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급센터

Search Result 25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Development of Korea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gainst Chemical Accident (화학사고 대비 응급의료정보 제공 한국적 시스템 개발)

  • Wang, So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289-290
    • /
    • 2017
  • 본 연구는 화학사고 시 피해에 대한 응급의료정보를 신속, 적정히 제공, 관리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며, 그 내용으로서 화학사고 응급의료 정보 및 대응 시나리오를 포함한 컨텐트를 제작하여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를 운영하게 될 때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를 응급의료진이 직접 참여하고 관련 기관이 연계되어 시범 운영함으로써 그 결과를 환류, 수정 반영하여 응급의료 정보가 적절히 제공되는 지속적인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가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화학사고 시 응급의료정보 제공에 적합한 콜센터 시스템의 다양한 유형을 개발하고 이 운영 체계가 한국적 상황에 맞는지 시범사업을 통하여 확인하여 화학사고 응급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개발 및 서비스 운영 기반을 확보하고자 한다.

  • PDF

Elicitation of Chemicals Requiring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in Chemical Accidents (화학사고 시 응급의료정보 제공이 필요한 화학물질의 도출)

  • Wang, So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307-308
    • /
    • 2016
  • 본 연구는 화학사고 시 피해에 대한 응급의료정보를 신속, 적정히 제공, 관리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며, 그 내용으로서 화학사고 응급의료 정보 및 대응 시나리오를 포함한 컨텐트를 제작하여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를 운영하게 될 때 사용 가능하게 하며, 직접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를 응급의료진이 직접 참여하고 관련 기관이 연계되어 시범 운영함으로써 그 결과를 환류, 수정 반영하여 응급의료 정보가 적절히 제공되는 지속적인 화학사고 응급 콜센터가 운영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내용이며 이를 위하여 학사고 시 응급의료정보 제공이 필요한 화학물질의 도출의 적절한 방법에 대한 분석과 제안을 통하여 화학사고 응급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개발 및 서비스 운영 기반 확보하는 기초 구조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An Approach to Urban Planning System for Disaster Prevention through Location/Allocation of EMS(Emergency Medical Service) - Focused on Optimum Location of Safety Centers in Jinju - (응급의료서비스 입지/배분을 통한 도시방재시스템의 도시계획적 접근 - 진주시 안전센터의 최적입지를 중심으로 -)

  • Choi, Jin Do;Kim, Yeong;Kim, Sung D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12-112
    • /
    • 2011
  • 오늘날 우리 사회의 생활과 문화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공공 및 개인의 안전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재난과 비상사태는 생명에 대한 희생뿐만 아니라 훨씬 더 심각한 경제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응급사태에 개비하여 적절히 준비되지 않았거나 재난의 예방 및 완화시킬 방법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면 도시의 발전적인 프로젝트는 예고 없이 도시를 강타하는 재난 및 비상사태에 의해 무산되고 만다. 이러한 여건 하에 재난과 응급사고를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응급처치와 서비스에 대한 급격한 관심과 함께 일정한 결정적 대응시간 내에 각종사고와 재해로부터 방어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증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고, 응급구조, 환자이송 등 도시의 병원 전 단계 의료환경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반응시간과 출동거리를 분석함으로써, 응급사고에 즉시 응급구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안전센터(119센터)의 최적 입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고발생, 반응시간, 출동거리 등을 응급의료 활동과 관련된 연구논문, 대상지 전역의 소방기록물과 출동일지 등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신속한 응급의료 서비스를 위한 패턴을 분석 하였다. 또한 응급구조대의 조직과 활동의 분석을 통해 응급의료시설의 최적 입지설정을 위한 제도적 개선대안을 마련해 보았다. 대상지 연구를 위해, 구조활동 및 소방서비스의 최근 통계자료의 조사를 통해 진주시의 모든 119센터의 입지와 응급의료서비스 및 사고발생 현황을 나타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14.0을 사용하였으며, 지역의 특성 분포, 안전센터별 대응시간, 이송시간 등을 소방 GPS시스템과 입지할당모형 중 Center Point Model(CPM)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상지역의 119안전센터의 서비스 질이 나쁜 지역을 지리학적인 관점에서 최적 입지/배분 패턴의 설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응급의료서비스의 효율적인 입지/배분을 통해 공공 및 개인의 안전과 건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search on Job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Medical Experts i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응급의료정보센터 직원의 직무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 Jang, Hyo-Kang;Lim, Jung-Do;Lee, Yong-Chu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6
    • /
    • pp.275-288
    • /
    • 2009
  • The research has been investigated to enhance job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i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and to induce some positive suggestions to develop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s in Korea. As a result, the findings found that the tasks which the experts felt are most easily ones are the guidance, counseling, and advice of a patient, while the most difficult tasks are the advice on the first-aid treatment and the guidance of the hospitals. The research has found the findings that most employees feel that they perform their jobs quite well including the guidance and consultation of first-aide patients. They also feel that they are under stress in consulting patients, and in making decisions to visit emergency centers and to observe the patients in limited information without seeing patients in person.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identity of emergency information centers, feeling that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smoothly the collaboration of such agencies as the administrative, emergency medical centers, 119 resue teams to treat first aide treatments, to provide transportation information, and hospital guidance.

Design integrated emergency center management system with mobile device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통합 응급의료센터 관리 시스템 설계)

  • baek, Sung-hyun;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414-417
    • /
    • 2012
  • Recently, there will be many changes that revised emergency medical service with prescribe specialist doctor emergency medical center duty. if emergency patients come emergency medical center, in the existing system, emergency patients receive treatment in order emergency room doctor and 1-2 resident and 3-4 resident and specialist doctor. in improved system, emergency patients receive treatment to emergency room doctor and duty specialist doctor. as a result, the procedure was. simplify. but appling such a system, there should be placed duty specialist doctor about all departments in hospital. So, all hospitals be difficult to place duty specialist doctor about all departments in hospital. In this paper, to use mobile device, there design integrated emergency center management system for revision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to use emergency medical center service near the user's and specialist doctor service in hospital and the hospital's information service and Emergency room usage service.

  • PDF

Database study for clinical guidelines of children with pneumonia who visited an emergency department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소아 폐렴의 진료 지침을 위한 기초 자료 연구)

  • Hong, Dae Young;Lee, Kyung Mi;Kim, Ji Hye;Kim, Jun Sig;Han, Seung Baik;Lim, Dae-Hyun;Son, Byoung Kwan;Lee, Hun Jae;Lee, Kyung-H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9 no.7
    • /
    • pp.757-762
    • /
    • 2006
  • Purpose : Pneumonia is one of the most common infections in children who visit emergency departments(ED), but standard clinical guidelines for children with pneumonia in Korea have not been studi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llect and evaluate a data-base of children with pneumonia for establishing clinical guidelines in ED. Methods : This study reviewed 304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for pneumonia in the ED at one tertiar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3 and December 2003 retrospectively by reviewing the charts and analyzing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laboratory findings, and radiologic findings between an admission group and a discharge group. Results : The 2 year-5 year age group was the top of age distribution and the peak incidence of monthly distribution was December. Two hundred forty seven(81.3 percent) children were hospitalized(admission group), and the mean length of hospitalization was $7.24{\pm}3.24$ days. The most common indications of admission were fever, tachypnea and an age of less than three months.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follow-up between the two groups(85.8 percent in admission group vs 35.1 percent in discharge group). Conclusion : More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clinical standard guidelines for children with pneumonia. This will be helpful in ED management and will aid the prevention of pneumonia.

Analysis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rea Using GIS: the Case of Seoul (GIS를 이용한 응급의료 진료권 분석: 서울시를 사례로 하여)

  • 이희연;박미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2 no.2
    • /
    • pp.193-20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rvice area of emergency medical centers using GIS-based spatial analysis methods in Seoul, focusing on the behaviour of patients on the choosing of emergency centers. For this analysis, six emergency centers were selected to collect data for the information on the addresses of patients from September to November hi 2003. Analysis on the service area, which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in terms of distance from emergency medical centers, clearly reveals that the majority of patients was located within or adjacent districts at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However, the size of the primary service area f3r six emergency medical centers was much different, implying that the decision to visit specific emergency medical center by patients was closely related to the siz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area, this research tries to construct the surface map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level supplied by 32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located in Seoul. Considering the levels of infrastructure for emergency medical centers, the coverage for the degree of suppl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by each emergency medical center was constructed in terms of a distance decaying in the distribution of patients from emergency medical center imposing different weights on distance bands. Spatial overlay utilizing map algebra func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calculate total supply level of emergency service. The results clearly show that spatial inequality exists in the supply levels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mong local areas of Seoul.

  • PDF

A Characteristics of the Vulnerable Area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in Daejeon by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GIS)으로 분석한 대전광역시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 특성)

  • Hwang, Ji-Hye;Na, Baeg-Ju;Lee, Dong-Woo;Hong, Jee-Young;Lee, Moo-Si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59-862
    • /
    • 2010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를 도출하고 취약지역의 보건학적 특성 및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응급의료 관련 정책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 도출은 Arc GIS의 공간분석 방법 중 가중분석(Cost Weighted distance) 방법으로 응급의료센터로부터의 접근성 분석을 하였으며,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의 보건학적 특성 및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와의 관련성은 SPSS 17.0을 이용하여 비모수 t-검정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지역의 응급의료기관 분포는 동구와 유성구, 대덕구는 지정된 응급의료센터가 없으나 서구와 중구는 응급의료센터가 2개소 이상 위치하고 있어 응급의료기관 분포가 편중되어 있으며, GIS를 활용하여 응급의료센터와의 접근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전광역시 자치구별 전체 면적 대비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의 비율이 높은 자치구는 동구가 41.2%로 가장 높았다. GIS를 활용하여 행정동별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를 분석한 결과, 대덕구 신탄진동, 동구 대청동과 산내동, 유성구 구즉동과 노은2동, 서구 기성동, 중구 산성동으로 나타났으며,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 중 기성동, 대청동이 노인 인구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에 따른 보건학적 특성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장애인등록자, 농업인구 비율의 평균은 취약지가 비취약지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를 종속변수로 하고 지역별 보건학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농업인구 비율과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p<0.01, 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대전광역시 5개 자치구의 행정동 중 응급의료서비스 접근 불평등지역이 도출되었고 이러한 지역은 보건학적 특성 중 농업인구 비율과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의 비율이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여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효율적인 응급의료 자원 분배를 위해서는 GIS를 활용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며, 응급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응급의료서비스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지역의 보건학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Decrease of False Positive Rate of Detection against Sniffing Attack over Switched Network (Switched Network 상에서 스니핑 공격 탐지에 있어서의 오탐율 감소를 위한 연구)

  • Lim, Jung-Muk;Yang, Jin-Seok;Han, Young-Ju;Lee, Eun-Sun;Lim, Hyung-Jin;Chung, Tai-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083-1086
    • /
    • 2004
  • Switched Network는 Shared Network 에 비해서 스니핑에 안전하다. 하지만 비교우위일뿐 절대적으로 스니핑에 안전한 것은 아니다. 이미 Switched Network 상에서 스니핑을 할 수 있는 공격툴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Switched Network 상에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스푸핑을 통한 ARP 캐시 오염을 통하여 스니핑이 가능한 시나리오를 기술한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탐지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은 DHCP와 같은 동적인 환경이 포함된 경우 False Positive 를 자주 발생시키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False Positive를 줄인 탐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and the Optimum Scale of the Emergency Center In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 응급센터의 거주후 평가와 적정 규모 결정에 관한 연구)

  • Lee, Teuk-K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 /
    • v.1 no.1
    • /
    • pp.21-32
    • /
    • 1995
  • This thesis aims to establish a criterion to determine the scale of emergency beds and emergency wards equipped in general hospitals in the suburbs of Seoul. A new, large hospital (over 1000 beds) located in the southeast area of Seoul was selected and investigated for the case of this study, and throuh the P.O.E. a few mistakes i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scal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there came to light. Joining together, the effectiveness of the scale determination method devised by us (Lee's formula) was verified, and finally the optimum scale of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this general hospital was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