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sis and Restructuring of the Korean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between 1980 and 1997: Geographical Extension of Productive Forces and Intensive Accumulation Regimes

한국 섬유 의류산업의 위기와 재구조화(1980-1997): 생산력의 지리적 확장과 내연적 축적체제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Between 1980 and 1997 the Korean textile and clothing industry (KTCI) experienced the transformation of export-led accumulation regime rooted in domestically-derived price competitiveness into the combination between foreign mass production involving the geographical extension of productive forces and quality strategy based on upgrading technology and automation involved in the domestic market for high quality and price products. This restructuring of the KTCI is rooted at the crisis in the export-led growth regime implemented unity 1980 due to the rapid increase in wage levels by the ‘great labour movement’occurred in 1987. In particular, increased wage and collective bargaining realized through labour empowerment led to the crisis in the conjoin between mass production and mass export based on long working hours and low wage structu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ransformation of development modes between 1980 and 1997 that can help us in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restructuring of the KTCI. To this end, the paper identifiles the changing accumulation regimes between 1980 and 1997 mediated by wage-labour relations, inter-firm relations and state-film relations, which are insitutional forms of the modes of regulation.

1980년대에서 1997년 사이에 한국 섬유 의류산업은 국내 가격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수출주도형 성장체제에서 생산력의 지리적 확장을 가져오는 해외생산 그리고 고급의류 내수시장의 증가로 따른 기술 발달과 자동화에 기반을 둔 질적 성장체제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재구조화는 1987년 노동자 대투쟁으로 인한 임금의 급상승으로 1986년까지 진행된 수출주도형 성장체제에 위기가 왔다는데 일차적 원인을 둘수 있다. 특히 임금상승과 노동의 세력화에 따른 단체교섭의 형성은 장시간 노동시간과 저임금 구조에 기반을 둔 대량 생산과 대량수출의 결합체제에 위기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1980년과 1997년 사이에 발생한 한국 섬유 의류산업의 발전모델 또는 양식의 전환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역사적 맥락에서 1987년 이전과 이후의 축적체제의 변화와 함께 조절양식의 제도적 형태인 임고용 관계, 기업간 관계 그리고 국가와 기업관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