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육량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1초

한방생균제가 한우의 체중, 혈액성상, 면역성 및 육량·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al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Weight, Blood Composition, Meat Quality and Immunity in Beef)

  • 김병기;하재정;이준구;오동엽;정대진;황은경;김수정;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60-869
    • /
    • 2016
  • This study was a report on 60 heads of Hanwoo steers(5 treatments ${\times}$ 4 heads ${\times}$ 3 repeats). Their start weights were $361.2{\pm}14.39kg$ to $380.5{\pm}27.33kg$; 12.7 to 13.6 months of age. The aim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al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the weight, blood composition, meat quality and immunity in beef. In case of body weight gain, con. 1 plot(183.8 kg) in the early fattening stage, T3 plot(115.1 kg) in the middle fattening stage, and T2 plot(163.3 kg) in the late fattening stag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ood content of T-Cho and IgG: con. 1 plot and T1 plot in the early fattening stage, T3 plot and T2 plots in the middle fattening stage, and con. 2 plot and T1~T3 plots in the late fattening stage had higher blood content than that of other treatment plots (p<0.05). In addition, the carcass weight was highest in the T1 plot and T2 plot among the total treatment plots(p<0.05).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different treatments; all individual treatment plots(T1~T3 plots) were somewhat higher than the control plots(con. 1~con. 2 plots) with respect to the carcass quantity and carcass quality. Combining and analyzing all results revealed that the dietary addition of herbal probiotics for Hanwoo ste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weight, amount of meat, meat quality and immunity.

소 도체등급 판정 항목과 전단력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hear Force and Grade Decision Factors on Hanwoo Cow Carcass)

  • 김동엽;김병도;백상국;정형진;김대곤;한기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44-34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전단력과 도체등급 판정항목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육질평가의 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한우암소 200두를 대상으로 하였고, 세부적으로 성숙도와 전단력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기계적인 연도 측정상에서의 성숙도와 연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육량등급이 낮아질수록 전단력이 낮아져 매우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육질등급 항목 중 육질 1차등급과 최종등급은 전단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근내지방도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육색, 지방색, 조직감은 전단력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암소 성숙도는 육질등급판정에서 하향조정항목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도체 성숙도에 따른 전단력의 차이에서는 성숙도 4가 $452.04\;kg/cm^2$로 가장 높은 전단력을 나타낸 반면, 성숙도 5가 $413.11\;kg/cm^2$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성숙도 2가 $417.98\;kg/cm^2$이었던데 반하여 성숙도 9는 $428.80\;kg/cm^2$을 나타내어 성숙도와 전단력(기계적 연도측정치)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성숙도와 관련하여 전단력 뿐만 아니라 보수력 및 관능 특성인 다즙성, 향미 등의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한 연구조사가 수반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육질등급 판정을 위한 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일(日)·인원연교잡(印遠緣交雜) 수도품종(水稻品種)의 급성위조증상(急性萎凋症狀) 발생(發生)에 관(關)한 영양생리학적(營養生理學的) 연구(硏究) -III. 수도근계(水稻根系)의 발달(發達)과 위조증상(萎凋症狀) 발생(發生)과의 관계(關係) (Physiological studies on the sudden wilting of JAPONICA/INDICA crossed rice varieties in Korea -III. Relationship between wilting injury and the rice root developing system)

  • 김유섭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2-126
    • /
    • 1989
  • 위조증상발생(萎凋症狀發生)에서 볼수 있는 품종간차이(品種間差異)를 근계(根系)의 발달(發達) 및 활력(活力)의 특징(特徵)에서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농가포장(農家圃場) 및 시험포장(試驗圃場)에서 실태조사(實態調査), 사경재배(砂耕栽培)에 의(依)한 대조품종(對照品種)의 생육시기별조사등(生育時期別調査等)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급성위조증상(急性萎凋症狀)이 발생(發生)한 "유신(維新)"은 건전주(健全株)에 비(比)해 피해주(被害株)에서 T/R비율(比率)이 높았다. 2. 급성위조증상(急性萎凋症狀)이 발생(發生)한 "유신(維新)"은 건전주(健全株)에 비(比)해 부위(部位)에 관계(關係)없이 근활력(根活力)이 저하(低下)하였다 "유신(維新)"의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에 있어서의 지상부생육량(地上部生育量)은 타(他) 품종(品種)보다 크나 T/R률(率)은 높아지는 경향(傾向)이며, 생육후기(生育後期)에 있어서의 광합성산물(光合成産物)의 근(根)에의 배분량(配分量)이 상대적(相對的)으로 감소(減少)하는것으로 보아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에 있어서 근(根)의 활력저하(活力低下)를 초래(招來)하는 요인(要因)이 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3. 위조증상(萎凋症狀)이 발생(發生)한 "유신(維新)"은 영양생장기(營養生長期)의 근활력(根活力)이 높고, 지상부(地上部)의 생장(生長)도 왕성(旺盛)하나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에는 타(他) 품종(品種)에 비(比)해 활력(活力)이 현저(顯著)하게 저하(低下)하는 특징(特徵)을 나타내는 것이 명확(明確)하게 밝혀졌다. 4. 급성(急性) 위조증상발생(萎凋症狀發生)이 비교적(比較的) 적었던 "밀양(密陽) 23호(號)"의 근활력(根活力)은 피해주(被害株)와 건전주간(健全株間)에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양자(兩者) 공(共)히 후기(後期)까지 비교적(比較的) 높게 유대(維待)되었으며, 근(根)도 굵고 T/R비율(比率)도 낮았다.

  • PDF

TMF와 배합사료의 급여방법이 거세한우의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 Carcass and Mea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Feeding Method of Concentrate and Total Mixed Fermentation in Hanwoo Steers)

  • 박병기;안준상;최장근;권응기;신종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81-291
    • /
    • 2019
  • 본 연구는 TMF 및 배합사료 급여방법의 차이가 거세한우의 사양성적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동물은 거세한우 24두(166.3±34.4kg)를 이용하였으며, 시험구배치는 육성기부터 비육후기까지 배합사료와 볏짚을 급여하는 대조구, 육성기부터 비육전기까지 TMF를 급여하고 비육후기에는 배합 사료와 볏짚을 급여하는 T1 및 육성기부터 비육후기까지 TMF를 급여하는 T2의 3처리로 하였다. 일당증체량 및 건물섭취량은 처리구간 차이는 없었으며, 혈중 cholesterol 및 HDL-cholesterol 농도는 대조구에 T2에서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TMF 및 배합사료의 급여방법이 거세한우의 육량등급 및 육질등급에 미치는 영양은 없었으며, 등심의 명도는 대조구 및 T2구에 비해 T1구에서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PUFA 비율은 대조구에 비해 T2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MF 및 배합사료의 급여 방법은 거세한우의 성장과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없이 등심의 육색 및 지방산 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공시두수 및 사료 배합비 등에 따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우 등심조직 내 인슐린 조절 유전자의 발현이 도체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ssociation of Insulin-related Genes Expression with Carcass Weight in Loin Muscle of Korean Cattle (Hanwoo))

  • 임다정;조용민;채한화;이승환;최봉환;김남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15
    • /
    • 2015
  • PPAR signaling pathway는 지방대사와 지방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대표적인 대사회로이기 때문에 가축에 있어서 주로 육질과의 연관성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육량(체중)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PAR signaling pathway에 존재하는 48개 유전자 중에서, pathway 분석을 통하여 체중에 가장 영향을 주는 인슐린 대사 호르몬에 의해 조절 받는 16개 유전자를 선별하여 거세 한우 20두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유전자 발현과 도체중과의 관련성 분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3개 유전자(ACSL6, FADS2, ILK)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p<0.05)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pathway 분석을 통하여 한우의 도체중과 관련이 있는 3개 유전자를 공통적으로 조절하는 포도당(D-glucose)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닭의 육질 개량을 위한 육색 관련 양적형질좌위 및 연관마커에 관한 고찰: 총설 (Quantitative Trait Locus and Association Studies affecting Meat Colors in Chicken : Review)

  • 서동원;이준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5-325
    • /
    • 2015
  • 최근 소비자의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육제품의 다원화 성향이 증가하면서 가축개량은 과거 성장 및 육량 중심의 개량에서 품질 중심의 개량으로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특히, 식육의 품질 중에서 육색은 소비자가 식육을 선택 및 질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형질이라고 볼 수 있다. 경제적으로 유용한 형질은 대부분 측정가능한 연속변이에 해당하고, 이러한 형질은 대부분 여러 유전자가 형질에 영향을 미치는 양적형질 좌위(Quantitative Trait Loci;QTL)에 속한다. Chicken QTL db에 보고된 닭의 육색형질과 관련된 형질들은 육색(Bco, Mco), 가열감량(DL), pH가 보고되어 있으며, 이는 닭의 13개 염색체에서 33개 QTL 및 association 영역이 보고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육색관련 후보 유전자는 APP, BCMO1, COL1A2, FTO, KPNA2, PSMD12, G0S2, FTSJ3가 있으며, 가열감량관련 후보유전자는 AGRP, FTO, pH와 관련된 후보유전자는 GALNT1, PCDH19, DIAPH1, SPP2 유전자로 총 14개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이렇게 확인된 후보유전자 및 QTL 연구결과는 한국재래닭에 적용 및 활용 가능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적용은 낮은 성장속도의 단점을 가진 한국재래닭의 개발에 있어 품질의 개량속도를 높여 산업적 가치를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는 중요한 표지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닐피복이 식방풍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nyl Mulching on Growth and Yield of Peucedanum japonicum $T_{HUNB}$)

  • 김재철;김정혜;박소득;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84-289
    • /
    • 2001
  •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는 육묘한 식방풍을 공시하여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 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육표이식 무피복 처리와 노지직파 무피복처리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아기간은 폿트육묘시 8일이었고 노지직파는 40일이었으며 출아율은 폿트육묘시 74%였으나 노지직파에서는 17%로 크게 저조하였다. 초장, 엽수, 경직경 등 지상부생육량은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육묘이식 무피복>노지직파 무피복처리구 순으로 많은 경향이었다. 주근의 길이는 육묘이식 무피복구가 유의하게 짧았으나, 피복처리구와 노지직파 무피복구는 비슷하게 긴편이었다. 주근의 굵기는 비닐피복구가 무피복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굵었고 노지직파 무피복구가 가장 가늘었다. 지근의 수는 육묘이식한 것이 직파한 것보다 $4.7{\sim}7.1$개 많았다 건근비율은 노지직파 무피복구에서 30.5%로 가장 높고 육묘이식구에서는 무피복구가 높았으머 비닐피복구에서 낮은 경향이었다. 10a당 건근수량은 육묘이식 백색비닐피복 542kg, 육묘이식 흑색비닐피복 506kg, 육묘이식 무피복 419kg으로 노지직파 7kg에 비하여 각각 52, 42, 17%증가하였으며 식방풍의 재배는 육묘이식하되 백색비닐로 피복하여 재배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였다.

  • PDF

맥주박과 옥수수 위주의 발효사료에 대한 Coated Vitamin C+E 및 면실의 첨가가 거세한우의 육조성분, 육색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ing Coated Vitamin C+E with Cottonseed on Meat Composition, Meat Color and Carcass Grade in Hanwoo Steers Fed Brewers Grain and Cracked Corn-Based Fermented Feedstuff)

  • 박병기;성대경;김창혁;권응기;오상집;신종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27-236
    • /
    • 2006
  • 본 연구는 맥주박과 옥수수 위주의 발효사료에 대한 coated vitamin C+E 및 면실의 첨가 급여가 거세한우의 육조성분, 육색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평균체중 550.4±42.8kg의 거세한우 24두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발효사료급여구(T1)와 coated vitamin C+E 및 면실 첨가 발효사료구(T2)의 2처리로 하였다. 배최장근의 조지방 함량은 T2구에서 T1구에 비해 높았다(p< 0.05). 배최장근의 표면 육색 중 황색도와 색상색은 T2구에서 T1구에 비해 낮았고(p<0.05) 명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p<0.05). 육량 A 등급의 출현은 T2구에서 T1구에 비해 높았다. 근내지방도는 T1구에 비해 T2구에서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맥주박과 옥수수 위주의 발효사료에 대한 CVCE 및 면실의 첨가는 거세한우 배최장근의 조지방 함량, 육색 및 근내지방도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육성기의 양질조사료(티머시 건초)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High Quality Roughage (Timothy Hay) during Growing Period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김병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2-217
    • /
    • 2006
  • 본 연구는 거세 한우에 대한 육성기의 양질 조사료(티머시 건초)의 급여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거세우 20두를 공시하여 대조구, 시험구로 2개 처리구를 두고 생후 5개월령부터 28개월령까지 24개월간 비육시험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8개월령 시험종료 시기의 체중은 대조구가 669.70kg, 시험구가 681.75 kg이었고, 일당 증체량은 시험구가 (0.83 kg) 대조구(0.81 kg)보다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육성기의 두당 1일 조사료섭취 량은 시험구(4.27 kg)가 대조구(3.80kg)보다 크게 높은 경향이었다. 도축후 배최장근 단면적과 육량등급, 육질등급은 시험구(각 $85.62 cm^2$, 2.20 점, 2.20점)가 대조구(각 $81.29 cm^2$, 2.00점, 1.60 점)보다 크게 높아 통계적인 유의차 인정되었고(p<0.05), 육성기때의 양질 조사료 급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에서 비육한 수입 생우 채끝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Sirloin Domestic Fed Imported Beef Cattles)

  • 박범영;조수현;유영모;이상조;채현석;김진형;홍성구;이종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8-221
    • /
    • 2002
  • 수입생우인 Hereford, Angus, Murray Grey, Cross breed (Hereford$\times$Angus)의 채끝을 채취하여 도축 후 0$\pm$1$^{\circ}C$에서 7일간 숙성 후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입우 품종별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은 교잡종이 71.8%로 가장 높았으며, Hurray Grey종이 69.1%로 가장 낮았다 (p<0.05). 단백질과 지방은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회분은 Hurray Grey종이 가장 높았고, Angus종이 가장 낮았다(p<0.05). 물리적 특성 중 pH와 지방경도는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05), 보수성은 Hurray Grey종이 가장 높았고, 전단력은 Angus종이 가장 높았으며, Hereford와 Murray Grey종이 가장 낮았다(p<0.05). 가열감량은 Murray Grey종이 가장 낮았으며, 나머지 품종들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수입우의 육색 및 관능검사 결과는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본 연구결과 수입우 품종간 일부 조사항목을 제외하고는 육질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국내 수입 생우의 국내비육 후 소비자의 선호도 등, 보다 폭 넓은 연구가 필요하며, 아울러 한우와 동일한 사육프로그램에 의해 사육하여 한우와 수입 생우간 육량 및 육질에 대하여 포괄적인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