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육상곤충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Method of Citizen Science and Improvement of Performance as a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ool of Wetland Protected Areas (Inland Wetland) - Focused on the Target of Conservation·Management·Utilization in Wetland Protected Area Conservation Plan - (내륙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 보전·관리 도구로서 시민과학연구 방법론 및 성과 제고 방안 -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의 보전·관리·이용 목표를 중심으로 -)

  • Inae Yeo;Changsu Lee;Ji Hyun Ka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6
    • /
    • pp.450-462
    • /
    • 2023
  • This study suggested methodology of Citizen Science as a tool of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to achieve Wetland Protected Area (WPA) Conservation Plan and examined whose applicability in 3 WPAs (Jangrok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Madongho of Goseong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Incheongang estuary of Gochang in North Jeolla Province). It consists of a) figuring out main interests and stakeholder or beneficiaries of WPA and their information demand based on conservation, utilization, and management target in the WPA Conservation Plan, b) conducting research activities to gain outcome to address stakeholder's demand, and c) returning the research outcome to citizen scientists and making diffusion to the society. Based on the suggested method and process, citizen scientists conducted ecosystem monitoring (plants including Invasive Alien Plants, terrestrial insects, traces of mammals, discovering unknown wetland). As a result, citizen scientists contributed to collecting species information of 16 plans, 43 species of terrestrial insects, 5 mammals including Lutra lutra (Endangered Species I) and Prionailurus bengalensis (Endangered Species II). The authors constructed and provided distribution map of Invasive Alien Plants, which included information of location and density which citizen scientists registered, for Enviro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who manage 3 WPAs to aid data-based ecosystem policy, In further studies, not only accumulating research data and outcomes acquired from citizen science to suffice the policy demands but also deliberate reviewing policy applicability and social·economic ripple effect should be processed for the suggested Citizen Science in WPA to be settled down as a tool of ecosystem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ssessment of Wastewater Irrigation Impacts on Water Quality, Soil, and Bio-indicator (하수 재이용에 따른 수질, 토양 및 지표생물 영향 분석)

  • Jang, Tae-Il;Park, Swung-Woo;Jung, Myu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20-112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하수재이용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질, 토양 및 지표생물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분석하였다. 본 시험을 위하여 경기도 수워시 하수처리장 인근의 재이용 시험지구와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소재의 기천 시험 포장을 대비지구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에서 제시한 하수처리 재이용 수질 권고기준에 제시된 수질기준과 본 시험에 사용된 재처리수를 비교하였으며, 대비지구의 경우 농업용수 수질기준과 비교하였다. 관개용수에 따른 토양에서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재이용 관개지구가 대비지구에 비하여 TN, TP의 영양염류와 EC의 값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중금속의 토양집적은 나타나지 않았다. 농업용수 재이용에 따른 생태 환경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상지구에 지표생물 계측망을 구성하여 영농기간 중 생물다양성의 서식처 유형과 분포, 우점 구조, 그리고 육상지표생물의 발생 정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험구와 대조구 두 지역의 곤충 및 거미류 종구성, 기능구별 유사도 등은 유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우점종 구조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다만, 농업재용수의 높은 유기물 함량에 의해 실험구 지역에서 깔따구의 발생량이 많았다.

  • PDF

동굴생물의 특성과 보전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5.09a
    • /
    • pp.39-44
    • /
    • 1995
  • $\bigcirc$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 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bigcirc$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룡글, 대이굴, 환선굴 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 중 약 30% 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 $\bigcirc$ 강원도의 동굴동물로서 확인된 것은 9강 30목 141종이며 강별로는 곤충강이 9목 50종 주형강이 4목 49종 갑각강이 6목 18종의 순으로 우세하고 목별로는 거미목이 15과 39종, 톡토기목이 7과 20종, 딱정벌레목이 8과 15종으로 우세한 편이다(남, 1987). $\bigcirc$ 동굴생물에 관한 연구는 육상생태계와 격리된 환경에서 생리, 생태적 적응을 통한 종의 분화나 유전, 진화문제를 추구하며 지하생태계와 육상생태계의 생물적인 유연관계 규명에 중요한 분야로 인정되며 아울러 독특한 특성을 지닌 동굴생물의 생존을 위한 방안과 노력이 일부동굴의 개방 및 개발에 앞서 더욱 구체적으로 모색되고 증대되어야 한다. $\bigcirc$ 동굴환경의 주요 특성은 첫째 햇빛에 차단되어 암흑상태이며, 둘째 내부습도가 높고 기온이나 수온의 년중변화가 심하지 않고, 셋째 먹이연쇄에 필수적인 영양공급원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광합성작용으로 성장하는 녹색식물은 태양광선이 유입되는 곳이나 인공조명시설 지역을 제외한 곳에서는 서식이 불가능하고 대형동물이나 초식동물은 생존이 어렵다. $\bigcirc$ 동굴내에는 환경에 적응하는 종들만이 서식할 수 있고 이들을 생태적 특성에 따라 세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환경적응 요인으로는 광도, 습도, 온도 영양공급원과 섭식장소, 수중생물의 경우는 특히 수온, 수량 영양원등이다.(중략). 본 연구의 접근방법으로는 ASRS의 개념적인 Reference Model을 수립하고 이 Reference Model에 대한 Formal Model로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Modeling하였다. 이의 Computer Simulation을 위하여 DEVS형식론 환경에서의 Simulation Language인 DEVSim ++ⓒ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형 결과로는 먼저 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예로 mass-damper-spring system, 비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예로는 van der Pol 방정식, 연립 상미분방정식의 예로는 mixing tank problem 등을 보였으며, 그의 공학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도 다루었다.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가되어 나타난 결과로 여겨지며, 또한 혈청중의 ALT, ALP 및 LDH활성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므로서 감잎 phenolic compounds가 에탄올에 의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해독 및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반적으로 홍삼 제조시 내공의 발생은 제조공정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내백의 경우는 홍삼으로 가공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인삼이 성장될 때 부분적인 영양상태의 불충분이나 기후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W1]_{XO-}$ $[W1]_{XO}$ ]$_{XO}$)로 그리고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중복된 발은을 지닌 한 단어로 ([W]$_{XO}$

  • PDF

동굴생물의 생태적 특성과 분포

  • 김병우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05a
    • /
    • pp.106-110
    • /
    • 1994
  • $\bigcirc$ 동굴생물은 식물과 동물, 미생물로 크게 구분되지만 태양광선이 완전히 차단된 동굴내 환경에서는 동굴 동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bigcirc$ 동굴내의 동물에 관한 연구는 1966년 고씨동굴, 용담굴을 시발로 고수굴, 천동굴, 노동굴, 백룡굴, 대이굴, 환선굴 등 강원도내에 분포하는 동굴 중 약 30%정도는 동물을 포함한 생물상이 조사되었다. $\bigcirc$ 강원도의 동굴동물로서 확인된 것온 9종 30목141종이며 강별로는 곤충강이 9목 50종 주형강이 4목 49종 갑각강이 6목 18종의 순으로 우세하고 목별로는 거미목이 15과 39종, 톡토기목이 7과 20종, 딱정벌레목이 8과 15종으로 우세한 편이다 (남, 1987). $\bigcirc$ 동굴생물에 관한 연구는 육상생태계와 격리된 환경에서 생리, 생태적 적응을 통한 종의 분화나 유전, 진화문제를 추구하며 지하생태계와 육상생태계의 생물적인 유연관계 규명에 중요한 분야로 인정되며 아울러 독특한 특성을 지닌 동굴생물의 보존을 위한 방안과 노력이 일부동굴의 개방 및 개발에 앞서 더욱 구체적으로 모색되고 증대되어야 한다. $\bigcirc$ 동굴환경의 주요 특성은 첫째 햇빛이 차단되어 암흑상태이며, 둘째 내부습도가 높고 기온이나 수온의 연중변화가 심하지 않고, 셋째 먹이연쇄에 필수적인 영양공급원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광합성작용으로 성장하는 녹색식물은 태양광선이 유입되는 곳이나 인공조명시설 지역을 제외한 곳에서는 서식이 불가능하고 대형동물이나 초식동물은 생존이 어렵다. $\bigcirc$ 동굴내에는 환경에 적응하는 종들만이 서식할 수 있고 이들을 생태적 특성에 따라 세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환경적응 요인으로는 광도, 습도, 온도 영양공급원과 섭식장소, 수중생물의 경우는 특히 수온, 수량 영양원등이다.(중략)다. 본 연구의 접근방법으로는 ASRS의 개념적인 Reference Model을 수립하고 이 Reference Model에 대한 Formal Model로 DEVS(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Modeling하였다. 이의 Computer Simulation을 위하여 DEVS형식론 환경에서의 Simulation Language인 DEVSim ++ⓒ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실형 결과로는 먼저 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예로 mass-damper-spring system, 비선형 상미분방정식의 예로는 van der Pol 방정식, 연립 상미분방정식의 예로는 mixing tank problem 등을 보였으며, 그의 공학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도 다루었다.화물에 대한 방어력이 증가되어 나타난 결과로 여겨지며, 또한 혈청중의 ALT, ALP 및 LDH활성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므로서 감잎 phenolic compounds가 에탄올에 의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해독 및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반적으로 홍삼 제조시 내공의 발생은 제조공정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내백의 경우는 홍삼으로 가공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인삼이 성장될 때 부분적인 영양상태의 불충분이나 기후 등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요 소를 지닌 병렬적 합성어([$[W1]_{XO-}$ $[W1]_{XO}$ ]$_{XO}$)로 그리고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중복된 발은을 지닌 한 단어로 ([W]$_{XO}$

  • PDF

Effects of rearing environment on oviposition preference of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의 성충 사육환경이 산란 선호성에 미치는 영향)

  • Choi, Myung-Hyo;Yang, Young-Cheol;Kang, Seung-Ho;Park, Young-Kyu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54 no.1_2
    • /
    • pp.17-22
    • /
    • 2016
  • Rearing environment direct effects on oviposition preference of black soldier fly(Hermetia illucens). In this study, the number of egg-filled flutes was surveyed according to the size of adult rearing cages and oviposition media of black soldier fly (BSF). The height of the adult rearing cages were fixed at 2 m and provided different sizes of width and length and released 20,000 BSF adults in the rearing cages. The mean number of BSF egg-filled flutes was 895.4 at $4{\times}4m$ cage, 876.3 at $2{\times}1m$ cage and 62.3 at $1{\times}1m$ cage. Comparison of egg-filled flutes was according to cages material of adult BSF. The mean number of egg-filled flutes were 820.7 and 604.3 at different cage materials such as mosquito net and green house film. The mean numbers of egg-filled flutes were 326.6 in green floral form, 135.2 in green corrugated cardboard and 41.0 in brown corrugated cardboard. And the mean number of egg-filled flutes were similar floral form with the corrugated cardboard was overlapped by floral form such as 57.7 and 64.7. The mean number of egg-filled flutes was 29.0 and 48.2 in 6 mm and 4 mm diameter of oviposition hole.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Bird Diversity o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Cheonwangbong to Aghwibong Region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천왕봉에서 악휘봉 구간에 서식하는 조류의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 생태적 요인)

  • Hyun-Su Hwang;Doory No;Yunkyoung L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8 no.1
    • /
    • pp.48-54
    • /
    • 2024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rom April 2021 to December 2022 to investigate habitat factors affecting bird diversity in the region between Cheonwangbong Peak and Aghwibong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South Korea. Since the region has a spatial scale of 736.4 km2 and is an area where a wide variety of habitats are mixed, we selected 20 survey areas of 3 km x 3 km by analysis of habitat homogene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at environment and bird diversity in the survey area, it was found that the diversity of bird communities w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diversity of terrestrial insects, slope, average habitat area, mean size of patches, elevation, and forest type, and distance from agricultural land. The slope of habitat, forest type, and distance from agricultural land affect the occurrence of food sources directly and indirectly, and the average area of habitats and forest type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al diversity of habitats.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 diversity of bird communities is affected by the amount of food generated within the habitat and the diversity of habitats. It is determi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ird communities and habitat environments in this surveyed region can be basic ecological data for establishing forest management measures to promote the diversity of bird communities.

Useful Insects : Study on Behavior of Fruits Feeding and Ovipositional Characterization of Its Adult in Pylocoelia rufa (유용곤충 산업화를 위한 늦반딧불이 유충의 과일류에 대한 섭식행동과 성충의 산란특성 연구)

  • Lee, Hee-Kwon;Lee, Hoi-Seon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4 no.4
    • /
    • pp.859-867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at rearing room to investigate the feeding behavior of fruits in the firefly (Pylocoelia rufa) larvae and the ovi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dults. As a result, the pear, apple, melon, persimmon, mandarin, grape and peach were shown the feeding behavior of larvae the average 6.40, 3.25, 2.50, 2.20, 2.00, 1.40 and 1.25, respectively. However, the larvae were not shown at all feeding behavior to banana. The hours feeding behavior of firefly larvae was primarily from 8:00 pm until 2:00 am. In addition, the time at which the voracious feeding behavior was until 8:00 pm to 12:00 pm. The 6:00 pm began whisking all the larvae are hiding in the shelter. In the case of the firefly larvae fed only the edible snail, the adults were oviposition an average $49{\pm}6$ eggs. At that time larva stage, adults of the firefly eating the pears, apples, melon and eat edible snail at the same time there were oviposition the $53{\pm}7$ on average. In the case of fruits, the pears, apples, and melons has been considered worthy to take the firefly larva fed with the current land snails.

Assessment of biodiversity in rice paddy ecosystem (논 생태계 내에서의 생물다양성 평가)

  • Park, Kwang-Lai;Jung, Won-Kyo;Choi, Jae-Woong;Kim,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291-291
    • /
    • 2009
  • 쌀 생산관리 방법에 따른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관행, 우렁이, 투구새우, 심수관개, 오리농법 등으로 구분하여 벼 재배기간 동안 수서생물종과 식물종을 조사하였다. 논물과 토양에 서식하는 생물종을 쿼드라트법을 활용하여 조사한 결과, 토양생물의 풍부도는 이앙기는 관행농법, 분얼기에는 투구새우 농법이 높았으며, 출수기에는 무논, 쌀겨 농법에서 가장 많은 토양생물이 서식하고 있었다. 또한, 줄 채집에 의한 수서생물 종은 분얼기와 출수기, 육상생물은 수확기때 풍부하였으며 관행농법은 분얼기에 가장 출현종이 많았던 반면 오리농법은 전 조사기간 동안 가장 개체수가 적었으며 무논+쌀겨농법이 생물다양성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생물조사 결과 관행보다는 유기재배논에서 종 풍부도가 2배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쌀겨농법은 이앙기~분얼기까지는 쌀겨 분해에 따른 유기산에 의해 수서곤충이 급감되나 분얼기이후 개체수가 회복되어 무논+쌀겨구에서 가장 높았다. 전 조사지점 논둑의 식물 분포는 농법별 유의성이 없었으며 논둑의 우점식물은 쑥, 개망초,질경이, 클로버, 미나리, 미국가막사리, 쇠뜨기, 둑새풀, 미나리 등이었다. 출수기를 전후하여 관행논과 유기논, 그리고 둠벙의 유무로 구분하여 생물종을 조사한 결과, 먼저 관행논과 유기논에서 서식하는 생물종은 비슷하지만 수서생물의 개체수는 유기논이 관행논보다 43-54%나 많았다. 한편, 둠벙의 유무에 의한 생물조사에서는 둠벙이 있는 논이 없는 논보다 서식종이 35-47%정도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생물다양성을 증진하기위해서는 낙수기때 수서생물들의 피난처를 확보하여 주는 소규모 둠벙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n fruit set in Epipactis thunbergii (Orchidaceae) from southern Korea (한국남부 자생 닭의난초 (난초과)의 시 공간에 따른 결실률 변이)

  • Chung, Mi Yoon;Chung, Myong G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4
    • /
    • pp.353-361
    • /
    • 2015
  • Spatio-temporal variation in fruit set in orchids would affect long-term population viability and will influence genetic diversity over many gener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reeding system of the nectariferous terrestrial orchid Epipactis thunbergii, to specifically determine levels of fruit set in terms of time and space under natural conditions. We examined pollination under natural conditions and conducted hand pollination experiments during a 2-year survey in four populations located along 1.5 km of coastal line in Jinguiri (rual village) [Jeollanam-do (province), southern Korea]. We found that, over a 2-year period, levels of percentage of fruit set were similar within patches of the four populations. By contrast, we detec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of fruit set among patches. We also found that plants with larger inflorescence size produced significantly more fruits than plants with fewer flowers. Over a 2-year period, the percentage of fruit set for E. thunbergii was similar but low (14.1%) compared to that averaged for eighty-four rewarding species (37.1%). However, an increase in fruit set was achieved by hand-pollinations: artificial self-pollination (90.5-95.2%), artificial geitonogamy (94.7-95.0%), and cross-pollination (artificial xenogamy, 91.3-91.4%). No emasculated flowers produced fruits and no automatic pollination was found in E. thunbergii. Our findings suggest that E. thunbergii is a self-compatible terrestrial orchid that depends on pollinators (insects) to achieve fruit set in natural habitats, and that local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similar over a period of 2 years in the study area. Our results also highlight the cryptic variation of fruit production in time, but more pronounced variability in space.

Notes on fine-scale spatial distribution of three Cephalanthera species (Orchidaceae) that grow in sympatry in Korea: Implications for maintenance of species boundaries (동소적으로 서식하는 은대난초속 3종(난과)의 미세 공간 분포에 대한 참고 사항: 종의 경계 유지에 대한 암시)

  • Chung, Mi Yoon;Lopez-Pujol, Jordi;Chung, Myong G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7 no.4
    • /
    • pp.289-296
    • /
    • 2017
  • The three self-compatible, terrestrial orchids Cephalanthera erecta, C. falcata, and C. longibracteata flower synchronously in sympatric populations. Cephalanthera erecta and C. longibracteata, which have white flowers that do not fully open, are predominantly autogamous, whereas the food-deceptive C. falcata, whose bright yellow flowers open completely, is predominantly outcrossing. The formation of hybrids rarely occurs between species owing to strong prepollination barriers (floral isolation). If these three species have evolved toward the prevention of interspecific hybridization, we can expect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three species would be characterized as spatial segregation (i.e., 'spatial repulsion') from each other. To test this prediction, we studied the three Cephalanthera species in sympatric populations showing coincident flowering within Yeonwhasan Provincial Park (YPP, Gyeongsangnam Province, South Korea). We found strong spatial aggregation in each population and spatial independence in the interspecific spatial distribution, differing from previous studies. We further hypothesize that Cephalanthera species in sympatry within YPP are distributed somewhat randomly in space, perhaps due to the sharing of similar mycorrhizal fun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