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patial Analysis about Arrival Delay and Dispatch Distribution of the 119 Rescue-Aid Service utilizing GIS - Gyeongsangbuk-Do Case Study -

GIS를 활용한 119 구조구급서비스의 도착지체 및 출동배치에 대한 공간분석 - 경상북도 사례 연구 -

  • 오창석 (감사원 감사연구원) ;
  • 이승원 (감사원 감사연구원) ;
  • 이인묵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기술전략연구실) ;
  • 고승영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Received : 2011.08.29
  • Accepted : 2011.11.22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119 emergency rescue-aid service operated by Korean government is a very valuable in a society and its importance is growing in Korea as an aging society. Especially, the emergency vehicle's arrival time to accidents place i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affects initial emergency measure for patients and it depends on the road network attributes, such as emergency service station's location, accessibility to accidents place and so on. This study aims to analysis the emergency vehicles' arrival delay and the dispatch station in the viewpoint of efficiency utilizing the real rescue-aid activity data. We analyzed the dispatch distribution of the emergency rescue-aid service at first. And we analyzed high accident rate locations not involved in the fixed radius of rescue-aid service stations and display GIS map showing regions have been delayed. The input data of the road network speed is based on the KTDB (Korea Transportation Database) and historical rescue-aid data is from Gyeongsangbuk-do's fire service headquarters.

국가가 운영하는 119 구조 구급 출동서비스는 응급상황에서 인간의 생명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응급 운송시스템이며, 고령화 사회로의 급속한 전이를 보이는 우리나라의 현 사회구조를 비추어 볼 때 그 중요성은 더욱 커져가고 있다. 특히 긴급차량의 사고현장 도착시간은 환자의 초등 조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며, 출동서비스 센터의 위치, 사고 현장까지의 접근성 등 도로네트워크 속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의 구조 구급활동자료를 바탕으로 119 긴급차량의 도착지체 및 출동배치의 효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구조 구급서비스의 출동분포 특성을 살피고, 구조 구급서비스 시설, 도로 네트워크의 위치정보가 주어진 상태에서 GIS의 공간분석을 활용하여 구조 구급서비스 시설의 일정 반경에 포함되지 않는 사고다발지역(사각지역)과 국가교통 DB상의 도로네트워크 입력속도, 실제 구조 구급일지 상의 현장 도착시간을 각각 입력 값으로 하는 긴급차량 도착지체 지역을 GIS 맵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출동거리가 10km 넘는 원거리 출동빈도가 높은 구조구급 서비스시설의 출동배치 효율성을 분석하고, GIS의 OD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도로네트워크상 최단거리에 위치한 서비스시설에서 출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조 구급서비스망을 개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림, 박창호(2003) 고속도로 선형조건과 GIS기반 교통사고 위험도지수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1권 제1호.
  2. 경상북도(2011) 소방상황실 통합운영에 따른 재난현장 출동지침. 내부문서, 경상북도 소방본부.
  3. 국토지리정보원(2010) 국토지리정보원 전자지도 경사도, 고도. 전산자료, 국토지리정보원.
  4. 국토해양부(2010a) 2007년 기준 국가교통DB 네트워크. 전산자료, 국토해양부.
  5. 김재헌, 정진혁, 최민환, 장훈(2008) TCS 자료 및 GIS를 이용한 한국의 통행패턴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6권 제3호.
  6. 김황배, 김시곤, 권영인(2001) GIS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도시시설의 최적입지 평가방법 연구 - 수도권 도심공항터미널 입지 후보지 평가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1권 제3D호, pp. 289-297
  7. 김황배, 김동문, 오승훈(2002) GIS공간분석기법을 적용한 화재경계지구 설정과 소방서의 적정위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주거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4D호, pp. 607-616.
  8. 김황배, 김시곤(2006) 접근성이론과 GIS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한 행정기관의 입지선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3D호. pp. 385-391.
  9. 박신형(2010) 효과적인 사고취약구간 판별을 위한 공간분석기법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0. 소방방재청(2010) '09년도 구급활동 실적. 내부문서, 소방방재청 구조구급과.
  11. 소방방재청(2010a) 구조.구급활동정보시스템. 전산자료, 소방방재청.
  12. 양병윤(2004) GIS를 활용한 응급의료지의 효과적 분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13. 이승원(2011) 119 구조.구급활동 감사에서 GIS 활용 연구. 감사논집, 감사원 감사연구원
  14. 홍기훈, 이광정, 김진택, 이동훈(2008)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중증도별 병원전 환자이송시간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대한응급의학회, 제19권 제2호.
  15. 황지혜(2010) 지리정보시스템(GIS)로 분석한 대전광역시 응급의료 서비스 취약지 특성. 석사학위논문, 건양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