용의 스마트 의류의 수요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생체신호 뿐 아니라 심장 질환, 호흡기 질환을 측정할 수 있는 건강 개념의 스마트 의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기존의 의복의 형태와 착용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의복 착장 시 생체 신호를 전송,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의복은 심전도, 체온 센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심전도, 호흡량, 맥박,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얻을 수 있다.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기기 위치 선정은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착용성 향상을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 디자인 지침' 을 기반으로 설계하여 착장 시 기기로 인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기기의 하중을 최소화 하였다. 의복의 디자인은 센서의 안정된 부착과 활동성, 센서의 정확한 측정을 고려하여 표피의 면적 변화를 고찰하여 디자인하였다. 이 스마트 의류는 노인, 건강 이상자, 통원 치료자에게 평상시의 건강을 체크 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치료의 가능으로 의료 복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며,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개발을 통하여 센서기반 스마트 의류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PDF

여대생의 신체상,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sychosocial Health of Female Undergraduates')

  • 이인숙;양윤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01-312
    • /
    • 2015
  •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신체상과 외모관리 행동 및 심리사회적 건강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9월부터 10월까지 일부 도시의 여대생 총 19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상은 5점 만점에 $3.12{\pm}1.06$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82{\pm}1.00$점이며,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심리사회적 건강 점수는 평균 $22.90{\pm}5.96$점으로 대상자의 73.2%가 잠재적 위험군이며, 고위험군은 25.8%로 전체 대상자가 위험군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 학년, 전공, 비만도, 건강관심도 및 체중조절 의도는 주요 변수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대상자의 신체상은 외모관리 행동과 심리사회적 건강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외모관리 행동 하위 영역에서도 운동은 섭식과, 섭식은 헤어관리행동과, 헤어는 메이크업, 의복관리행동, 메이크업은 의복관리행동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심리사회적 건강은 신체상 및 헤어관리행동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신체상, 건강 관심도, 학년 순으로 대상자의 심리사회적 건강을 14.4% 설명하였다. 즉, 신체에 대한 불만족이 높을수록, 건강 관심도가 낮을수록, 학년이 낮을수록, 심리사회적 건강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건강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며 자신의 외모와 신체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심리사회적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의복관여와 의복정보원 (Clothing Involvement and Clothing Information Source on Personality Types)

  • 오현정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9권
    • /
    • pp.1-1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MBTI 성격유형별 의복관여와 정보원 사용의 차이를 밝히는 것으로써 선호지표별 차이를 밝힐 뿐 아니라 성격지표 간 역동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성격유형은 표준화된 MBTI 검사로 측정되었고, 의복관여와 정보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부산에서 2001년 1월과 2월 중에 실시되었던 MBTI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했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되었다. 최종 분석에 투입된 자료는 총 275 부이고, 자료분석은 윈도우용 SPSS 10.0K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t-test, one-way ANOVA, 던컨 검정이 사용되었다. 첫째, 의복관여는 '상징적 표현성', '즐거움과 흥미', '유행성'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선호지표 중 외향형(E)이 내향형(I)보다, 감정형(F)이 사고형(T)보다 유의하게 유행관여가 높았다. 기능유형(ST, SF, NF, NT)에서 직관적 사고형(NT)이 '즐거움과 흥미', '유행성' 관여에 유의하게 관심이 낮은 집단이었고, 감각적 감정형(SF)과 직관적 감정형(NF)은 유의하게 높은 집단이었다. 둘째, 소비자가 사용하는 의복 정보원은 '인쇄매체', '전파매체', '전문적', '점포탐색' 의 네 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MBTI 선호지표 중 외향 -내향(EI) 지표만 '인쇄매체' 사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인쇄매체의 사용이 유의하게 높았다. 인쇄매체를 제외한 정보원에서 성격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전체 평균값 경향에서 감각형(S)이 직관형(N)보다, 감정형(F)이 사고형(T), 판단형(J)이 인식형(P)보다 전체 정보원 사용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청소년의 소비자 의식과 의복구매행동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Adolescents by the Consumer Awareness)

  • 김종희;조현주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7-78
    • /
    • 2003
  •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중ㆍ고등학생 639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소비자의식이 의복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소비자의식 유형은 권리의식, 소비자정보의식 브랜드지향의식, 책임의식의 4개 요인에 따라 실리지향, 상표지향, 소비자의식지향의 3가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실리지향 집단은 소비자의 권리의식, 소비자정보, 책임의식은 보통 정도이나 브랜드지향의식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상표지향 집단은 권리, 소비자정보, 책임의식은 낮으나, 가격과 상표에 대해서는 관심이 높게 나타났고, 소비자의식지향 집단은 소비자의 권리의식이 강하고, 소비자정보를 많이 탐색하며, 가격과 상표를 중요시하지 않고, 책임의식도 높게 나타났다. (2) 남학생에 비하여 여학생들이 소비자정보의식과 브랜드지향의식, 책임의식이 높으며, 한달 용돈이 7만원 이상인 집단은 7만원 미만인 집단보다 권리의식은 낮고, 브랜드지향의식은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가 농림ㆍ 생산직에 종사하는 청소년들이 권리의식은 높게, 소비자정보의식은 낮게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전문ㆍ 행정ㆍ사무직에 종사하는 청소년들은 소비자정보의식이 조금 높게 나타났다. 월평균 가구 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가정의 자녀는 다른 집단에 비해 브랜드지향의식이 조금 높게 나타났다. (3) 의복을 구입하는 주된 동기는 필요에 의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반수 정도가 계획구매를 하고 있으며, 주로 의류전문쇼핑몰을 이용하고, 의복에 대한 정보는 ´제품´, ´가족 친구의 조언´에서 주로 얻고 있었다. 의복 선택 시 중요한 요인은 디자인 가격, 어울림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매 후 불만으로 가격, 서비스, 바느질상태를 표시하였고, 실제로 불평행동을 하는 청소년은 42%로 친지나 친구에게 불만스러웠던 점에 대해 불평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4) 의복구매행동현인의 요인분석에서 구매정보원은 ´중립적 정보원´, ´개인적 정보원´, ´상업적 정보원´, 구매선택은 ´조화´, ´유행´, ´관리성´, 불만원인은 ´외관´, ´품질´, ´서비스´의 3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5) 소비자의식형 집단은 개인적, 상업적 정보를 많이 활용하였으나 상표지향형 집단은 정보원을 중요시하지 않았다. 의복 선택요인으로는 소비자의식 집단은 조화와 관리성을 중시하나 상표지향집단과 실리지향집단을 관리성에 관심이 낮았다. 의복구매장소로 실리지향집단은 양품ㆍ보세점과 의류도매상가를, 상표지향 집단은 의류전문쇼핑몰이나 유명상표 대리점을, 소비자의식지향 집단은 의류전문쇼핑몰이나 상설할인매장을 주로 이용하였으며 소비자의식 집단은 사적, 또는 직접 구매 후 불평행동을 많이 취하고 실리지향 집단은 거의 불평행동을 취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소비자의 성격유형별 의복평가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Apparel Evaluation on Consumers Personality Types)

  • 오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9-25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personality types affect apparel evaluation. Personality types was applied using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1 female using questionnaire to evaluate on apparel, and were analysed with factor analysis, Mann-Whitney test. Results revealed several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apparel evaluation to personality type. Extroversion and introvers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fashion concern. Extroversion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fashion concern more than introversion types. Sensing and intui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ormity. Sens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conformity more than intuition types. Thinking and feel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symbolism. Think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symbolism more than feeling types. Judging and perceiving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ormity. Judging types were significantly evaluated conformity more than perceiving types.

  • PDF

금속 킬레이트제의 시너지효과를 이용한 신용매($CO_2$)내 금속이온 추출연구

  • 고문성;박광헌;김학원;김홍두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255-256
    • /
    • 2004
  • 청정에너지원인 원자력은 화력연료의 대체에너지원으로 높은 에너지 효율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발전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방사성 오염물에 대한 환경적 관심은 점점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방사성 오염물에 대한 관리 및 처리는 청정원자력으로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원자력 발전소내의 주요 방사성 제염 대상물은 오염된 의복, 부품, 장비 등이다. 기존의 화학 및 물리 제염법은 다량의 2차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중략)

  • PDF

Structure and Properties of Wool Keratose Films -the effect of addition of glycerol onto keratose solution-

  • 한청희;박영환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20-324
    • /
    • 1998
  • 양모의 주성분인 케라틴 단백질은 과거에는 주로 의복용 재료로서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케라틴이 가지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 때문에 양모-케라틴 유도체를 기능성고분자 소재로 이용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양모케라틴 단백질은 원래 섬유 자체가 중금속 흡착성을 보유하고 있어 여러 용해 유도체의 흡착특성이 연구되고 있으며 우수한 생체적합성이 있어 헤파린과의 불용성 전해질 복합체를 필름으로 제조하여 인공혈관으로의 응용와 같은 의료분야에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1-3) (중략)

  • PDF

기능성 소재 스포츠웨어 구입시의 정보이용행태 -의복 및 스포츠 관심의 영향-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Functional Sportswear Purchasing -Focused on Clothing and Sports Concern-)

  • 문지현;전은경;유화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1814-182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functional sportswear purchasing by clothing and sports concern variables. Functional sportswear means sportswear made of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The information search behavior in this study included information sources, information seeking attributes, information search differences between when consumers buy functional sportswear and when they purchase nonfunctional sportswear, and information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500 questionnaires had been distributed to university students and 409 of which were us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frequency,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riends showed to be the most effective information source of functional clothing materials sportswear and internet revealed to be the information source that made the most frequent use of. The experts appeared to be the most reliable information source. Second, the more the students were concerned about clothing and sports, the more important they considered information seeking attributes. Third, in the aspects of information search differences between when consumers bought functional sportswear and when they purchased nonfunctional sportswear, only sports concern variables showed to be significant. The last, regardless of clothing and sports concer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customers considered all the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mportant.

의복 관심이 파티 선호에 미치는 영향과 파티복 유형별 파티 통일체 구성 (Effect of Clothing Interest on Party Preference and the Construction of Party Unities according to Party Wear Types)

  • 권예지;김나영;정인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33-745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lothing interest on party preference and suggested four party unities according to party wear types. A hypothesized model based on consumer innovativeness, clothing interest, party benefit, party interest and party preference was tes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lothing interest on party preference. Party unitie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party wear types along with party place, party food, and party music.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o online surveys. The population of the survey was fe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were applied to the data of 305 samples. As a result, positive tendency toward consumer innovativeness, clothing interest, party benefit, party interest and party preference was observed in young female consumers with significant relations among five variables. Party preference was well-explained from the hypothesized research model, but the direct path from clothing interest to party interest was identified as insignificant. The most preferred party elements of place, food, music and wear was garden, barbecue, house music and mini dress, respectively. Four party unities according to party wear types were constructed and suggested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party wear and other party elements. The concept of party unity is useful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advertising and experience marketing in the party wear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