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의류제조

Search Result 158,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3-D trimming system for bias-cut apparels (고감성 의류제조를 위한 3-D 입체 트리밍 시스템)

  • 김주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9-22
    • /
    • 2003
  • 경사의 사선방향으로 절단하여 봉제된 바이어 컷 직물로 제조된 의류는 일반 의류와 달리 우아한 외관을 타나낸다. 이 직물의 단점은 형태안정성이 나빠서 완전제품의 형태가 패턴의 형의 형태와 다른 모양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밑단 부분이 불균일하게 쳐지므로, 가지런히 절단하는 트리밍공정을 부가적으로 거치게 된다. 현재의 봉제 공정에서는 트리밍 단계를 모두 숙련공들의 수작업에 의존한 평면 커팅 방법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에 따라 불량품이 양산되고 그에 따른 소비자들의 불만 요인도 높아지므로, 본 연구에서는 치수 조절 마네킹을 제조하여 실제 의복 착용 상태를 그대로 재현 한 후, 회전시키면서 스스로 회전하는 자동 커터에 의해서 공간상에서 트리밍 하는 3-D 입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에 의하여 제조된 의류는 트리밍 라인이 균일하고 매끄러우며, 안감이 밖으로 밀려나오는 경우가 없어 외관상 품위가 있는 외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수작업에 비하여 제조 속도가 훨씬 빠르므로 봉제 후공정에서의 의류 제조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신속 생산 시스템의 요소로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 PDF

Effec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Characteristics of PET Fabrics on the Clothing Sensiblity (PET 직물 제조 공정특성이 의류 감성에 미치는 영향)

  • 홍성대;김승진;박경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82-8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PET 직물의 물성개선과 품질의 향상을 위해 직물 제조 공정 중 제직준비공정인 1TY, P/W, 2-FOR-1공정에서 여러 가지 공정인자의 변화를 주어 염색·가공 공정을 거친 최종 11가지 직물의 역학적 특성치 및 각 공정별 시료의 물성을 측정하여 의류의 감성특성은 Handle, 의복성능 및 봉제성을 평가하여 직물 제조 공정특성이 의류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1TY, P/W, 2-for-1공정에서 균일하고, 안정된 장력으로 제조한 직물은 신축성 및 drape성이 장력이 과다하게 주어진 직물보다 우수하고, 의류봉제시 신장성이 양호한 봉제 범위를 가져 의복 착용시 감성면에서 부드럽고 쾌적한 성능을 가진다. 그리고 공정에서 고장력, 고속의 spindle 회전은 사물성 및 직물의 물성변화를 야기시키고 교략강도의 불안정성으로 최종 직물에서 유연성과 탄력성 및 volume감이 떨어지는 의류촉감을 가지며 또 stiff한 의류 감성을 나타냄으로서 의류용 소재로는 부적당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3-D Trimming System for Bias-Cut Apparels (고감성 의류제조를 위한 3-D 입체 트리밍 시스템)

  • 김주용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7 no.2
    • /
    • pp.157-161
    • /
    • 2004
  • The clothing by bias-cut fabric are outstanding in their shilluettes mainly due to their high level of drapability. The clothing, however, need a specific cutting process for being even trimming line skirts. The 3-D trimming system developed in the study has been successful in making high-quality skirts with extremely even trimming line. The system is expected to make quality apparel in shorter manufacturing time.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Way of Supplying of Highly Educated Fashion Specialists -Focusing on the Korean Apparel Manufacturers in Dalian, China- (패션 전문가의 성공적인 중국 진출에 관한 연구 -중국 대련의 의류제조업체를 중심으로-)

  • Bae Soo-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9 no.12 s.148
    • /
    • pp.1562-157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effective way of practical education in the fashion related department in order to supply the appropriate experts to the Korean apparel manufacturers located in Dalian, China. The interviews were made twice from $25^{th}$ of Feb. to $15^{th}$ of Mar. 2005 and from $28^{th}$ of July to 31st of July 2005 through the method ot a direct interview with the CEOs of the 7 representative apparel manufacture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s following. Seven companies$(100\%)$ participated in the survey all complained of insufficient workers. Also the companies were having difficulties at finding appropriate workers who can handle designing, management, and circulation, because specialists who are fluent in Korean and Chinese are very rare. Moreover, Korean apparel manufacturers are now taking a step further to launch a high quality fashion brand, getting out of the simple hand work depending on low wage or low-tech(6 companies $85.7\%$). Thus, well-educated fashion specialists(intermediate manager) are required on the part of Korean clothing companies or apparel manufacturers in China. It is expected the intermediate managers and the specialists who are capable of launching a new brand will be urgently needed. Therefore, appropriate educations in Korea would be essential to minimize the problems the Korean fashion specialists might face in China. 1 would like to present three suggestions. 1. The highly educated Korean fashion specialists on apparel industry will be a solution both to the high jobless status in our country and to the deficiency in human resources of Korean apparel manufacturers in Dalian. 2. The students in the college should learn how to write down the working chart and matching chart in practical conditions. Taking an intern-ship in working factories in China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will be helpful. 3. The experts should be trained with emphasis on the quality, design, and value of the brand.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e for Koreans who work in fashion related department to enter the Chinese fashion market having a great potenti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Understanding Quick Response System (신속대응 시스템에 대한 교육용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 Jung Kyung-Yong;Na Yo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64-66
    • /
    • 2006
  • 의류산업은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예측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예측이 잘못될때는 즉 소비자들이 특정제품을 외면하는 경우 할인판매를 통해 제품을 처리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반면에 신속대응 시스템은 소비자의 욕구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신속하게 제품개발 및 생산일정을 수립함으로서 불필요한 재고가 쌓이는 경우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소비자의 욕구는 POS 시스템에서 창출되는 자료를 통해 수집 분석되고 이런 소비자의 선호도는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련 제조업자에게 제공되어 제조업자들이 소비자의 선호도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 생산,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신속대응 시스템의 주요한 목표인 신기술의 접목을 통하여 의류제품의 기획, 구매, 생산, 유통과정 상의 재고 수준의 절감 및 과정 소요기간의 단축, 의류제조업자와 소매업자간의 보다 나은 협조체계의 개발, 소비자의 욕구에 적절히 대응하는 시스템을 학생들에게 교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는데 신속대응 시스템에 대한 교육용 프로그램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Var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PET Filament Yarn for Sensitive Clothes (감성 의류용 PET 사의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 김승진;홍성대;서봉기;심승범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61-365
    • /
    • 2002
  • 최근 고감성 PET 사를 이용하여 생산한 PET 직물은 고감성 의류용 직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감성 의류용 PET 직물은 다양한 공정을 거치면서 장력이나 열 등의 영향을 받으므로서 사의 물성의 변화를 초래하여 감성 의류용도의 PET 직물에 많은 결점을 유발 시키므로서 직물 생산 시 공정조건 설정 등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고감성 의류에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에 관한 감성사 제조 시의 공정조건 변화와 관련된 연구 논문은 많이 발표가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7개 원사 Maker의 Denier 별 PET 사의 물성을 균일한 길이의 Layer를 설정하여 분석, 조사하고 Layer 별 물성 차이와 습ㆍ건열 열처리 온도에 따른 사의 수축률 등을 비교하므로서 감성 의류용 직물 생산에 필요한 기초 물성 Data를 제공하고 PET 사의 품질향상을 도모하므로서 최종 감성 의류용 직물 소재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Suitability of Nonwoven Fusible Interlinings to the Thin Worsted Fabrics (소모박지 모직물의 부직포 접착심지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 김경희;김승진;이대훈;배기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5
    • /
    • pp.639-645
    • /
    • 1998
  • 모직물에 있어서 접착심지의 기능은 의류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의류외관 특성에 대단히 중요한 특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직물구조인자를 다르게 한 모직물에 대해 부직포 접착심지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모직물의 직물 구조인자로서 위사의 꼬임수와 경·위사 밀도를 달리하며 직물 조직이 다른 8가지의 직물을 제조하고 현재 의류 봉제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부직포 접착심지 3가 지로써 24가지의 부직포 접착심지가 부착된 시료를 만들었다. 이들 시료를 KES-FB계측장치를 사용하여 이들 시료의 역학량을 측정하여 이들 값에서 의류 물성을 예측하였으며 드라이 크리닝 반복에 따른 부직포 접착심지의 적합성을 분석 조사하므로써 심지에 따른 의류의 물성 변화를 조사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Smart Clothes Management System Using My Own Fabric Perfume (나만의 섬유향수를 활용한 스마트 의류 관리기)

  • Lee, Yeon-Jin;Kim, Hwi-Jin;Park, Hyeon-Ho;Oh, Young-Ju;Baek, Chae-Yeong;Kim, 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1063-1066
    • /
    • 2021
  • 본 논문은 개인의 니즈를 반영하기 위해 기존의 의류 관리기에 원하는 향을 입히는 기능을 추가한 스마트 의류 관리기를 제안한다. 의류 관리기는 시간 단축과 의류 상태 보존을 위해 세탁기 대용으로서 이용되는데 기존의 의류 관리기의 경우 먼지와 악취 제거만을 중점적으로 수행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취향에 맞는 향 제조를 도울 뿐만이 아니라 날씨, 계절, 그리고 사용자의 기분을 반영하여 향을 추천해준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작동 시간과 의류 및 작동 상태, 향 순위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제품의 효율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openCV와 만족도 평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맞은 향기, 분사량을 찾을 수 있도록 피드백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개인에게 초점이 맞춰진 맞춤형 시장의 활성화 및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목표로 한다.

Partnership between Korean Apparel Manufacturers and Fabric Suppliers, and Performance of the Korean Apparel Manufacturer (의류 제조업체와 원단공급업체의 파트너십과 의류 제조업체의 성과와의 관계)

  • Jang, Se-Yoon;Lee, Yu-R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0 no.1 s.149
    • /
    • pp.38-47
    • /
    • 2006
  • As apparel manufacturers and fabric suppliers are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 apparel supply chain, these supply chain members build up a partnership to establish a win-win mutual relationship and to gam global competitio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in setting up operational strategies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a partnership between apparel manufactures and fabric suppliers. Partnership variables were included as: cooperative attitude, information sharing, interdependency, communications, strategic fit trust and commitment. Manufacturers' performance included productive/economic/emotional performance.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apparel manufactures who are doing business with fabric suppliers. A total of 101 complet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urthe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pparel manufacturers do business with $10\~20$ fabric suppliers mainly, duration of business relation with main partners ranged from 1 year to 30 years, with 7 years on average. Among criteria with which apparel manufactures select fabric suppliers, quality and delivery-time were the most important. Second, cooperative attributes, communications, and strategic fit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rust. The higher commitment led to the high level of interdependency and strategic fit and tend to more trustworthy. Trust and commitment were significantly re lated with manufacturers' performance(i.e., productive/economic/emo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e the better performance for domestic apparel manufacturers.

A survey on the needs of the garment manufacturing industry in Busan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major education program (패션전공 교육 개발을 위한 부산 의류제조 산업체 요구도 조사)

  • Kyung Ja Paek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31 no.2
    • /
    • pp.213-227
    • /
    • 2023
  • To analyze the status and needs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garment manufacturing industry in Busan, this study comprised an online survey of companies and interviews with 14 representatives of the 98 compan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pproximately 34.7% of the garment manufacturers were located in Geumjeong-gu, Busan. The most common type of work was the contracting factory type. Daily production output was between 100pcs and 300pcs. Production materials comprised 42.9% woven and 24.8% knitted fabrics. Main products were menswear, uniforms, womenswear, casual wear, sports and leisure wear, protective clothes, and children's clothing. The main clients were uniform companies, main factories, wholesale markets, online shopping malls and promotion companies, exporters, and department stores. As a result of a survey on industrial needs with company representatives, their satisfaction with company employees was 57.2%,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hiring employees was job-related competencies, among which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sewing process was the most necessary. In terms of computer software literacy, illustrations and pattern CAD/CAM are required. They thought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s crucial for advantage for advantage research and product development, as it allows for the sharing knowledge, resources, and especially human resources. The greatest administrative issue were human resources and fu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