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의류수출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9초

국제의류사슬 내 수출위치가 섬유 및 의류제품의 미국 내 수출단가에 미치는 영향 (Export Positions in the Global Apparel Commodity Chain and Unit Values of Apparel and Textile Products Exported to the United States)

  • Lee, Eun-Ju;Lee, Kwang-Ba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16-1726
    • /
    • 2002
  • 본 연구는 국제의류사슬 내 수출위치를 단순조립 생산 (Mere-Assembly Production), 주문자 상표부착 생간방식 (Origin Equipment Manufacturing), 고유상표 생산방식 (Original Brand Name Manufacturing)으로 규명하고, 각 국가의 의류사슬 내 수출 위치가 수입 단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1999년 미국Department of commerce의 무역 자료를 사용하여 국제 의류사슬 내 각각의 위치를 점하고 있는 방글라데시, 홍콩, 한국, 이태리를 비교한 결과, 의류사슬 내 위치에 따라 이들 국가로부터의 섬유 및 의류제품의 미국 내 수출단가가 통계 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유사도 지수를 활용하여 분석한 국가별 수출품목의 변화

  • 이우정
    • KDI북한경제리뷰
    • /
    • 제22권4호
    • /
    • pp.23-38
    • /
    • 2020
  • 본 자료에서는 1998년과 2017년의 수출유사도지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북한의 수출상품이 어떠한 소득수준의 국가와 유사한지 알아보았다. 1998년 수출유사도지수는 한국, 홍콩, 태국, 중국, 일본 순으로 높았으며 2017년에는 미얀마, 모로코, 튀니지, 방글라데시, 스리랑카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편적인 비교일 수 있으나, 1998년 북한의 수출 품목은 한국과 2017년에는 미얀마와 가장 유사하다고 해석 가능하다. 이어서 1998년과 2017년 북한의 수출품목의 비중변화를 관찰한 결과 광물성연료(HS 27)의 수출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의류(HS 62), 광·슬래그·회(HS 26), 과실(HS 08), 의류(HS 61)가 뒤를 이었다. 반대로 2017년 1998년에 비해 수출비중이 가장 크게 감소한 품목으로는 전기기기(HS 85), 원자로·기계류(HS 84), 식물(HS 12), 플라스틱과 제품(HS 39), 인조스테이플 섬유(HS 55)이다. 비교분석을 위해 북한과 수출유사도지수가 가장 높은 10개 국가의 수출품목 비중 변화 역시 살펴보았는데, 자세한 품목의 비중변화는 부록의 <부표 1~10>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98년과 2017년 각각 수출유사도지수가 가장 높았던 한국과 미얀마의 수출품목 변화는 특히 주목할 만하다. 전기기기(HS 85)의 수출이 한국에서는 가장 크게 증가한 반면, 북한에서는 가장 크게 수출이 감소한 상품이었으며, 미얀마의 경우 광물성연료(HS 27), 의류(HS 62), 광·슬래그(HS 26)의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드러난다.

의류산업의 물류활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현병언;이재학
    • 유통비즈니스리뷰
    • /
    • 2호
    • /
    • pp.35-48
    • /
    • 2002
  • 섬유·의류산업은 제조업 대비 업체수가 18.2%, 고용이 15.2%에 이르는 국민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산업이다. 또한, 전체수출액대비 10.7%를 차지하며 지난 30여년간 수출전략산업으로 성장,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섬유·의류산업은 오늘날의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국내외 기업환경의 변화로 극심한 내수부진과 고질적인 재고부담에 따른 자금난 등으로 허덕이고 있다. 이렇듯 급속히 변모한 기업경영 환경속에서 섬유·의류산업은 생존을 위한 현실적 방도를 모색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중략)

  • PDF

중력모형을 이용한 방글라데시 의류 유망 수출시장 추정 (A Study on the Export Potential of Bangladesh's Ready-Made Garments)

  • 수먼호세인;오근엽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2호
    • /
    • pp.87-10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방글라데시 의류(ready made garment) 산업과 그 수출 시장을 분석하고 장래에 수출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을 계산하였다. 먼저 방글라데시 의류산업의 수출 현황을 실제 무역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출상대국과의 무역량과 방향을 이용하여 무역구조를 제시한 후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38개 수출국에 대해 수출결정 요인을 탐색하였다. 계량분석 모형으로는 패널데이터에 대한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고정효과모형, 확률효과모형을 제시하고 하우스만 검정을 통해 모델선택을 다루었다. 이러한 분석으로부터 중력이론에서 제시하는 수출대상국의 경제규모, 거리 뿐 아니라 환율과 인플레이션 등도 수출 결정에서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으며, 수출결정식의 고정효과를 추정하여 수출 상대국들의 잠재적 시장크기를 추정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가장 유망한 수출시장은 미국과 일본임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Sri Lanka, Pakistan, New Zealand, Egypt들은 이미 잠재수출량을 초과하였음을 보였다. 또한 현재 잠재적 수출시장의 크기에 비해 수출이 적은 국가의 경우 잠재시장 규모와 현실 수출 규모 사이에 수렴하고 있는 경향이 있는가를 측정하였으며 수렴률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만일 방글라데시가 이 분야 수출을 증가시키고자 한다면 이러한 결과에 유의하여 시장 진출 전략을 수립하여야 함을 지적하였다.

세계 주요 의류수출국의 의류수출 패턴 (The Pattern of Clothing Export in Leading Countries)

  • 지혜경;이은영
    • 복식
    • /
    • 제56권3호
    • /
    • pp.81-90
    • /
    • 2006
  •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review trends of clothing export in important countries of the world and thus to know the present stage of clothing export in Korea. For the purpose, changes of export amount, competitiveness and product life cycle were analysed in the countries from the 1960's to the 1990'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on the aspect of export amount, industrialized countries lost the lead to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from the 1960's. Developing countries, as China, win the lead. Second, on the competitiveness aspect, industrialized countries lost competitiveness to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before the 1960's. And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were outpaced by China in the export competitiveness from the early 1990's. Third, on the aspect of product life cycle, industrialized countries go first through each period of product life cycle, introduction, growth, maturity and decline, and they all, excluding Japan, sustained period of Maturity for a long tim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and developing countries go orderly through each period of product life cycle after industrialized countries. As to Korea, duration of each period was short. Specially characteristics of decline period appeared partly in the early 1990's. From the results, the theory of product life cycle, helping to explain changes in production and trade in new product lines, estimated to applicable to clothing export. The phenomena, Italy, Hong Kong and America sustain high competitiveness in the world clothing market for a long time, is needed to be studied carefully. The study about strong points in their clothing industries and competitiveness drive program be to influence Korean export policy in the future.

한국 수출의류제품의 주요 수출시장별 특성 (Characteristics of Korean Export Clothing Articles to Each Important Market)

  • 지혜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5-15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xport clothing articles in Korea. For the purpose, the proportion and unit price of each export clothing articles were analyzed to each important marke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on the proportional aspect, to all world market, SITC 845(Articles of apparel, of textile fabrics, n.e.5.), 842(Women's clothing, of textile font knittedabrics), and 841 (Men's clothing of textile fabrics, not knitted), 844(Women's clothing, of textile, knitted or crocheted) and 846(Clothing accessories, of textile fabrics), 848(Articles of apparel, clothing access., excluding textile), 843(Men's or boy's clothing, of textile, knitted, crocheted.) in order were in large exported, after the mid-1990's. To each important market, the proportion of export clothing articles was varied. Second, on the unit price aspect, to all world market, the unit price of export clothing articles went down slightly. For each item, 844(Women's clothing, of textile, knitted or crocheted) went up a little, 843(Men's or boy's clothing, of textile, knitted, croche.) and 845(Articles of apparel, of textile fabrics, n.e.s.) went down a little, 841(Men's clothing of textile fabrics, not knitted), 842(Women's clothing, of textile fabrics), 846(Clothing accessories, of textile fabrics) and 848(Articles of apparel, clothing access., excluding textile) went down greatly. The unit price to industrialized countries,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developing countries in order was high, reflecting the developing stage of each nation's.

  • PDF

한국 섬유 의류산업의 위기와 재구조화(1980-1997): 생산력의 지리적 확장과 내연적 축적체제 (Crisis and Restructuring of the Korean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between 1980 and 1997: Geographical Extension of Productive Forces and Intensive Accumulation Regimes)

  • Sung Cheol Lee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3-81
    • /
    • 2000
  • 1980년대에서 1997년 사이에 한국 섬유 의류산업은 국내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수출주도형 성장체제에서 생산력의 지리적 확장을 가져오는 해외생산 그리고 고급의류 내수시장의 증가로 따른 기술 발달과 자동화에 기반을 둔 질적 성장체제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재구조화는 1987년 노동자 대투쟁으로 인한 임금의 급상승으로 1986년까지 진행된 수출주도형 성장체제에 위기가 왔다는데 일차적 원인을 둘수 있다. 특히 임금상승과 노동의 세력화에 따른 단체교섭의 형성은 장시간 노동시간과 저임금 구조에 기반을 둔 대량 생산과 대량수출의 결합체제에 위기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1980년과 1997년 사이에 발생한 한국 섬유 의류산업의 발전모델 또는 양식의 전환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역사적 맥락에서 1987년 이전과 이후의 축적체제의 변화와 함께 조절양식의 제도적 형태인 임고용 관계, 기업간 관계 그리고 국가와 기업관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 PDF

한국 수출의류제품의 품목 특성 -1990년대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Export Articles in Korean Clothing Trade -Focused on the 1990's-)

  • 지혜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3-33
    • /
    • 2007
  • Clothing exports of Korea has grown rapidly till the latter half of the 1980's, contributing Korean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from the 1990's, the amount, the world market share and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clothing exports have declined. Based on these phenomen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xport articles in Korean Clothing Trade focused on the 1990's. Statistical data of clothing articles(SITC 84 : Articles of apparel & clothing accessories) were used. The relative importance, trade orientation tendency and unit price of each export clothing artic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On the relative importance, trade orientation tendency and unit price of each export clothing articles, outer garments or products that required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e.g., coats, suits, ensembles, jackets, dress) had been decreased in the portion and weakened in the export orientation tendency. But one item in a set or casual wear like trousers, skirts, blouses, shirts, Jerseys, pullovers, T-shirts has been increased in the portion and risen in the unit price. These trends means that clothing exports of Korea were more focused on those category and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n those articles were advanced.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can be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concrete clothing export articles strategies of Korean firms.

  • PDF

니트 의류 제품의 한.중 간 수출 특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nitted Clothing Exports between Korea and China)

  • 지혜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17권5호
    • /
    • pp.897-910
    • /
    • 2009
  • Clothing exports of Korea have been steadily declining since 1990, but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because of its history and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knitted clothing exports of Korea compared to China. Statistical data of knitted clothing articles(HS 61) $2000{\sim}2008$ were used for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knitted clothing export out of the total clothing export has been consistently increased in Korea and China both, it is similar now. Second, export articles of large proportion are different between Korea and China. Socks, gloves and fancy goods became major export articles in Korea and men's and women's clothing in China in late 2000's. Third, the unit price of Korean export clothing i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from two to ten times. Generally the growth rate of unit prices of Korea outpaced that of China.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Korean export firms to develop competitive export articles and make out export strate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