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s of the Security Management at Critical Facilities in South Korea: College students' attitudes toward increasing demand for security personnel and the alternatives to police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및 의무경찰제도 폐지에 따른 보안산업 변화에 대한 인식

  • 왕석원 (여주대학교 스포츠.경호과) ;
  • 최연준 (경기대학교 시큐리티매니지먼트전공)
  • Received : 2019.11.05
  • Accepted : 2019.12.10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With the government policy on converting contract workers to full-time employee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hanges about the security personnel at the nation's critical facilities, including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 and airports. Moreover, the scheduled disbandment of the conscripted police force in 2023 has raised concerns about security management at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To examine the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the possible alternatives to fill the expected security gap, 234 undergraduate students of security management and protec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surveyed. Particularl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legal bases and supervision, the employment types and salaries, and the scopes of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of suggested alternative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utilization of private police forces was thought to be the most effective option.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university departments should develop and maintain a quality curriculum to educate their students to be prepared security professionals with a focus on emergency response capabilities and martial arts, including the courses on private police law and emergency rescue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이라는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국회, 정부청사, 인천공항 등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보안산업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현역병 지원감소 등의 이유로 2023년 의무경찰 제도가 폐지하게 되어 국회, 정부청사, 경찰청 등 국가중요시설뿐만 아니라 경찰관서, 국회의장 등의 공관 및 전직 대통령 사저 등에서 기존 의무경찰이 담당하던 시설경비업무를 대체할 수 있는 인력 마련이 시급한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대체 인력으로 거론되고 있는 청원경찰, 특수경비원, 방호원의 법적근거 및 관리감독, 고용형태 및 임금, 직무범위 및 직무권한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수도권 5개 대학(2년제 전문대학 3개, 4년제 대학교 2개)의 경호 및 보안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원경찰로 대체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산업의 변화에 따라 경호 및 보안 관련 학과에서는 청원경찰로의 취업 등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위급상황 대처능력', '무도능력'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무도 단증'과 '응급구조 및 심폐소생술', '경비지도사 및 신변보호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무도실기', '청원경찰법', '응급구조 및 심폐소생술' 등의 과목을 경호 및 보안 관련 학과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2019). 의무경찰 감축.폐지 및 대체경찰관 충원 종합계획.
  2. 공배완 (2010). 민간경비의 직무에 관한 청원경찰법상 제도와 경비업법상 특수경비제도의 비교 연구. 법학연구, 38, 325-347.
  3. 김문귀, 이주락 (2019). 경찰관서에서의 청원경찰 활용 가능성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경찰연구, 18(2), 59-80.
  4. 김상균 (2018). 전.의경 폐지에 따른 경찰인력 운용방안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5(3), 1-22.
  5. 노진거, 이영호, 최경철 (2018). 경비업법과 청원경찰의 비교 연구: 특수경비원과 청원경찰을 중심으로. 시큐리티연구, 57, 177-203.
  6. 신형석 (2018).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기조 변화에 따른 국가중요시설 방호인력체계 개편 방안. 시큐리티연구, 57, 9-26.
  7. 양윤정 (2014). 의무경찰의 부대생활 스트레스와 부대적응의 관계에세 탄력성의 매개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최오호 (2019). 국회 외곽 경호.경비시스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시큐리티연구, 60, 113-135.
  9. 황선웅 (2018). 문재인 정부 1년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책 평가: 정책 패러다임의 전환?. 산업노동연구, 24(2), 29-59.
  10. 고대신문, 사라지는 의경제도, 업무 부담 늘어나는 현역 의경. https://www.kunews.ac.kr/news/articleView.html?idxno=30120 (검색일자: 2019.9.17).
  11. 대한민국 의무경찰 홈페이지 https://ap.police.go.kr/ap/main/contents.do?menuNo=200003 (검색일자: 2019.8.19).
  12.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년간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결정 18만5천명, 90.1%(1단계) 달성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42608&call_from=rsslink (검색일자: 2019. 9. 1).
  13. 보안뉴스, 의경 없어진다는데... 국가중요시설 보안.안전 누가 책임지나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78855. (검색일자: 2019.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