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응급구조

Search Result 99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Organisation des Rettungsdienstes in Deutschland (독일의 응급구조업무의 조직)

  • Kim, Ki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300-302
    • /
    • 2015
  • 독일의 응급구조업무의 조직은 독일 기본법(GG) 제30조, 제70조에 따라 오로지 연방부들에게 있다. 유럽 연합은 기술적 조직적 통일성과는 별도로 각각의 국민들의 건강보호의 일부분으로 응급구조의 조직과 재정에서 상당히 광범위하게 재량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럽연합의 시스템과 정책들의 입법적 조화를 사실상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독일연방주들은 자신들의 주응급구조법률(LRDG)에서 응급구조업무의 보장을 일반적으로 재차 지방자치단체(주 근교도시중심)에게 독자적인 업무로서 인정하고 있다(가령 슐레비히 홀스타인주 응급구조법(RDGSH) 제6조). 이러한 주들은 응급구조를 자신의 관할지역에 대해 준비하고 스스로 운영하거나 운영통제할 수 있는 구조목적의 단체들(RZV)과 공동협력을 할 수 있다. 각각의 업무능력과 법적인 기준에 따라 구조 목적의 단체들(RZV)은 자신의 이름으로 응급구조를 운영하거나 하나 또는 다수의 기관(공공 구조서비스 혹은 사설 구조서비스)에게 시행을 위임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경우 의사가 직접 현장 의료를 담당하고 있다는 점에서최근 입법을 통해 응급구조사의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있으며, 질적 향상을 통해 응급의사와 응급구조사의 권한범위에서 독일 응급구조사의 권한확대가 시도되고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 PDF

ACLS Simulation Examina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Paramedic students (한국과 미국 응급구조 학생간에 전문심장구조술 시뮬레이션 시험)

  • Lee, Christopher C.;Kim, Tae-Min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 /
    • v.13 no.3
    • /
    • pp.71-76
    • /
    • 2009
  • 서론(Introduction) : 의학 시뮬레이션(medical simulation)은 교육생 학습과정에서 내재된 위험이 환자에게 가해짐 없이 교육생이 실제적인 환자 상황을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여러 다양한 임상내용이 포함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기술의 사용은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 인증서(certification), 면허교부(Licensure)와 의료의 질 형성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복강경 수술, 내시경검사, 전문심장구조술, 응급기도관리와 외상소생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시술의 수행에서 시뮬레이션이 교육생의 술기를 달성하고, 측정하고, 유지하는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컴퓨터로 조절되는 시뮬레이터는 맥박, 혈압, 호흡, 대화가 가능하고, 중증질환 또는 외상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같은 인명구조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의학 시뮬레이션은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와 응급 진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사람에게 필요하다. 최신 전문심장구조술 과정수업은 전통적인 강의와 제한된 팀 상호작용이 포함된 이틀 과정이다. 우리는 비 영어권 국제 응급구조학생의 전문심장구조술 술기능력을 알아보고, 그것을 미국 응급구조학생과 비교하고자 한다. 목적(Objective)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전문심장구조술 증례 시나리오를 가진 의학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미국과 한국의 응급구조 학생의 능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시행 장소(Site Location) : 이 연구는 한국 제주도에 위치한 제주한라대학 스토니브룩 응급의료교육원에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평가는 스토니브룩에 위치한 스토니브룩 대학 의료원의 한 명의 평가자(Dr. lee)에 의해 수행되었다. 방법(Methods) : 15명의 한국 응급구조학생들은 세 팀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5명이 한 팀이 되어 같은 증례의 시나리오를 받았다. 세 가지 시나리오는 : 첫째, 천식지속상태(Status asthmaticus), 둘째, 긴장기흉을 동반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with tension penumothorax) 그리고 마지막으로 메가코드(megacode)를 가진 심정지 이다. 세 팀을 각각 그리고 기본인명구조술(BLS)과 전문심장구조술(ACLS)과정을 마친 미국 응급구조학생들과 비교하였다. 15명의 미국 응급구조학생들 또한 세 팀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이 응급구조 학생들은 플러싱병원 의료원 소속으로 그곳에서 이 연구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의학교육(CME)이수를 받았다. 이들에게도 같은 세 가지 증례의 시나리오가 주어졌고 Dr lee는 총 여섯 팀을 평가하였다(한국 세 팀과 미국 세팀). 결과(Results) : 양 국가의 모든 15명의 학생이 의학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전문심장구조술 메가코드시험을 포함한 시험에 모두 통과하였다. 비록 학생들을 무작위로 세 팀으로 나누었지만 한 팀이 이 모든 세 증례에서 다른 팀보다 뛰어났다. 제주한라대학 2번 팀은 더 나은 기도관리, 리듬인식과 임상술기를 가진 모든 중요한 활동을 얻기에서 우수했다. 그들은 핵심요구사항을 90% 이상 충족시겼다. 한국의 2번팀(G2K)은 메가코드에서 기도개방, 호흡평가, 순환징후 그리고 흉부압박수와 같은 신체검진 술기에서도 탁월했다. 게다가 다른 팀과 비교 시 리듬인식, 약물지식과 임상술기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2번팀(G2K)이 6팀 중에 가장 뛰어나게 역활수행을 하였다. 결론(Conclusion) : 이 비교 연구에서 한국학생과 미국학생간에 전문심장구조술 메가코드 시험의 통과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미국학생은 세 팀 사이에 더 적은 변이로 더 일괄된 점수를 받았다. 한국학생들도 모든 세 가지 증례를 통과하였지만 이 세 팀은 미국학생 팀보다 점수에서 더 큰 변이를 보였다.

  • PDF

Improvement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basic training program : a review of the status of training institutions and designation criteria (2급 응급구조사 양성과정 개선방안 연구 : 양성기관 현황 및 지정기준 검토)

  • Lee, Nam-Jong;Shin, Dong-Min;Kim, Byung-Woo;Park, Si-Eun;Yoo, Eun-Ji;Yoon, Byoung-Gil;Yun, Seong-Woo;Yun, Hyeong-Wan;Lee, Kyoung-Youl;Choi, Jae-Woong;Hwang, Su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 /
    • v.23 no.2
    • /
    • pp.139-151
    • /
    • 2019
  • Purpose: To discuss the records and legal standard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ing institutions in Korea and abroad,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to provide the basic resources for improving the EMT-basic training institutions. Methods: We received advice through an advisory meeting of experts (professors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interested parties (Korean Associa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official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ing institutions) and referred to various reports published by governments, official institutions, and other trustworthy organizations. Also, we communicated with the related experts abroad (3 countries) on the phone or by email for surveys. Results: Compared to the abroad,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standards and procedures of designating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ing institutions in Korea and improve the management of training institutions to train competen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nd manage continuously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basic training programs for the systematic primary healthcare service.

The Contents of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Conduct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nd Related Factors (일부 응급구조사들의 응급처치 시행내용과 관련 요인)

  • Jeong, Sang-Gil;Kim, Ki-Soon;Cho, Soo-Hyung;Kang, Myung-Geun;Han, Mi-Ah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4 no.3
    • /
    • pp.346-358
    • /
    • 2009
  • Objectives: A study was conducted by analysing the contents and frequency of emergency treatment practic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EMTs) in emergency situations and contains related factors.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d 80 EMTs who participated in ongoing education classes during the period from June 25th to June 26th, 2008. the survey included 53 EMTs employed within 119 first aid teams in fire stations in both a metropolitan city and a medium-sized city. From the survey results relation between frequency of emergency treatment and subjects characteristics explored statistically including t-test, X2 test, Pearson correlation and finall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ost frequent procedure by EMTs checking vital sign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ed factors overall of the 23 items of emergency treatment frequency was the working area and the grading of EMT certification. In contrast, significant related factors with frequency of IV linkage were found to be the subjects gender, institution employed and the importance of recognizing the item.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ed factors of that of ECG monitoring was the gender of respondents. Conclusions: To keep the appropriate frequency of emergency treatment by EMT, active efforts to promote their individual importance and confidence cognition are necessary, especially towards males and persons who have 2nd class certification. Moreover, EMTs who work in small cities must be supported.

응급구조사 해외연수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 Gwon, Chang-Hui;Kim, Jeong-In;Hwang, Hyeong-Gyu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2a
    • /
    • pp.43-5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 운송부 산하 고속도로교통안전국에서 규정한 EMT-I 의 미 국립표준교과과정을 알아본 뒤, 기존 피츠버그 의과대학 응급의료센터에서 제공되는 교육과정의 구성과 내용에 대하여 소개하고 미 국립 응급구조사 협회의 연차보고서를 토대로 EMT-I 자격의 미국 내 시행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각 주별로 제공되는 교육과정의 내용과 EMT-I 구급대원의 활동범위에 대하여는 응급 의료시스템 잡지의 주 별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끝으로 장기적인 추진과제인 Paramedic 과정 개설에 관하여 제언하였다.

  • PDF

EC&M System to Improve Emergency Rescue Service (응급구조서비스 개선을 위한 EC&M 시스템)

  • Na, Eunseo;Sin, Hayeon;Kim, Dayeong;Jang, Mugyeong;Hwang, S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61-36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환자 이송 및 치료를 위한 응급구조사와 의료기관 간의 의사소통 및 질 관리를 위한 EC&M (Efficient Communication and Management)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는 관련 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응급차 배치부터 병원 도착 시 환자 수속 작업 등을 최소화하고, 각 작업의 수행시간을 최소화 한다. 또한 이 시스템의 사용자는 소방청, 의료기관, 119 응급 구조사이고, 이 중 응급구조사에 초점을 두었다. 이는 PRE-KTAS를 소방청과 의료기관에 동시전달하여 전달된 PRE-KTAS를 통한 적절한 의료기관을 배치하고 선정된 응급의학 전문의에게 직접의료지도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응급구조사는 의무기록활동지를 작성하여 의료기관에 전달하여 내용전달의 효율성을 높인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응급구조사와 의료기관 간의 정보 공유 시스템은 기존에 제안하는 앱을 사용하지 않고 발생했던 많은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므로 기존의 앱보다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Prehospital Care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at 119 Fire Safety Centers for Patients with Acute Drug Intoxication (약물중독 환자의 병원 전 단계 처치에 관한 119 응급구조요원의 지식과 수행 태도)

  • Lee, Hyo-Cheol;Lee, Young-So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5 no.3
    • /
    • pp.301-313
    • /
    • 201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reeducation concerning prehospital emergency ca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working at 119 fire safety cent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mail-in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s from 288 subjects, who were EMTs working at 119 fire safety centers and local units in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South Jeolla Province, from March 1, 2009 to April 31, 2009. Results: The mean score for EMTs' knowledge on drug intoxication was7.04 out of a total of 10 points. The mean score for EMT's attitude of emergency treatment performance on drug intoxication was 2.96 out of a total of 4 points. The level of EMT's knowledge is relatively high regarding prehospital care for drug intoxication. The EMT's attitude of performances demonstrated an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conditions. However EMTs did not actively explain the prognosis and medical conditions for their patients. Conclusions: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making plans for reeducating emergency crew working at 119 fire centers so that can they have a more active attitude towards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care.

Emergency Medical Participants' recognition of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Awareness (응급실 내 의사와 간호사가 인식하는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업무인식도)

  • Bae, Ki-Sook;Han, Song-Y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6
    • /
    • pp.2908-2914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hospital EMT' scope of work perceived by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by surveying 122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in Daejeon and Chung-nam in order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EMT' roles and legal regulations related to their work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3.23{\pm}0.67$ for the 40 items surveyed, which was somewhat higher than average. By area, job awareness was highest for trauma care, which was followed by hospital phase and breathing assistance, and lowest for medication. In order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ders to recognize hospital EMT' works, first of all, EMT need to carry out their jobs and roles faithfully. Therefor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substantial education programs. What is more, legally clear definitions should be made on the job of EMT, and campaigns and monitoring should be made continuously for EMT.

A study on the second standardization of the paramedic curriculum in South Korea (응급구조(학)과 교육과정 2차 표준화 연구)

  • Choi, Eun-Sook;Hong, Sung-Gi;Lee, Kyoung-Youl;Yun, Hyeong-Wan;Han, Seung-Tae;Ju, Jeong-Mi;Jeon, Hyeok-Jin;Cho, Keun-Ja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 /
    • v.24 no.3
    • /
    • pp.7-2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liance with the first standardization of the paramedic curriculum and suggest a second standardization to cultivate competent paramedic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38 curricula, and responses to questionnaires, including those on the current status of prehospital field practice, from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of 36 institution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 and November 30, 2019 via e-mai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24.0 and NVivo 12.0. Results: Compliance with the first standardization of the paramedic curriculum was over 70% in only 11 on the 26 major subjects. The second standardization of the paramedic curriculum consists of 27 subjects requiring 76~79 credits for the 3-year course and 78~82 credits for the 4-year course. Conclusion: We suggested a minimum number of essential subjects to cultivate competent paramedics following the second standardization of the paramedic curriculum, and we hope colleges comply with this curriculum. Twenty to twenty-five percent of major subjects can be determined by the discretion of the college to maximize competency of paramedic students.

Reception Typology on Emergency-rescue and System (응급구조 인력과 체계에 관한 인식 유형 연구)

  • Lee, Jei-Young;Kim, Jee-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594-598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응급구조 인력과 체계에 관한 소방공무원들의 주관성을 진단하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세부적인 유형적 효과요인들을 짚어봄으로써 향후 개선과 방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위에서 제기된 사항들의 해답을 얻기 위하여 주관성연구 분석방법을 활용하며, 응급구조 인력과 체계가 소방공무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소방공무원들의 주관적 성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