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 사이즈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11초

의류 사이즈별 및 피부톤에 기반을 둔 의류 추천 시스템 (Suitable clothing recommendation system by size and skin color)

  • 박창영;임병찬;이원준;이창수;김민수;이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07-413
    • /
    • 2022
  • 기존 의류 추천 시스템들은 사용자 자신의 신체 촬영 사진이나 신체 사이즈를 입력한 후, 사용자가 좋아하는 의류의 종류를 선택하면 그에 적합한 사진을 보여주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추천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의류를 구매할 경우,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지 않거나 어울리지 않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의류 추천 시스템들의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사이즈 뿐만 아니라 피부톤을 입력받아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뿐만 아니라 피부톤에 알맞는 의류를 추천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은 의류 추천을 위해 남성 상의 8가지를 대상으로 웹 크롤링을 통해 얻은 의류의 사이즈 정보를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의류 이미지의 전체 픽셀을 분석하여 색감 텍스트 값을 추출하였다. 본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남자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70% 수준의 만족도를 보였다. 만족하지 않는 대부분의 이유는 추천 대상 의류가 한정되어 있다고 밝혀서 추후 대상 의류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증강현실(AR)을 이용한 가상 피팅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 of Virtual Fitt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 오수경;오정아;박구만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73-376
    • /
    • 2020
  • 현대인들의 인터넷 사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의류를 구매하기보다 인터넷 쇼핑을 통한 구매를 선호하게 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구매로 인해 정확한 스타일 확인 불가 및 확신할 수 없는 사이즈로 큰 불편함을 겪고 있다. 따라서 최근 가장 떠오르는 기술 중 하나인 AR을 실생활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매장에 가지 않고 집에서도 편하게 자신의 스타일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AR 피팅룸을 구현하여 솔루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3D 표현을 위해 Kinect Xbox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추출한 후 unity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AR-fitting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선택한 옷을 가상으로 입어 볼 수 있는 쇼룸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스처 인식을 통해 보다 편리한 의류 선택 및 사이즈 조절 등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따른 사이즈 측정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류 구매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

이용점포 유형에 따른 플러스 사이즈 여성의류 시장세분화 (Segmenting the Plus-size Women's Apparel Consumers using Store Patronage)

  • 유혜경;이선미;고선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45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the women's plus-size market by the types of store patronage, profile the segment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clothing attributes and variety of plus-size apparels according to different segments.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e 7-point likert scales on store patronage, satisfaction, clothing involvement and body cathexis. Five body measurements were recorded by sales people, and the respondents also provided information on their weight, height and garment size in addition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7 franchise stores in Seoul, Anyang, Daegu, and Cheonan during the months of February, 2011 to April, 2011. 2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60 were returned. Excluding incomplete questionnaires, a total of 14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store patronage identified four segments- major patrons of specialty stores, multi-channel users, regular store users, and internet shopping mall us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four segments of women's plus-size consumers in terms of clothing involvement, age, occupation, education and clothing expenditures. Internet shopping mall user group were in overall less satisfied with several clothing attributes and variety compared to other groups.

온라인 쇼핑 사이트의 성인 남성복 제품 사이즈 정보 실태 분석 (The Sizing Communications of Menswear on Retail Websites)

  • 박재현;이아람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3-84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izing communication issues of menswear on retail websites and to suggest an effective size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Based on sales frequency and awareness in the Korean menswear market, 22 brand websites were selected, and size-related information was investigated using 7 types of representative apparel items. The current diverse types of size codes had limitations in delivering actual product size information. Many websites preferred to display garment dimensions rather than basic body measurements, which is the suggested size designation method in Korean Standard. The websites posted fit model photos and customer reviews. However, the body size specifications, which consumers can use as a useful reference, were often omitted. There was also a high uncertainty in product size selection, with only the basic body measurement information listed, and there was a high deviation of garment dimensions within the same basic body measurements. The product size distribution did not match actual Korean body types.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improved effective sizing communication methods. These methods will contribute to a better online shopping environment for both consumers and retail sellers.

Kinect를 이용한 AR 가상 피팅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 of Virtual Dressing Room with Kinect)

  • 김율곤;오수경;오정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96-299
    • /
    • 2020
  • 요즘 대한민국은 코로나 19로 인하여 외출이 힘든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의류를 구매하기보다는 인터넷 쇼핑으로의 구매를 선호하게 되었으며 온라인 구매로 인해 정확한 스타일 확인 불가 및 확신할 수 없는 사이즈로 큰 불편함을 겪고 있다. 따라서 최근 가장 떠오르는 기술 중 하나인 AR을 실생활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의류 매장에 가지 않고 집에서도 편하게 자신의 스타일링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AR 쇼룸을 구현하여 솔루션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3D로의 표현을 위해 Kinect Xbox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추출한 후 unity와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AR-fitting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우리는 선택한 옷을 가상으로 입어 볼 수 있는 쇼룸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스처 인식을 통해 보다 편리한 의류 선택 및 사이즈 조절 등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러한 시스템은 사용자의 의류 구매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의류 쇼핑 사이트의 제품 사이즈 정보 실태 분석 - 여성용 테일러드 재킷을 중심으로 - (The Sizing Communications in Online Apparel Retail Websites - Focusing on Ready-to-Wear Women's Tailored Jacket -)

  • 이아람;김희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17-627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pparel sizing communication presented in online retail websites focusing on women's ready-to-wear tailored jackets and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se information as the actual product size guide factor. A total of 34 retail websit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highest growth fashion companies list and the best fashion brands list. We collected size information in two types: size specifications including sizing code, body measurements, garment measurements, and size references including customized size guide tools, size information in customer reviews, model size information, and others. Most websites prefer to present garment measurements rather than body measurements that are recommended notations under Korean standards and related regulations. In addition, there was the absence of consistency in presenting measurements list and terms that can confuse consumers in size communica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stature measurement was a key factor in size reference despite that it did not represent a proper garment size. The obsolete Korean numbering sizing code such as '55 and '66 was still used in many ways such as idiomatic expressions for body shape. It also implied that we can take advantage of the old sizing code for accessible size informat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gives an in-depth diagnosis of current online sizing information problems and suggests useful basic data for developing online apparel size standards and marketing strategies.

온라인 의류 쇼핑 사이트의 제품 사이즈 정보 실태 분석 - 여성용 바지를 중심으로 - (Sizing Communications on Online Apparel Retail Websites - Focusing on Ready-to-Wear Women's Pants -)

  • 이아람;김희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7-12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izing information of women's ready-to-wear pants as indicated on online retail websites and to suggest better sizing communication that can assist customers in making successful apparel size selections. We gathered size specifications and size reference information for basic straight pants from 34 online apparel retail websites. Although the Korean standard recommends labeling the body dimension-based sizing code and specification, most websites preferred to use various types of sizing codes. Body measurements were only used by a few websites, and garment dimension descriptions were the most common method to indicate product size. Many websites provided size reference information through customer review boards and fit model images, however, there was insufficient body size information to allow customers to infer the fit of their body type. When using the size guidance tools, the major data input points were stature and weight measurements. However, the waist measurements of pants sizes guided only by stature and weight values revealed inconsistent ease allowance for corresponding body size populations, especially in the overweight group. Based on our findings, we propose a more effective method of communicating the size information of pants online. We expect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of online apparel product display and build a better shopping environment that satisfies both sellers and consumers.

온라인 쇼핑에서 의류 제품 사이즈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관여도 조사 (Consumer Awareness and Preferences Regarding Apparel Sizing in Online Shopping)

  • 전은진;이아람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34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 awareness and concerns regarding apparel sizing in the realm of online shopping.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50 women aged 18-59 who had engaged in online clothing purchases within the past year. It was observed that consumers shop for clothes online an average of 1.6 times per month, with those under 50 shopping more frequently. The importance of size is higher when buying pants than jackets, especially in online shopping compared to offline purchases. Key references guiding online shopping decisions encompassed product sizing codes, customer reviews, and garment dimensions, which were notably favored by consumers with significant concerns. Respondents opted for Korean-style sizing codes for jackets but chose inch-sizing codes for pants. While awareness of height and weight remains high, knowledge of specific body measurements crucial for clothing size design is lacking, suggesting inadequate communication of size information. Respondents prioritized specific areas for jacket and pants fit, yet the lack of comprehensive self-measurements beyond height and weight might present challenges in determining fit based solely on product dimensions. To address this issue, online retailers should display essential garment dimensions and visually suggest clothing sizes according to various body types.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online retailers to effectively present size information and lay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consumer size education.

니트 생산 업체의 패턴 현황 조사 연구 -Rib 조직을 중심으로-

  • 김수아;서미아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89-91
    • /
    • 2004
  • 최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활동성이 편한 의복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활동이 편안한 니트 의류에 대한 관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니트는 고유한 물성적 특성으로 인하여 니트웨어의 사이즈 조절에 있어서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어, 다양하게 변화하는 니트웨어 착용자들의 요구에 맞추어 만족감을 줄 수 있도록 안정된 사이즈 체계의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중략)

  • PDF

중공 복합사 특성이 고감성 의류용 직물의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llow Composite Yarn Characteristics to the Comfort Property of Fabrics for High Emotional Garment)

  • 김현아
    • 감성과학
    • /
    • 제17권4호
    • /
    • pp.71-78
    • /
    • 2014
  • PET 중공필라멘트 복합 DTY(Draw Textured Yarns)와 ATY(Air-jet Textured Yarns)는 경량의 스포츠 의류를 포함한 고감성 의류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공섬유 복합 DTY와 ATY 복합사 직물의 수분 및 열이동에 관계되는 쾌적특성에 중공 복합사 및 직물의 구조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분석이다. 기공의 크기가 큰 중공 복합 직물의 흡수성이 우수하였고 커버팩터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ATY사 직물이 DTY사 직물에 비해 흡수성이 우수하였다. 반면, 건조특성은 기공 사이즈가 미세한 직물이 기공사이즈가 큰 직물보다 건조시간이 짧았으며 낮은 커버팩터와 기공 사이즈가 작은 하이멀티사 직물이 중공 복합직물에 비해 건조 특성이 우수하였다. 직물의 기공 사이즈는 공기투과도와 열전도도 특성에 가장 중요한 인자였다. 직물의 큰 기공도는 중공 복합 직물의 기공도와 열전도도에 비선형적인 반비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