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융합 전공

검색결과 1,659건 처리시간 0.029초

e-PBL을 적용한 수업혁신 (Instructional Innovation Using e-PBL)

  • 권혁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41-249
    • /
    • 2022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PBL의 적용가능성을 확대한 e-PBL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교육대학교의 전공 선택 교과목의 한 학기 수업활동 중 4주 분량의 활동을 체계적 설계 절차에 따라 e-PBL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였다. e-PBL 운영 기간 동안 참여 수강생의 반응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 수강생들은 초기의 어려움과 혼란스러움을 극복하고 점진적으로 e-PBL 활동에 동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전반적으로 e-PBL 활동 경험에 대하여 만족스러워했다. 참여 수강생들은 e-PBL을 통해 이루어진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주인의식을 갖고 활동에 참여하였고, 팀 구성원들과의 빈번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문제해결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PBL을 활용한 교원양성대학의 교육혁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e-PBL 적용 수업을 확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e-PBL의 교육적 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STEM 학술정보시스템 평가 (Evaluation of Scholarly Information System in STEM)

  • 박민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431-435
    • /
    • 2022
  • 과학기술 분야(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edicine)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 및 웹 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STEM 지식 공유의 장벽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 기술의 발전은 결과적으로 학술지의 출판(보급) 모델을 변화시켰다. 본 연구의 목적은STEM 분야에서 오픈 액세스 모델을 적용시켜 개발한 정보시스템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평가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온라인 조사를 통하여, 지난 1월부터 2월까지, 총 204명의 이용자가 참여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정량적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웹사이트 속성 별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활용하였다. 변수들 간 중요도와 만족도(실행도)를 파악하여 중요도 대비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들을 도출하였다. 오픈액세스 정보시스템에 대한 이용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81.2점, 사회적 신뢰도는 85.9점으로 각각 비교적 높게 나왔다. 본 연구에서 주목해야 하는 사항은 가장 취약한 영역으로 드러난 시스템 이용 환경에 대한 만족도 부분이다. 최적화된 상업적 검색도구들에 노출되어 있는 이용자들에게 검색하는 과정에서 속도는 매우 중요한 검색시스템 평가 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이용자들의 니즈를 반영하여 신속하게 검색결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평가를 통한 개선 작업이 필요하다.

보건소를 실습한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 연구: 건강신념 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f nursing students practicing nursing at public health centers 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research on COVID-19: 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 김은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97-306
    • /
    • 2022
  • 본 연구는 보건소 실습을 한 간호대학생들의 '코로나19' 대한 지식과 건강신념 그리고 '코로나19'의 예방적 건강행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31명이며,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 27일부터 11월 4일까지설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모형 적합도는 (F=9.71, p<.005)이며, 코로나19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18, p=.009)와 코로나19 지식(β=.20, p=.001), '코로나19' 건강신념(β=.36, p=.000)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0.6%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에게 '코로나19'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의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MBTI에 따른 돌봄효능감의 차이 (Difference of Care Efficacy according to Myer-Briggs Type Indicator in Nursing Students)

  • 오은진;박순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53-60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MBTI에 따른 돌봄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1개대학의 간호학과 3, 4학년 109명이다. 자료분석은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돌봄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은 전공만족도(3.63, p<.001), 실습만족도(4.49, p=0.013), 건강상태(2.91, p=0.004)였다. 돌봄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MBTI는 태도지표 중 EP형(3.74, p=0.013)였다. 본 연구결과는 돌봄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후속연구를 위해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대규모 표본을 적용한 반복 연구, 돌봄효능감 향상을 위해 MBTI를 적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연구, 돌봄효능감을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머신러닝 기반 고춧가루 원산지 판별기법 (Detection of Red Pepper Powders Origin based on Machine Learning)

  • 유성민;박민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355-360
    • /
    • 2022
  • 최근 국내산 고추의 생산 비용 상승과 수입산 고추의 도입으로 고춧가루 원산지 허위표기 등의 피해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산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기존의 고춧가루 원산지 판별법의 경우 무기 및 유기성분을 실험적으로 대조 및 분석하여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머신러닝을 도입하여 국내산, 수입산 고춧가루 분류를 제안한다. 고춧가루에 포함된 53가지 성분에 대하여 머신러닝 모델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떠한 성분이 원산지 판별 시 중요하게 활용되는지 파악 할 수 있었다. 추후 고춧가루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품으로 확장하여 원산지 판별에 드는 비용을 보다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ision Transformer를 활용한 비전 데이터 기반 자율주행자동차 사고 취약상황 예측 및 시나리오 도출 (Predicting Accident Vulnerable Situation and Extracting Scenarios of Automated Vehicleusing Vision Transformer Method Based on Vision Data)

  • 이우섭;강민희;윤영;황기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33-252
    • /
    • 2022
  •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위해 자율주행자동차 안전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그 중 시나리오 연구가 안전성 평가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필수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시나리오 제시의 경우 데이터 부재 및 전문가 개입으로 인해 객관성 및 설명력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고 데이터 및 설명력 있는 인공지능 방법론인 ViT 모델을 활용하여 확장된 자율주행자동차 안전성 평가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활용 데이터에 최적화시킨 ViT 모델 학습 결과, 94% 정확도가 확인되었으며 Attention Map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설명력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시나리오 접근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새로운 안전성 평가 시나리오 수립 프레임워크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터중량 추정식과 반복 설계를 통한 틸트+정지로터형 eVTOL 개념설계 및 민감도 분석 (Conceptual design and sensitivity analysis of a tilt + stopped rotor type eVTOL using motor weight estimation formula and iterative design)

  • 이주헌;김태종;장서윤;조희수;황호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77-9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반복 설계를 통한 틸트 + 정지로터형 전기추진 수직이착륙 항공기(eVTOL)의 개념설계를 수행하였다. 현대자동차의 S-A1을 기준 형상으로 하여 도심항공모빌리티(UAM)의 개념을 사용하여 임무 형상을 정의하고 OpenVSP, XFLR5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형상 설계와 공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설계된 형상을 바탕으로 필요 동력을 추정한 뒤 배터리의 요구성능과 최대 이륙 중량(MTOW)을 계산하였다. Microsoft Excel과 Visual Basic Application을 사용해 반복적으로 계산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전기모터의 중량 추정식을 새롭게 고안하였다. 또한 자동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eVTOL의 설계변수별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Fear & Greed Index 기반 미국 주식 단기 매수와 매도 결정 시점 연구 (Research on Determine Buying and Selling Timing of US Stocks Based on Fear & Greed Index)

  • 홍성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87-93
    • /
    • 2023
  • 주식 투자에서 매수와 매도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것은 주식 투자의 수익률 올리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 중에 하나이다. 주식은 싸게 사서 비싸게 팔면 이익이 되지만, 비싸게 사서 싸게 팔면 손해가 된다. 주식의 가격을 결정하는 매수와 매도의 물량에 의해 가격이 결정이 되고, 매수와 매도는 기업실적, 경제지표와도 관련이 있다. CNN에서 제공하는 공포와 탐욕지수는 7가지 요소를 사용하고, 각 요소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탐욕과 두려움으로 정의한 가중치 평균을 0~100 사이의 척도로 계산하여 매일 발표하고 있다. 지수가 0에 가까우면 주식시장 심리가 두려운것이고, 100에 가까우면 탐욕스러운 것이다. 따라서 미국 S&P 500 지수를 CNN 공포와 탐욕지수에 따른 매수와 매도를 할 경우 최대 수익률이 발생하는 매매 기준을 분석하여 최적의 매수와 매도 타이밍을 제시하여 주식투자에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광활성층 모폴로지 제어를 통한 실내광 유기태양전지의 효율 향상 연구 (Morphology Control of Active Layers for Efficient Organic Indoor Photovoltaics)

  • 장용찬;김소영;김정아;김종복;이원호
    • 접착 및 계면
    • /
    • 제23권4호
    • /
    • pp.130-136
    • /
    • 2022
  • 실내광 유기태양전지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 대비 광전변환효율이 높은 특성 때문에 저 전력의 전자기기나 사물 인터넷의 전력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은 높은 효율을 나타내는 실내광 유기태양전지를 만들기 위해 미디움-밴드갭을 지니는 광활성층(PTBT:PC71BM)을 합성하고 이의 모폴로지를 제어하고자 하였다. 그 중 하나의 방법으로 용액 첨가제의 종류와 양(0, 1.5, 3.0 vol% DIO, 0.5 vol% CN, 1.5 vol% DIO + 0.5 vol% CN)을 달리해 실험을 진행하여 유기태양전지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1.5 vol% DIO + 0.5 vol% CN의 이중 첨가제 시스템에서 최고 효율인 11.31%이 관찰되었다.

Use of various drought indices to analysis drought characteristics under climate change in the Doam watershed

  • 사예드 사자한 사디키;홍은미;남원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8-178
    • /
    • 2023
  • Drought and flooding have historically coexisted in Korea, occurring at different times and with varying cycles and trends. The drought indicators measured were (PDSI), (SPI), and (SPEI) in order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annual or periodic drought occurrence and objectively evaluat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eriodicity, tendency, and frequency of occurrence of droughts in the Doam watershed. To comput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 both Thornthwaite (Thor) and Penman-Monteith (PM) parameterizations were consider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ET estimators were analyzed. Hence, SPIs 3 and SPIs 6 revealed a tendency to worsen drought in the spring and winter and a tendency to alleviate drought in the summer in the study area. The seasonal variability trend did not occur in the SPIs 12 and PDSI, as it did in the drought index over a short period. As a result of the drought trend study, the drought from winter to spring gets more severe, in addition to the duration of the drought, although the periodicity of the recurrence of the drought ranged from 3 years to 6 years at the longest, indicating that SPIs 3 showed a brief time of around 1 year. SPIs 6 and SPIs 12 had a term of 4 to 6 years, and PDSI had a period of roughly 6 years. Based on the indicators of the PDSI, SPI, and SPEI, the drought severity increases under climate change conditions with the decrease in precipitation and increased water demand as a consequence of the temperature increase. Therefore, our findings show that national and practical measures are needed for both winter and spring droughts, which happen every year, as well as large-scale and extreme droughts, which happen every six ye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