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tivating Factors of domestic and overseas scuba diving resorts using delphi method

  • Received : 2022.03.03
  • Accepted : 2022.03.24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activating factors of domestic and overseas scuba diving resorts. Our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in 30 experts who involved in operation and management including scuba diving resort management representative and training team lead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ctivating factors at domestic versus overseas, it was found that common important activating factors included expansion of convenient facilities at public diving places, installation of safety and medical facilities for divers, development of first aid system including AED and oxygen ventilator, requirement of convenient facilities such as water lift and toilet in diving boat, installation of diving boat screw safety system, local boat operation guideline, regular course training program for scuba diving, employment of professional scuba diving instructor and guide, communication and promotion through various SNS portals, promotion by divers' word of mouth, involvement in regional Diving Resort Association, involvement in Korean Diving Association, communication and mutual benefit with local fishing villages, and linkage policy with local tourism industry.

이 연구는 국내 및 해외의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내와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의 경영대표, 교육팀장 등 운영에 관련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3차례에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 분석한 결과 공공다이빙 장소의 편의시설 확충, 다이버들을 위한 안전시설 및 의료시설 설치, AED, 산소 등 응급처치 시스템 구축, 다이빙 보트 내 입·출수 리프트, 화장실 등 편의시설 필요, 다이빙 보트 스크루 안전망 설치, 지역 보트 운항 가이드 라인, 스쿠버다이빙 정규 코스 교육 프로그램, 전문 스쿠버다이빙 강사 및 가이드 고용, 다양한 SNS를 이용한 소통 및 홍보, 다이버의 입소문을 통한 홍보, 지역 다이빙 리조트 연합회 활동, 한인 다이빙 연합회 활동, 지역 어촌계와의 소통 및 상생 정책, 지역 관광산업과 연계정책이 공통적인 중요 활성화 요인으로 나타났다.

Keywords

I. Introduction

21세기 주도산업으로 관광산업이 국내·외적으로 각광받고 있는 시점이다. 현대사회는 경제성장, 근로시간 단축, 소득증대 등 사회변화에 따른 국민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스포츠관광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그 중 해양 스포츠 관광 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류 최후의 자원보고이자 생태환경의 원천인 해양공간자원은 인구의 증가, 경제 및 과학기술의 발전 등에 따라 천혜의 미래공간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는데 주거, 산업, 관광 및 레저 활동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제2의 국토 공간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1]. 또한 지리적으로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는 해양스포츠가 다양한 양질의 산업화기능과 체험관광 그리고 국민의 여가선용 및 지역경제의 파급효과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종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2].

현재 국내 및 해외 해양관광과 해양스포츠를 연계하는 관광 스포츠로는 스쿠버다이빙활동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스쿠버다이빙 동호인 수는 2007년을 기준으로 약 30여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다이빙관련 사업장 403개, 동호인 클럽수 648개, 개인다이버 클럽 43개, 협회나 법인기관 28개로 조사 되었으며 해외 스쿠버다이빙 시장의 경우 1960년대 이후 세계 수중레저인구는 600만 명으로 성장하였으며, 연간 시장규모는 40~60억 달러로 추정된다[3-4].

현재 국내에서 운영되는 스쿠버다이빙리조트는 90여 개소로 파악되며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해외에서 한국인이 운영하는 스쿠버다이빙리조트는 70여개소로 파악된다[5]. 또한, 국제 스쿠버다이빙 교육업체에 등록된 스쿠버다이빙 리조트를 파악해 보면 국내에서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한국인들이 운영하는 업체가 매년 상당수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6].

스쿠버다이빙리조트는 리조트형 스포츠시설업의 한 종류로 숙박 시설, 식음료 시설, 스포츠 시설, 문화 시설, 상업시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어 운영할 수 있으며 해양 스포츠 이벤트 개최, 해양스포츠용품 판매·대여·수리, 해양 스포츠 여행, 해양스포츠 교육 등 다양한 스포츠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7].

그래서 스쿠버다이빙리조트는 스쿠버다이빙 산업의 최전선에 있으면서 산업을 대표할 수 있는 분야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해양스포츠관광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 욕구에 부흥할 수 있는 활동적 특성과 해양스포츠산업 발전에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업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을 갖고 있다.

현재 스쿠버다이빙 인구가 급격하게 늘고 있고 국내·외적으로 활동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국내·외적으로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산업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양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질적으로는 향상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편의시설 부족,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다이빙 안전사고, 변화되지 않는 수중환경 정비 정책 등 아직까지도 스쿠버다이빙 리조트들이 10년~20년전의 모습으로 정체되어 운영하는 형태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현재 스쿠버다이빙리조트와 관련된 선행연구로는 해외 스쿠버다이빙 관광 이미지 및 방문 열망[8], 해외스쿠버 선택속성[9], 국내 스킨스쿠버 활성화 요인[10], 국내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선택속성[11-12], 국내 스쿠버리조트 운영현황[13], 국내 다이브리조트 방문 만족[14-16], 국내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최적 경영모델[17-18],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참가자의 장소 애착[19],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운영 및 지역 연계방안[20] 등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국내와 해외를 나누어 한정적인 변인을 가지고 진행된 연구들이며 국내와 해외 현장에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는 현실접근적 연구들은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활성화에 대한 세부적인 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이 연구를 통해 국내와 해외의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및 해외 한국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발전과 더불어 국내 해양스포츠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를 위한 요인을 도출한다.

둘째,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를 위한 요인을 도출한다.

셋째, 국내와 해외의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를 위한 요인을 비교 분석한다.

II. Method

1. Research Subject

이 연구의 실증적인 접근방법을 위하여 패널선정은 국내와 해외에서 스쿠버다이빙리조트를 운영하고 있는 현장 운영 전문집단으로 구성하였다. 국내에서는 스쿠버다이빙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강원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남도와 제주도를 포함해 총 5개 지방을 우선 선택하였고 각 지방별로 대표적인 3~4개의 스쿠버다이빙 리조트를 선택하였다. 해외에서는 한국인 스쿠버 다이빙 방문객이 많은 필리핀, 사이판, 태국을 우선 선택하였으며 각 국가별로 대표적인 3~6개의 스쿠버다이빙리조트를 선택하였다. 스쿠버다이빙리조트의 대표성은 운영경력, 리조트 수용인원, 방문객 수, 부대시설의 준비성 등을 기준으로 순위를 가려 설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총 30개의 스쿠버다이빙 리조트의 경영대표, 교육팀장 등 운영에 관련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CPTSCQ_2022_v27n3_239_t0001.png 이미지

2. Research Method

국내와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 비교하기 위한 조사도구로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 및 수렴하는 델파이 기법(Delphi Method)을 활용하였다. 우선적으로 문헌조사[21]와 선행연구[10] 그리고 전문가 회의를 통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요인을 찾기 위한 상위영역을 도출하였다.

1차 조사는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와 관련된 상위영역인 다이빙 시설, 다이빙 장비, 다이빙 보트, 프로그램, 인력운영, 홍보, 지역조직, 지역정책, 수중환경 등 총 9가지 유형의 영역으로 나누어 9문항의 완전 개방형 질문 문항을 사용하였다.

2차 조사는 1차에 사용했던 완전 개방형 설문에서 규합된 의견을 토대로 응답유형을 통합 , 조정, 삭제 등의 작업을 거쳐 그 비중을 고려하여 비교적 구조화된 설문을 제작하여 문항별로 각각 4~5개의 항목으로 동의정도를 범주화하여 적극 동의(5점), 동의(4점), 보통(3점), 동의 안함(2 점), 전혀 동의 안함(1점)의 구조화된 리커트(Likert) 5점 척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3차 조사는 2차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문항항목별에 따라 일정합의 수준 평균 3.5이상에 동의한 항목을 추출하여 중요한 정도를 범주화하여 매우 중요(4점), 보통(3점), 중요하지 않음(2점), 필요 없음(1점)의 구조화된 리커트 (Likert) 5점 척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세부 분야별로 전체 응답자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제시하고 참여자 개개인의 의사와 전체 참여자들의 의사 간에 의견의 일치 혹은 의견의 상이함을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에 대한 각 유형별 문항의 신뢰도를 검사하기 위하여 Cronbach’s Alpha를 실시하였으며, 검사결과는 다이빙 시설 .764~.869, 다이빙 장비 .764~.869, 다이빙 보트 .761~.853, 프로그램 .743~.901, 인력운영 .782~.877, 홍보 .732~.893, 지역조직 .764~.869, 지역정책 .791~.889, 수중환경 .783~. 859로나타나 모두 수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수집방법에 있어서는 1차 조사(2021년 7월 2일 ~ 7 월 30일)는 각 참여 대상자에게 사전에 전화통화를 통하여 연구 취지를 설명하고 원격 설문지, 이메일을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차 조사(2021년 8월 10일 ~ 8월 29일), 3차 조사(2021년 9월 11일~ 9월 30일)도 원격 설문지와 이메일의 방법을 통하여 배포와 회수를 실시하였다.

통계처리를 위해서는 Window SPSS(ver. 22.0)와 Microsoft Office Excel 2017을 활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III. Results and discussion

1. An Analysis on the Activating Factors of Dive Facility, Equipment, Boat

(Table 2)는 다이빙 시설, 장비, 보트 영역에 대한 국내 및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1차 하위 요인과 2차 동의 정도, 3차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Table 2. An Analysis on the Activating Factors of Dive Facility, Equipment, Boat

CPTSCQ_2022_v27n3_239_t0002.png 이미지

다이빙 시설 영역에 대한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공공 다이빙 장소의 편의시설 확충, 다이빙 교육 수영장 운영, 다이빙 장소 안전시설 설치, 숙식일체형 리조트로 변화, 상시 오픈형 공동 휴게시설 운영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공공 다이빙 장소의 편의시설 확충(M=4.56/4.60), 다이빙 장소 안전시설 설치 (M=4.55/4.45), 다이빙 교육 수영장 운영(M=4.03/4.12)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빙 시설 영역에 대한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숙식 일체형 리조트 조성, 다이버를 위한 지역 챔버의료시설, 공공 다이빙 장소의 치안 및 편의시설 확충, 다이빙 교육 수영장 운영, 리조트 내 독립된 교육실 운영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다이버를 위한 지역 챔버의료시설(M=4.51/4.58), 공공 다이빙 장소의 치안 및 편의시설 확충(M=4.43/4.51), 숙식 일체형 리조트 조성(M=4.30/4.46)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빙 시설에 대한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분석해 보면 공공다이빙 장소의 편의시설 확충과 다이버들을 위한 안전시설 및 의료시설 설치가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서는 해양레저관광 4대 핵심산업으로 강원도, 제주도,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해중경관지구 지정 및 홍보사업이 2019년부터 진행되고 있다[4].

이러한 사업들이 진행 되고 있는 시점에 공공다이빙 장소의 편의 시설 개발 및 안전시설 설치, 다이빙전문 의료시설 등의 우선 설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스쿠버다이빙 전문가 중점의 의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다이빙 장비 영역에 대한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테크니컬다이빙, 프리다이빙 등 전문장비 확충, AED, 산소 등 응급처치 시스템 구축, 렌탈용 장비의 노후화 개선 및 고급화, 장비 A/S 전문 시설, 수중촬영 장비 구축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AED, 산소 등 응급처치 시스템 구축(M=4.58/4.64), 수중촬영 장비 구축 (M=4.54/4.49), 렌탈용 장비의 노후화 개선 및 고급화(M=4.55/4.48)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빙 장비 영역에 대한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테크니컬다이빙, 프리다이빙 등 전문장비 확충, AED, 산소 등 응급처치 시스템 구축, 다양한 가스 공급을 위한 브랜딩 시스템, 다이빙 안전관리 장비 구축, 장비 A/S 전문 시설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테크니컬 다이빙, 프리다이빙 등 전문장비 확충 (M=4.65/4.52), AED, 산소 등 응급처치 시스템 구축 (M=4.51/4.57), 다이빙 안전관리 장비 구축(M=4.51/4.43)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빙 장비에 대한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분석해 보면 AED, 산소 등 응급처치 시스템 구축 의견이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World Recreational Scuba Training Council (WRSTC)에 가입된 PADI, NAUI, SDI 등 스쿠버다이빙 국제 교육단체들은 스쿠버다이빙 리조트에 산소 응급처치 장비, 구급약품 등 응급처치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의무 또는 권고하고 있다[22].

이것은 다이빙 사고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에서도 응급처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곳을 찾아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는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안전사고 대비를 위한 응급처치 시스템 도입을 높일 수 있도록 스쿠버다이빙 교육단체 및 지역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연합회 차원의 교육 및 계몽 활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이빙 보트 영역에 대한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리조트 전용 다이빙 보트 운영, 다이빙 보트 내 입·출수 리프트, 화장실 등 편의시설, 다이빙 보트 스크루 안전망 설치, 항 내 레저보트 전용 계류공간 확보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다이빙 보트 내 입·출수 리프트, 화장실 등 편의시설(M=4.76/4.76), 다이빙 보트 스크루 안전망 설치(M=4.72/4.75), 항내 레저 보트 전용 계류공간 확보(M=4.53/4.47) 순으로 동의 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빙 보트 영역에 대한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리조트 전용 다이빙 보트 운영, 다이빙 보트 내 입·출수 리프트, 화장실 등 편의시설, 지역 보트 운항 가이드 라인, 다이빙 보트 스크루 안전망 설치, 지역 보트 접안시설 확충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다이빙 보트 내 입·출수 리프트, 화장실 등 편의시설(M=4.58/4.62), 리조트 전용다이빙 보트 운영(M=4.58/4.55), 지역 보트 운항 가이드 라인(M=4.44/4.56)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빙 보트에 대한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분석해 보면 다이빙 보트 내 입·출수 리프트, 화장실 등 편의시설 필요 의견과 다이빙 보트 스크루 안전망 설치, 지역 보트 운항 가이드 라인 등 보트 운항 안전관리에 대한의견이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국내 및 해외 다이빙 보트는 레저용 보트가 아니라 어선 및 군용 보트로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는 2000년도에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가 도입되어 레저용 보트 운항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23]. 이 후 스쿠버다이빙전용선이 개발되기 시작되었고 현재에는 입·출수 리프트, 선실, 화장실, 휴게실, 장비선반 등 여러 가지 편의시설을 갖춘 보트가 운영되고 있다.

국내 및 해외 모두 스쿠버다이빙전용선을 이용하여 다이빙 활동을 하는 경우가 70~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스쿠버다이빙전용선의 편의시설에 대한 개발수요는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수중레저법이 수중레저사업자의 안전관리 및 준수 의무를 규정하고 있지만 스쿠버다이빙 전용선의 스크루에 부딪혀 숨지는 경우와 높은 파도에 표류하는 경우 등 다이빙 보트에 관련된 안전사고가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24]. 현실적인 보트 운항 안전관리를 위해 서는 해양수산부 산하 해양경찰청이 국내 전역의 해역에서 통일된 수중레저법을 규정하고 운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해, 남해, 서해, 제주 등 지역별 기후 및 지형의 특색을 고려하고 39년 이상 스쿠버다이빙 안전관리에 대한 노하우를 축척해 놓은 국제 다이빙 관련 안전기구인 다이빙 경보 네트워크(Divers Alert Network)의 안전 수칙[25] 등을 적용하여 지역별 보트 운항 가이드 라인을 만들어 지역별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 An Analysis on the Activating Factors of Program, Operating personnel, Promotion

(Table 3)은 프로그램, 인력운영, 홍보 영역에 대한 국내 및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1차 하위 요인과 2차 동의정도, 3차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Table 3. An Analysis on the Activating Factors of Program , Operating personnel, Promotion

CPTSCQ_2022_v27n3_239_t0003.png 이미지

프로그램 영역에 대한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지역특화 투어프로그램 개발, 스쿠버다이빙 정규 코스 교육 프로그램, 체험 다이빙 프로그램, 수중촬영 프로그램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스쿠버다이빙 정규 코스 교육 프로그램(M=4.60/4.62), 체험 다이빙 프로그램(M=4.51/4.57), 수중촬영 프로그램(M=4.31/4.51)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프로그램 영역에 대한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스쿠버다이빙 정규 코스 교육 프로그램, 한국과 해외 교육 및 투어 연계프로그램, 지역 특화 투어 프로그램 개발, 해양 환경보호 프로그램, 비다이버와 함께하는 육상관광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한국과 해외 교육 및 투어 연계 프로그램(M=4.64/4.66), 지역 특화 투어 프로그램 개발(M=4.61/4.55), 스쿠버다이빙 정규 코스 교육 프로그램(M=4.55/4.55)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 분석해 보면 스쿠버다이빙 정규 코스 교육 프로그램 의견이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스쿠버다이빙의 교육 서비스품질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육 서비스 품질 중 프로그램이 재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해주고 있다[26].

스쿠버다이빙 활동은 스쿠버 다이빙 교육 단체에서 소정의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자에 대해 해당 교육을 마쳤음을 인정해주는 인정증을 기본으로 시작하게 된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초급교육 프로그램에서 강사교육 프로그램까지 여러 단계의 레벨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수중촬영 교육 프로그램, 딥다이빙 교육 프로그램, 야간다이빙 교육프로그램 등 30여 가지의 다양한 목적의 정규 교육 프로그램으로 설계되어 있다[6]. 현재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중환경을 다양하게 즐기려는 다이버들이 급증하고 있어 스쿠버다이빙 리조트에 직접 신청 등록하여 스쿠버다이빙 정규 코스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 만큼 스쿠버다이빙 교육 프로그램은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활성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인력운영 영역에 대한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다이빙인력 외 리조트 전문 관리인력 고용, 근로자의 일정한 연봉보장, 4 대 보험 등 직원 복지 혜택 도입, 지자체, 대학 등 스쿠버다이빙 전문인력양성 기관 설립, 전문 다이빙 보트 운항 교육, 전문 스쿠버다이빙 강사 및 가이드 고용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전문 스쿠버다이빙 강사 및 가이드 고용(M=4.58/4.55), 전문 다이빙 보트 운항 교육(M=4.45/4.41), 근로자의 일정한 연봉보장, 4 대 보험 등 직원 복지 혜택 도입(M=4.21/4.16) 순으로 동의 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운영 영역에 대한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언어 장벽 해결, 현지의 노동법 및 문화에 대한 이해, 전문 스쿠버다이빙 강사 및 가이드 고용, 신속하고 유연한 한국인 워킹비자 발급, 인력운영을 위한 투어 인솔강사 보험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신속하고 유연한 한국인 워킹비자 발급(M=4.80/4.75), 전문 스쿠버다이빙 강사 및 가이드 고용(M=4.57/4.54), 현지의 노동법 및 문화에 대한 이해(M=4.52/4.57) 순으로 동의 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운영에 대한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 분석해 보면 전문 스쿠버다이빙 강사 및 가이드 고용 의견이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스쿠버다이빙 리조트에서 리조트와 고객을 이어주는 체인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스쿠버다이빙 전문인력이라 볼 수 있다.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직원의 전문성과 서비스제공, 친절함 등이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한 우선순위에 포함된다고 하고 있어 이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27].

홍보 영역에 대한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해외 다이버들의 유입을 위한 홍보, 지역 다이빙 이벤트 진행, 다이버의 입소문을 통한 홍보, 다양한 SNS를 이용한 소통 및 홍보, 인터넷 매체를 이용한 광고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 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지역 다이빙 이벤트 진행 (M=4.53/4.47), 다양한 SNS를 이용한 소통 및 홍보 (M=4.48/4.52), 다이버의 입소문을 통한 홍보 (M=4.36/4.39)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보 영역에 대한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다양한 SNS를 이용한 소통 및 홍보, 다이버의 입소문을 통한 홍보, 지역관광청 연계 홍보, 한국 다이빙업체 직접홍보, 홈페이지 활용 홍보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다양한 SNS를 이용한 소통 및 홍보 (M=4.51/4.72), 다이버의 입소문을 통한 홍보 (M=4.60/4.60), 홈페이지 활용 홍보(M=4.38/4.35) 순으로 동의 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보에 대한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 분석해보면 다양한 SNS를 이용한 소통 및 홍보 의견과 다이버의입소문을 통한 홍보 의견이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현대사회는 온라인상 다양한 정보를 얻으며 소통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채널의 스쿠버다이빙 네트워크 활동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홍보를 위해 직접 SNS를 이용한 다양한 소통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방문했던 고객들의 SNS를 이용한 입소문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킨스쿠버 활성화를 위해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과 SNS를 활용한 홍보시스템 구축 등 홍보매체의 다양화를 강조하고 있어 이 연구를 뒷받침하고 있다[10].

3. An Analysis on the Activating Factors of Local organization, Local policy, Underwater environment

(Table 4)는 지역조직, 지역정책, 수중환경 영역에 대한 국내 및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1차 하위 요인과 2차 동의정도, 3차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Table 4. An Analysis on the Activating Factors of Local organization, Local policy, Underwater environment

CPTSCQ_2022_v27n3_239_t0004.png 이미지

지역조직 영역에 대한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지역 다이빙 리조트 연합회 활동, 지역 상업(식당, 교통 등)조직 연계 활동, 지역 스쿠버다이빙 클럽활동, 지역 리조트 상호지원조직 구성, 스쿠버교육단체 활동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지역 스쿠버다이빙 클럽활동(M=4.41/4.48), 지역 다이빙 리조트 연합회 활동 (M=4.12/4.02), 지역 상업(식당, 교통 등)조직 연계 활동 (M=4.05/4.15)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조직 영역에 대한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지역 상업(식당, 교통 등)조직 연계 활동, 정부 및 지자체 스쿠버다이빙 관련협력부서의 체계확립, 지역 경찰 및 공무원조직 연계 활동, 한인 다이빙 연합회 활동, 스쿠버교육단체 활동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한인 다이빙 연합회 활동(M=4.31/4.47), 지역 경찰 및 공무원조직 연계활동(M=4.27/4.31), 스쿠버다이빙 산업 관련 정부 및 지자체의 조직체계 확립(M=4.15/4.20)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조직에 대한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 분석해 보면 지역 다이빙 리조트 연합회 활동, 한인 다이빙연합회 활동 등 지역에서 공동체를 이루며 서로 협심할 수 있는 스쿠버다이빙 조직 활동 의견이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스쿠버다이빙 활동은 지역의 해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한 지역에서 다양한 스쿠버다이빙 리조트들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어부들처럼 자연적으로 서로 연합하여 재난 상황과 안전사고 등을 이겨내고 아름다운 해양 자연을 동반하는 선의의 경쟁자들이라고 볼 수 있다. 지역 공동체를 이루며 서로 협심하는 조직을 이룬다는 것은 국내에서든 해외에서든 다른 어떠한 활성화 요인보다 중요한 요인이라 볼 수 있다.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도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사업의 발전방향을 위해서는 리조트사업체의 공동체 의식 개발이 필요하다고 나타나 이 연구를 지지해 주고 있다[20].

지역정책 영역에 대한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지역 어촌계와의 소통 및 상생 정책, 정부의 대안 없는 과도한 규제 개정, 지자체 및 해경 담당부서와의 원활한 소통정책, 다이빙 장소의 안전확보 및 환경정비 정책, 수중채집 근절을 위한 정책 개선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분석 결과 수중채집 근절을 위한 정책 개선(M=4.86/4.64), 정부의 대안 없는 과도한 규제 개정(M=4.55/4.58), 지역 어촌계와의 소통 및 상생 정책(M=4.36/4.39) 순으로 동의 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정책 영역에 대한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지자체와 리조트연합회의 상생정책 개발, 여행사의 무분별한 체험 다이빙 상품 판매 근절, 공공 다이빙장소에 치안관리 정책, 지역 관광산업과 연계정책, 다이빙장소의 환경보호 및 정비 정책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여행사의 무분별한 체험 다이빙상품 판매 근절 (M=4.50/4.35), 지역 관광산업과 연계정책(M=4.17/4.12), 공공 다이빙장소에 치안관리 정책(M=4.18/4.09) 순으로 동의 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정책에 대한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 분석해 보면 지역 어촌계와의 소통 및 상생 정책, 지역 관광산업과 연계정책 등 지역에서의 소통과 상생, 연계 활동의견이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도 지역주민들과의 상생방안 논의 및 공동사업 추진, 지역경제 활성화 연계, 지역과 연계한 관광 등이 구축되어야 스쿠버다이빙 리조트와 지역사회가 함께 발전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타나 이 연구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17, 20].

수중환경 영역에 대한 국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수중 인공구조물 설치 등 수중환경 조성 투자, 안전하고 편리한 입출수가이드 라인 설치, 초급다이버를 위한 수중교육 환경 조성, 정기적인 지역 수중 정화 행사 진행 및 캠페인, 어촌계와 함께하는 수중환경 개선 사업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수중 인공구조물 설치 등 수중환경 조성 투자(M=4.84/4.82), 안전하고 편리한 입출수 가이드 라인 설치(M=4.78/4.75), 정기적인 지역 수중 정화 행사 진행 및 캠페인(M=4.35/4.44) 순으로 동의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환경 영역에 대한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하위 요인 구성을 위한 1차 조사 분석 결과 초급다이버를 위한 수중 교육환경 조성, 근거리의 다양한 다이브 사이트 개척, 썬블록 규제 등 산호초 보호 캠페인, 주기적인 수중정화 및 해변청소, 안전하고 편리한 입출수 가이드 라인 설치 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 및 3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안전하고 편리한 입출수 가이드 라인 설치 (M=4.71/4.78), 주기적인 수중정화 및 해변청소 (M=4.56/4.61), 산호초 보호 캠페인(M=4.32/4.23) 순으로 동의 정도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환경에 대한 국내와 해외의 활성화 요인을 비교 분석해 보면 안전하고 편리한 입출수 가이드 라인 설치 의견과 수중정화 산호보호 캠페인 등 수중환경 보호 활동 의견이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났다. 스쿠버다이빙 활동은 누구나 아름다운 수중환경에서 이루어지길 원한다. 현재 스쿠버다이버들은 새로운 해양환경을 찾는 것에서 전환하여 스쿠버다이빙 활동이 주로 행하여지는 해양환경을 관리하고 조성하는데 더 큰 관심을 갖고 있다. 그리고 해양환경을 해치지 않는 한도에서 다이버들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입출수 가이드 라인 설치는 필수 요소이다. 또한 해양환경 보호를 위한 다양한 활동들은 다이버들의 자긍심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도 해양환경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28].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도 수중환경의 우수함이 선택속성 [9]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중환경에 대한 이미지는 스쿠버다이빙 관광지 방문 열망에 개입하여 여가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요인으로 확인되어 이 연구를 지지해 주고 있다[8].

IV. Conclusions

이 연구는 델파이 분석을 이용하여 국내 및 해외의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앞으로 스쿠버다이빙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와 해외 총 30개의 스쿠버다이빙리조트의 경영대표, 교육팀장 등 운영에 관련된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3차례에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도출해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이빙 시설 영역과 관련된 국내와 해외의 중요한 활성화 요인은 공공다이빙 장소의 편의시설 확충과 다이버들을 위한 안전시설 및 의료시설 설치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해양레저관광 개발 사업이 진행 될 때 공공다이빙 장소의 편의시설 개발 및 안전시설 설치, 다이빙전문 의료시설 설치가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다이빙 장비 영역과 관련된 국내와 해외의 중요한 활성화 요인은 AED, 산소 등 응급처치 시스템 구축으로 나타났다. 스쿠버다이빙리조트에 응급처치 시스템 도입률을 높여 안전사고를 대처할 수 있도록 스쿠버다이빙 교육단체 및 지역스쿠버다이빙 리조트 연합회 차원의 계몽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다이빙 보트 영역과 관련된 국내와 해외의 중요한 활성화 요인은 다이빙 보트 내 입·출수 리프트, 화장실 등 편의시설 필요와 다이빙 보트 스크루 안전망 설치, 지역 보트 운항 가이드 라인 등 보트 운항 안전관리로 나타났다. 지속적으로 스쿠버다이빙보트 이용이 늘어나면서 전용 보트 및 보트 편의시설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른 지역별 보트 운항 가이드 라인을 만들어 보트 운항의 안전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프로그램 영역과 관련된 국내와 해외의 중요한 활성화 요인은 스쿠버다이빙 정규 코스 교육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수중환경을 다양하게 즐기려는 다이버들이 급증하고 있어 앞으로도 교육프로그램은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판단되며 교육프로그램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인력운영 영역과 관련된 국내와 해외의 중요한 활성화 요인은 전문 스쿠버다이빙 강사 및 가이드 고용으로 나타났다. 전문성과 서비스의식을 겸비한 스쿠버다이빙 활동 안내자가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에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역 해양환경에 맞는 스쿠버다이빙 교육과 수중 안내가 이루 어질 수 있도록 지역별 강습회 및 가이드 세미나가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홍보 영역과 관련된 국내와 해외의 중요한 활성화 요인은 다양한 SNS를 이용한 소통 및 홍보 의견과 다이버의 입소문을 통한 홍보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스쿠버다이빙 리조트 홍보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인기 있는 SNS를 이용한 고객들과의 소통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직·간접적으로 해양환경 또는 다이빙 활동에 대한 사진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활용하여 보다 많은 고객들에게 입소문을 이끌어 내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지역조직 영역과 관련된 국내와 해외의 중요한 활성화 요인은 지역 다이빙 리조트 연합회 활동, 한인 다이빙 연합회 활동으로 나타났다. 스쿠버다이빙 활성화 지역에서 스쿠버다이빙리조트들은 지역별 공동체 의식 개발로 시작하여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연합회 형태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나가가서 안전관리, 인력운영, 장비활용, 보트운항 면에서 상시적으로 협업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만들어 낸다면 지역 스쿠버다이빙 활성화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여덟째, 지역정책과 관련된 국내와 해외의 중요한 활성화 요인은 지역 어촌계와의 소통 및 상생 정책, 지역 관광산업과 연계정책으로 나타났다.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를 위해 스쿠버다이빙리조트 운영자들은 지역과 연계된 다양한 사업을 지역 소통으로부터 이끌어 내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지역정책으로 발전 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아홉째, 수중환경 영역과 관련된 국내와 해외의 중요한 활성화 요인은 안전하고 편리한 입출수 가이드 라인 설치와 수중정화 산호보호 캠페인 등 수중환경 보호 활동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해양생태계를 보호하고 계몽하며 안전하게 스쿠버다이빙을 즐길 수 있는 수중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스쿠버다이빙리조트들의 역할이며 그 자체가 중요한 활성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국내와 해외 모두 한국인 전문가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델파이 분석 진행 시 한국인의 시점으로만 바라볼 수 밖에 없는 연구의 한계점이 있었다. 앞으로는 다양한 국가의 다이빙 고객들을 유치할 수 있는 한국 특색의 스쿠버다이빙리조트 활성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해외 스쿠버다이빙리조트 전문가들의 의견을 포함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Son H. S., "International marine tourism city, Realize the possibility", Busan Development Forum, pp. 4-5, September 2008, Busan, Korea
  2. Cha S. K., "International marine tourism city. Realize the possibility", Korean sports research, Vol. 18, No. 5, pp. 1117-1124, May 2007.
  3. Jin H. G., Yoon Y. J., Jung H. J., "The review and effective legal improvement of skin scuba diving". The korean Associationof Spotrs and Entertainment Law, Vol. 10, No. 4, pp. 331-350, October 2007.
  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easures to revitalize marine leisure tourism", https://www.mof.go.kr/surf/list.do
  5. http://www.diveweb.co.kr
  6. https://locator.padi.com/search?lang=ko&location=currentLocation
  7. Park S. S., "Study on Establishment of Optimum Business Model and Strategies for Regional Development of Scuba Diving Resort" Not published a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2
  8. Kim H. I., "SCUBA Diving Destination Image, Travel Constraints and Travel Desire of Long-haul SCUBA Diving Tourists", Korean Journal of Lesure, Recreation & Park, Vol. 35, No. , pp. 127-142, Dec 2007.
  9. Kim O. J., Kim R. K., Jung H. M., Han T. Y., "An Investigative Study on Selection Attribute Factor Concerning Overseas Scuba Diving",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8, No. 6, pp. 233-251, Dec 2019. https://doi.org/10.35159/kjss.2019.12.28.6.233
  10. Kwon Y. T., Yeo K. A., "A study on the activation factor of skin-scuba using delphi method", Korea Institute of Sports Science, Vol. 28, No. 3, pp. 684-697, Mar 2017. DOI: 10.24985/kjss.2017.28.3.684
  11. Lee D. W.,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alysis on Scuba diving Resort Customers perceived Lifestyle and Selection Attribute and Loyalty",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8, No. 5, pp. 463-475, Oct 2019. https://doi.org/10.35159/kjss.2019.10.28.5.463
  12. Song J. M., Kang J. H., "Exploring the Hierarchical Factors of the Skin Scuba Participants' Selection Attributes on the Scuba Resort",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6, No. 1, pp. 143-157, Feb 2017. https://doi.org/10.35159/kjss.2017.02.26.1.143
  13. Song J. M., "Analysis on the operation current state of Scuba resort in Korea using service blueprint",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30, No. 2, pp. 421-434, Apr 2021. https://doi.org/10.35159/kjss.2021.4.30.2.421
  14. Lww J. W., Koh S. E., Ha H. Y., "An Empirical Study of Experiential Value, Visit Satisfaction and Intentions to Reuse Scuba Services on Service Quality in the Dive Resort Industry",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Research, Vol. 14, No. 2, pp. 1-17, Feb 2012.
  15. Song J. M., "The Effect of Satisfaction Experiences and Attachment on Switching Co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the Visitors of Scuba Resort",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8, No. 1, pp. 113-127, Feb 2019. https://doi.org/10.35159/kjss.2019.02.28.1.113
  16. Park S. S., Lee Y. C., "The Effective to Cause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ing in Service Quality in Regional Marine Sports Resort -Based on Scuba Diving Resort to Uljin-Gun, Gyeongbuk-",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42, No. 1, pp. 199-210, Nov 2010. DOI: 10.51979/KSSLS.2010.11.42.199
  17. Eum D. Y., Seok K. H., "A Study on Solution of Linkage with Regional Tourist Infrastructure to Develop an Optimized Administration Model for Scuba-diving Resort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3, No. 5, pp. 873-884, Oct 2014.
  18. Lee Y. C.,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Scuba Diving Resort",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56 No. 1, pp. 305-318, May 2014. DOI: 10.51979/KSSLS.2014.05.56.305
  19. Lee Y. C., Hong C. J., "The Effect or Experiential Value of the Skin Scuba Diving Participants on Their Emotional Responses and Affinity to Location - Study focused on the Case of Jeju Regio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73, pp. 261-271, Aug 2018. DOI: 10.51979/KSSLS.2018.08.73.261
  20. Park S. S., "Delphi analysis on a scuba diving resort operations and regional linkage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1, No. 6, pp. 33-48, Dec 2012.
  21. Wee S. S., Kwon Y. T., "Introduction to Sport and Leisure Studies" Seoul : Deakyeung books, 2010.
  22. Dive Standards, https://wrstc.com
  23. Comprehensive marine leisure information, https://imsm.kcg.go.kr
  24. Park J. H., "Jeju scuba diving accidents on the rise", https://www.yna.co.kr/view/AKR20211213074200056?input=1195m
  25. Dive Accident Reporting & Research, http://www.danap.org/accident.php
  26. Shin M. S., Oh K. A., Park S. J.,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Scuba Diving",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 36, No. 4, pp. 1327-1337, Dec 2019. https://doi.org/10.12925/JKOCS.2019.36.3.1327
  27. Song J. M., "Exploring the Hierarchical Factors of the Skin Scuba Participants' Selection Attributes on the Scuba Resort",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6, No. 1, pp. 143-157, Feb 2017. https://doi.org/10.35159/kjss.2017.02.26.1.143
  28. PADI AWARE, https://www.padi.com/aware/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