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음영 지역

Search Result 29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stimation of Road Surface Freezing Sec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로의 노면결빙구간 평가)

  • Choi Byoung-Gil;Kim Jo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6.04a
    • /
    • pp.327-33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GIS 공간분석을 이용하여 음영에 따른 노면결빙예상구간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산악지역의 도로는 절토 및 터널구간이 많아서 겨울철에는 결빙구간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이는 교통 안전사고를 크게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기본설계에서부터 각 구간에서의 일조 환경 및 노면결빙예상구간을 정량적으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고속도로 중 약 29km구간에 대하여 3차원 모델링, 일조 시뮬레이션, 지오데이터베이스 구축, GIS 중첩 기능에 의한 공간분석을 통해 노면결빙 예상구간을 추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GIS를 이용할 경우 기상조건 별로 도로의 일조영향에 따른 노면결빙 예상구간을 정량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연구대상지역 중 상당한 구간이 결빙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IS를 이용한 렌더링 기법이 기존의 음영기복 방법보다 정확하며, 3차원 상에서 그림자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논문이 도로관련 법제도상의 노면결빙구간에 대한 규정을 제정하는데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도로 설치 구조물의 배치 및 도로포장의 종류 등을 고려한 추가적인 음영구간추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Service Coverage Enhancement due to Output Power of Korean Land-based DGPS (국내 DGPS 내륙 기준국의 출력 증강에 따른 서비스 영역 분석)

  • Kim, Young-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10
    • /
    • pp.2059-2064
    • /
    • 2011
  • The DGPS systems that is a GPS augmentation system were installed for ocean- and land-service. The ocean-based reference station of 11 site and the land-based reference station of 6 sites are operating for ocean- and land-service. Although the land-based reference stations provide the output power of 500W, the service shadow regions are occurred due to mountain lands and building area. In this paper, the service coverages for land-based reference stations are analyzed in conditions of output power enhancements of reference station. The service shadow areas are deduced from service coverages of land-based reference stations and ocean-based reference stations. The medium frequency-band wave propagation models are considered as DGPS wave propagation model. The service coverages are analyzed by considering the compensated ground surface-conductivity.

Comparative Analysis of Growth and Development of Paddy Rice (Oryza sativa L.) by Light Intensity under Farm-type Solar Photovoltanic Power Station (추적식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스템 구축에 따른 음영별 하부작물 벼(Oryza sativa L.)의 생육비교)

  • Eon-Yak Kim;Ye-Jin Lee;In-Jin Kang;Hye-Min Son;Min-Ho Shin;Chang-Hyu Ba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85-85
    • /
    • 2022
  • 영농형 태양광발전은 태양의 일사량을 전기발전과 영농에 공유하는(solar-sharing) 방식이다. 본 연구는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의 극대화를 위하여 추적식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을 구축하고 시설하부에서 일정 기간 재배중인 작물의 하부 환경과 생육을 조사하여 영농형태양광 하부작물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구축한 추적식 영농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은 4열 6단의 24장 모듈(8m × 6m)을 가지며, 발전시설 중심축 기둥 간 중심간격 14m로 단일지주식 스크루 공법으로 순천대학교 부속농장 답작포(순천시 죽평리)에 설치하여 하부 환경과 하부작물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태양광발전시설 하부작물의 생육을 조사하기 위하여 순천 농협육묘장에서 벼(신동진)를 육묘하여 2022년 6월 16일 이앙하였다. 태양광발전시스템 하부 지역을 4방위 방향에 따라 강음영(중심축으로부터 1~3m), 중음영(5m), 약음영(7~9m) 구역으로 설정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방위에 따른 초장은 남쪽에서 음영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1번기 태양광 발전시설에 의하여 음영이 중첩된 2번기 시설의 동쪽에서 대조구 대비 초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음영강도에 따른 초장은 대체로 강음영구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약음영구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엽수는 방위에 따라서, 그리고 음영의 강도에 따른 차이가 초장에 비하여 작게 나타났다. 출수기의 경우 방위별로는 남쪽에서 음영별 차이가 작게 나타났으며, 음영강도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태양광시설 하부에 데이터수집장치(Model 1650, Spctrum Technonogies, USA)를 설치하여 음영에 따른 토양전도도, 토양함수량, 토양온도, par light 등 생육환경을 조사, 비교하였다.

  • PDF

Cartoon Character Rendering based on Shading Capture of Concept Drawing (원화의 음영 캡쳐 기반 카툰 캐릭터 렌더링)

  • Byun, Hae-Won;Jung, Hye-Mo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4 no.8
    • /
    • pp.1082-1093
    • /
    • 2011
  • Traditional rendering of cartoon character cannot revive the feeling of concept drawings properly. In this paper, we propose capture technology to get toon shading model from the concept drawings and with this technique, we provide a new novel system to render 3D cartoon character. Benefits of this system is to cartoonize the 3D character according to saliency to emphasize the form of 3D character and further support the sketch-based user interface for artists to edit shading by post-production. For this, we generate texture automatically by RGB color sorting algorithm to analyze color distribution and rates of selected region. In the cartoon rendering process, we use saliency as a measure to determine visual importance of each area of 3d mesh and we provide a novel cartoon rendering algorithm based on the saliency of 3D mesh. For the fine adjustments of shading style, we propose a user interface that allow the artists to freely add and delete shading to a 3D model. Finally, this paper show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system through user evaluation.

Analysis of Operational State and Radio Environment of AIS (AIS의 운용현황과 전파환경에 대한 분석 연구)

  • Seo Ki-yeol;Hong Tae-ho;Park Gyei-kark;Choi Jo-Che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9 no.7
    • /
    • pp.1439-1444
    • /
    • 2005
  • AIS needs hish efficiency and safety in terms of operational management and, in the aspect of service range, it is time to minimize shadow regions through propagation evaluation of AIS transmitter. Thus this study analyzes shadow regions and the scope of propagation of waves from stations through the electric wave environment of AI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IS wave and draws up methods to analyze the scope of propagation of wav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Second, this study finds out service regions and shadow regions of the 22 stations across the nation by analyzing the actual data based on climate and topography. Lastly, this study summarizes the results of wave conductivity evaluation and conductivity problems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차량용 센서융합 정밀 측위 기술

  • Song, Jeong-Hun;Seo, Dae-Hwa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1
    • /
    • pp.43-50
    • /
    • 2013
  • 본고에서는 도심지역을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밀 측위 시스템 기술과 개발현황을 소개한다. 그리고 위성항법 기반의 정밀 측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측위 오차를 줄이고 위성 신호의 음영지역에서도 차량의 정밀한 위치 결과를 얻기 위하여 차량용 센서를 융합하는 정밀 측위 기술과 개발현황을 알아본다.

An Propagation Path Analysis for Optimal Position Selection of Microcell Base St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이동통신 마이크로셀 기지국의 최적 위치 선정을 위한 전파경로 해석)

  • 노순국;박창균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7
    • /
    • pp.92-100
    • /
    • 1999
  • In the microcell mobile communication, we propose algorithms processing operational disposition to exactly analysis propagation environments from the base station to mobile stations. Algorithms are developed by the triangle analysis method can operate variable propagation paths and reflect numbers. For simulation, we suppose that mobile stations are located in the shadow region of the line of sight and the area of the non-line of sight sloping against the line of sight area at variable angle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simulation using proposed algorithms, we can be applied to the optimal position selection of the base station in the microcell mobile communication.

  • PDF

A lightweight detection mechanism of control flow modification for IoT devices (IoT 기기를 위한 경량의 소프트웨어 제어 변조 탐지 기법)

  • Pak, Dohyun;Lee, JongHyup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5 no.6
    • /
    • pp.1449-1453
    • /
    • 2015
  • Constrained IoT devices cannot achieve full coverage of software attestation even though the integrity of software is critical. The limited modification attacks on control flow of software aim at the shadow area uncovered in software attestation proces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light-weight protection system that detects modification by injecting markers to program code.

Analyses on Sunshine Influence of Road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로의 일조영향 분석)

  • Lee, Hyung-Seok;Kim, Jung-Sik;Park, Joon-Kyu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419-425
    • /
    • 2005
  • 산악지역을 관통하는 도로의 경우 그 특성상 절토 후 도로를 시공하는 경우가 자주 있으며 때로는 매우 긴 구간에 일조가 적게 나타나 음영이 오래 지속되는 곳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도로의 노선계획시 예상되는 일조영향을 평가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지역을 선정하고 수치지형자료의 변환을 통하여 3D 지형 메쉬데이터를 작성하고 동일좌표체계의 도로선형자료를 반영하여 정확한 도로모델링을 생성하므로써 도로의 각 지점별 일조영향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도로노면상의 음영시간을 계산하고 일영이 도로 전체에 어느 정도 유지되는지를 가시적으로 모델링화하여 계절별 시간대별로 도식화하므로써 판단자의 시각적 분석을 가능케 하였다.

  • PDF

Novel Positioning Technique for T-DMB System (T-DMB 시스템에서 위치인식을 위한 기법 연구)

  • Bae, Jung-Nam;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466-46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T-DMB 시스템에서 위치인식을 위한 워터마킹 기법에 대해 소개하고 성능을 분석하여 보았다. T-DMB 방송용 전송신호에 확산 코드를 이용한 워터마킹 기법을 행하는 기술은 방송용 송신기를 식별하는 기능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송신기 식별을 위해 GPS 기술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전파 신호가 미약하고 음영지역이나 실내에서는 수신이 안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이용요금이 거의 무료이며, 수신 전계강도는 강하면서 다수의 음영지역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새로운 위치인식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고, 지상파 방송신호를 기반으로 위치인식기능과 부가적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송신기 식별기술은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