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응급시설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3초

미국의료시설 응급부의 시대적 변천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Chronological Study on the Transformation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 이수경;최윤경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17-2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Chronologically through case studies; and to consider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se spatial changes. Methods: In this study, a total of eight emergency departments, one for each period, were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spatial maps of Space Syntax were employed for analyzing case studies. Results: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emergency department has been changed from five or more emergency department specialties to four or less specialties such as psychiatric, pediatrics, emergency, and trauma. In the case of care initiation area, the concentrated arrangement mode was switched from the distributed arrangement mode. The spatial maps indicate that it can be seen that the tree structure changes to an annular structure emphasi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ac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is shows that the space efficiency, safe, visual control and flexibility in the planning of the emergency department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Implica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Korean emergency department will be more focused on efficiency, safe, visual control, and flexibility in the planning as in the case studies of the United States.

Rhesus 및 Cynomolgus 원숭이에서 급성위확장 증례 (Acute Gastric Dilatation in Rhesus (Macaca mulatta) and Cynomolgus (Macaca fascicularis) Monkeys)

  • 이재일;강병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14-316
    • /
    • 2008
  • 급성 위확장은 실험시설에서 사육되고 있는 Macaca 원숭이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응급상황 중에 하나이다. 이 보고서는 사육 원숭이에서 발생한 몇몇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급성 위확장증을 보인 원숭이들에는 실험을 위해 원숭이 보정의자에 앉힌 경우나 마취를 한 경우, 그리고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은 경우 등이 있었다. 이환된 동물들은 심한 복부팽만, 탈수, 청색증과 호흡곤란 등을 동반한 혼수 상태를 보였다. 한 증례는 전신장애로 인해 상태가 악화되고 폐사하여 부검을 실시하였다. 나머지 두 증례는 위관과 수액요법으로 응급처치를 한 결과 병증에서 회복되었다. 부검결과, 위의 대부분은 위내 가스와 물 그리고 섭취물로 채워져 있었다. 이 보고서는 영장류에서 급성위확장증의 발생과 관리에 대한 특별한 강조와 더불어 본 질환이 비 특이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도 있음을 시사한다.

텍스트마이닝 기반의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대상지선정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Process of Fiel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Based on Text Mining)

  • 서상욱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27-36
    • /
    • 2018
  • Purpose: In the case of mass disaster, the establishment of temporary medical facilities for the first aid and treatment is required for the stable accommodation of patients caused by the disaster. However, the criteria for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e deployment of fiel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are not specifi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considerable factors needed for the deployment of fiel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and to make proposal for site selection process of fiel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on the basis of the factor. Methods: This study performs text mining of disaster-related laws, guidelines and documents to derive key factors affecting site selection, also proposes a decision making process and conducts virtual deployment to validate the process. Results: The key factors for the site selection derived as the size of the damage, the size of the DMAT inputs, the location of available place, and distance to the disaster base hospital. As a result of virtual deployment following proposed decision making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site of fiel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s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ster, even if the scope of the disaster damage was the same. Implications: The deployment of field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requires a separate criteria for each type of disaster, not uniform, as a future research a quantitative approach of the criteria needs to be performed.

서울시 지하공간 재난관리 및 재난의료 개선방안 (Disaster Management and Disaster Medical Improvement in Underground Space)

  • 배윤신;박지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10-12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지하공간에서 화재발생시 재난관리 및 재난의료 개선방안을 지하상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먼저 지하공간에서의 법령 및 제도를 건축법관련, 안전관련, 소방관련, 피난관련으로 고찰해 보았다. 서울시 지하상가의 분류는 공간 및 형태적 유형에 따라 나눌 수 있으며, 유형별 형태에 따라 관리주체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개별관리체계로 인하여 화재 및 재난발생 시 현장의 통합지휘체계와 현장 응급구조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향후 통합관리를 위한 대책 및 시설관리주체의 개선이 필요하다. 재해 발생 시 이송이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려면 의료진과 응급구조사가 존재하고, 현장지휘본부와의 협조가 원활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평소에 재해정보와 응급의료정보가 실시간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용의료기관 분포와 진료능력등을 고려하여 재해 발생 시 효율적인 대처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GIS를 활용한 119 구조구급서비스의 도착지체 및 출동배치에 대한 공간분석 - 경상북도 사례 연구 - (A Spatial Analysis about Arrival Delay and Dispatch Distribution of the 119 Rescue-Aid Service utilizing GIS - Gyeongsangbuk-Do Case Study -)

  • 오창석;이승원;이인묵;고승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1D호
    • /
    • pp.13-22
    • /
    • 2012
  • 국가가 운영하는 119 구조 구급 출동서비스는 응급상황에서 인간의 생명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응급 운송시스템이며, 고령화 사회로의 급속한 전이를 보이는 우리나라의 현 사회구조를 비추어 볼 때 그 중요성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특히 긴급차량의 사고현장 도착시간은 환자의 초등 조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며, 출동서비스 센터의 위치, 사고 현장까지의 접근성 등 도로네트워크 속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의 구조 구급활동자료를 바탕으로 119 긴급차량의 도착지체 및 출동배치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구조 구급서비스의 출동분포 특성을 살피고, 구조 구급서비스 시설, 도로 네트워크의 위치정보가 주어진 상태에서 GIS의 공간분석을 활용하여 구조 구급서비스 시설의 일정 반경에 포함되지 않는 사고다발지역(사각지역)과 국가교통 DB상의 도로네트워크 입력속도, 실제 구조 구급일지 상의 현장 도착시간을 각각 입력 값으로 하는 긴급차량 도착지체 지역을 GIS 맵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출동거리가 10km 넘는 원거리 출동빈도가 높은 구조구급 서비스시설의 출동배치 효율성을 분석하고, GIS의 OD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도로네트워크상 최단거리에 위치한 서비스시설에서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조 구급서비스망을 개선하였다.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연하곤란 사정도구,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Dysphagia Assessment Tool an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 김치영;이영미;하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85-693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노인 연하곤란 조기 발견 및 중재를 목적으로 연하곤란 사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사정도구를 중심으로 제작된 중재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사정도구의 동시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노인요양시설 9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명을 편의추출하였으며 중재 프로그램 효과 검정을 위해 노인요양시설 4곳의 입소자 5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하곤란 사정도구와 중재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의 체중은 증가하였으며(t=4.913, p=.000), 연하 총 시간은 감소하였다(t= -4.557, p=.000).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하곤란 사정도구와 중재프로그램을 노인요양시설에 적용한다면 노인의 삶의 질 증진과 흡인성 폐렴, 질식과 같은 응급 상황은 감소할 것이다.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및 의무경찰제도 폐지에 따른 보안산업 변화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f the Security Management at Critical Facilities in South Korea: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increasing demand for security personnel and the alternatives to police)

  • 왕석원;최연준
    • 시큐리티연구
    • /
    • 제61호
    • /
    • pp.87-107
    • /
    • 2019
  •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이라는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국회, 정부청사, 인천공항 등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보안산업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현역병 지원감소 등의 이유로 2023년 의무경찰 제도가 폐지하게 되어 국회, 정부청사, 경찰청 등 국가중요시설뿐만 아니라 경찰관서, 국회의장 등의 공관 및 전직 대통령 사저 등에서 기존 의무경찰이 담당하던 시설경비업무를 대체할 수 있는 인력 마련이 시급한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체 인력으로 거론되고 있는 청원경찰, 특수경비원, 방호원의 법적근거 및 관리감독, 고용형태 및 임금, 직무범위 및 직무권한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도권 5개 대학(2년제 전문대학 3개, 4년제 대학교 2개)의 경호 및 보안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원경찰로 대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산업의 변화에 따라 경호 및 보안 관련 학과에서는 청원경찰로의 취업 등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위급상황 대처능력', '무도능력'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무도 단증'과 '응급구조 및 심폐소생술', '경비지도사 및 신변보호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무도실기', '청원경찰법', '응급구조 및 심폐소생술' 등의 과목을 경호 및 보안 관련 학과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단기 임시주거를 위한 설계계획 및 목업을 통한 성능평가 (Design Planning and Evaluation using Mock-up for the Short-term Temporary Housing)

  • 이원학;이병연;조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09-61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재난 재해시 이재민의 주거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기 임시주거시설에 대한 설계 계획과 목업 제작을 통한 시공성, 주거환경성을 검증하였다. 특히, 재난 재해발생시 이주민이 응급구호시설로 인근 학교의 강당 또는 체육관을 활용하고 있지만 거주성이 확보에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30일 이내 거주하는 단기 임시주택을 제안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량이면서 단열이 확보가능한 복합패널을 선정하여 목업을 제작하였다. 복합 패널을 활용한 목업은 약 1시간안에 완성하여, 시공 용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목업을 통해 실험실에서 결로와 누수실험을 진행하였다. 외부온도 약 $0^{\circ}C$, 실내온도 약 $32^{\circ}C$로 온도에서 결로현상은 발생하지 않았고, 열화상카메라를 통해 확인해보면 단열성능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시간당 60 mm의 강우를 모사하여 누수 실험을 진행한 결과 누수가 확인되지 않아 방수성능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 임시주거시설에서 모듈화된 평면, 시제품제작을 통한 시공용이성 확보, 향후 적재의 용이성을 확인하였다. 단열 및 방수성능이 확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단기 임시주거시설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tivating Factors of domestic and overseas scuba diving resorts using delphi method

  • Park, Sung-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39-249
    • /
    • 2022
  • 이 연구는 국내 및 해외의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와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의 경영대표, 교육팀장 등 운영에 관련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3차례에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 분석한 결과 공공다이빙 장소의 편의시설 확충, 다이버들을 위한 안전시설 및 의료시설 설치, AED, 산소 등 응급처치 시스템 구축, 다이빙 보트 내 입·출수 리프트, 화장실 등 편의시설 필요, 다이빙 보트 스크루 안전망 설치, 지역 보트 운항 가이드 라인, 스쿠버다이빙 정규 코스 교육 프로그램, 전문 스쿠버다이빙 강사 및 가이드 고용, 다양한 SNS를 이용한 소통 및 홍보, 다이버의 입소문을 통한 홍보, 지역 다이빙 리조트 연합회 활동, 한인 다이빙 연합회 활동, 지역 어촌계와의 소통 및 상생 정책, 지역 관광산업과 연계정책이 공통적인 중요 활성화 요인으로 나타났다.

AED장착 자판기, 국내 도입해야 한다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벤딩인더스트리
    • /
    • 제8권3호
    • /
    • pp.80-86
    • /
    • 2008
  • 자판기가 단순히 판매장비로만 역할을 한정해서는 안 된다. 자판기의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볼 때 '좋은 일'들을 하는데도 얼마든지 활용될 수 가 있다. 하고자 한다면 좋은 일에 쓰는 모금을 한다거나 유괴방지 및 범죄예방 시스템을 채택할 수 있다. 심지어는 사람의 생명까지 구해내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자판기에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일명 "심실제새동기"라고도 함. 이하 AED)를 부착하면 갑작스런 심장마비가 발생한 환자를 구해 낼 수 있다. 자판기의 사회적 책임강화에 산업의 미래를 걸고 있는 일본에서는 한창 AED 장착 자판기 보급을 늘리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런 일본의 사례를 남의 나라 얘기로 '강건너 불구경' 하듯 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국내도 최근 각 공공장소에 AED 보급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설치가 법제화가 된지라 AED설치가 늘고 있다. 이런 환경 변화는 자판기에 있어서도 좋은 기회이다. AED설치를 위해 별도의 공간을 할애할 필요가 없어 자판기에 장착하면 공간활용에 있어 제격이다. 게다가 자판기의 공공성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입 효과가 크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국내도 이제 AED 장착 자판기 보급을 서둘러야 할 시점이다. 일본도 하는데 우리가 못할 이유가 없다. 일본이 AED 장착 자판기를 늘리는 이면에는 산업계의 고도의 실익 계산도 깔려 있다. 국내도 AED 장착 자판기 보급을 늘려야하는 이유 및 시장 과제를 집중 분석해 봤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