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효전력 손실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45초

전력산업의 경쟁체제에서 유효전력 손실을 부하에 배분하는 방법 (Allocation of Real Power losses to Individual Loads Under Competition of Deregulated Power Industries)

  • 노경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14-120
    • /
    • 2004
  • 본 논문은 전력산업이 경쟁체제로 전환되어 전력시장으로 운영될 경우 보조서비스의 하나인 유효전력손실 배분에 관한 것으로 손실배분계수를 이용하여 유효전력 손실을 부하에 배분하는 방법을 제안하며 아울러 제안하는 방법을 한계손실계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비교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먼저 손실배분계수를 정의하며 이것을 이용하여 유효전력 손실에 대한 각 부하의 분담분을 계산한다. 9-모선 샘플시스템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한계손실계수를 이용하는 것보다 손실배분계수를 이용하여 유효전력손실을 부하에 배분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유무효전력설비의 적소투입을 통한 전력손실개선 (System Loss Improvement through Proper Location of Active and Reactive Power Apparatus)

  • 이상중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7-80
    • /
    • 2000
  • 본 논문은 有無效 섣둡jJ設觸의 投貴위치와 그 용향을 적정화하여 동일한 설비투자량에 대하여 전력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유효 및 무효전릭의 미소증분에 대한 손실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선의 손실감도를 소개하고 전력송실을 최대한 개선하기 워한 유무효전력 설비의 투자지표로 이용하였다. 각 모선에 주어지는 투자지표의 우선순위에 따라 유효 및 무효전력설비가 투자되어 전력손실을 최소화한다.

  • PDF

내점법에 의한 선로 전력 조류 제약을 고려한 경제급전에 관한 연구 (Security Constrained Economic Dispatch based on Interior Point Method)

  • 김경신;이승철;정인학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311-31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선로 전력조류제약을 고려한 경제급전(SCED : Security-Constrained economic dispatch)에 내점 선형계획법을 이용하여 최적해를 구하는 문제를 다룬다. 최적전력조류(Optimal Power Flow)식으로부터 선로의 유효전력만을 근사화하여 선로 전력조류 제약을 고려할 경제급전(SCED)의 식을 정식화한다. 선형계획법을 적용하여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서 발전기출력과 유효전력, 부하, 손실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경제급전의 식을 선형화 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선형화 알고리즘은 목적함수로 계통 발전기의 총 연료비를 취하고 전력수급평형식으로 발전기출력증분에 대한 선로의 증분손실계수를 이용하며, 선로의 제약조건은 일반화발전 분배계수(GGDF : Generalized Generation Distribution Factor)를 이용하여 선형화한다. 최적화 기법으로서 내점법(Interior Point Method)을 적용하고자 하며 사례연구를 통하여 선형계획법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심플렉스(Simplex)법과의 수렴특성을 비교하여 내점 법의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PDF

송전선로의 유효전력 손실을 각 부하에 배분하는 방법 (An Approach to Allocate Real Power Losses of Transmission Lines to Individual Loads)

  • 노경수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49권1호
    • /
    • pp.13-18
    • /
    • 2000
  • The paper proposes a simple method to calculate the portion of real power losses of transmission lines allocated to individual loads. The method is implemented by defining loss distribution factors, and analyses the loads shares in the transmission line losses. The paper also performs calculation of sensitivities of the line losses with respect to load changes so as to be easily employed in on-line applications.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is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s and it is estima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to compute the cost of one ancillary service under deregulated environment in electric power industries.

  • PDF

평균필터 조합을 통한 최대수요전력 예측기법 (A Maximum Power Demand Prediction Method by Average Filter Combination)

  • 유찬직;김재성;노경우;조완섭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27-23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산업현장에서 통신 오류에도 불구하고 최대전력수요를 예측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최근 국내의 탈원전 정책으로 전력가격상승은 불가피하며, 이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를 위한 전력사용량과 최대부하관리는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크전력을 예측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실제 산업현장에서는 각종 설비 및 센서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등으로 인해 측정된 전력데이터의 손실 및 변조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측정된 유효전력 데이터가 손실된 경우 정확한 값을 예측하기 어렵다. 이 연구는 측정된 유효전력 데이터가 손실될 경우 이상 징후와 결측값을 예측하고 수정하는 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델은 산업현장에서 통신 오류가 발생할 경우 최대 전력수요를 예측하는 데 유용할 것으로 예상한다.

퍼지 선형계획법을 적용한 전력계통의 최적운용에 관한 연구 (Optimum Operation of Power System Using Fuzzy Linear Programming)

  • 박성대;정재길;조양행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8권1호
    • /
    • pp.37-45
    • /
    • 1994
  • 본 논문은 전력계통 운용에 관한 합리적인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 제어방법을 제시한 논문으로 무효전력 제어에 퍼지 선형계획법을 적용하여 목적함수의 값을 최소화하고 전체 계산시간을 단축시키고 운용의 융통성을 주기 위하여 시도한 논문으로 본 논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유효전력 제어는 선로손실을 고려한 전력수급 평형식으로서 B정수를 이용하지 않고 전력 조류 방정식의 쟈코비 행렬의 스파스한 성질을 이용하여 간단히 계산하고 Lagrange함수법을 이용함으로써 계산시간을 단축시키고 기억용량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으며 반복계산을 하지 않고 직접 발전기의 최적부하 배분량을 결정할 수 있다. 2) 무효전력 제어시에도 목적함수로서는 총 선로손실을 취하지 않고 발전소의 총 연료비를 취하여 이를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경제성을 도모하였다. 또 이때 필요한 제어변수에 대한 발전기 출력시 모선전압의 감도행렬의 계산은 조류 방정식의 쟈코비 행렬의 스파스한 성질을 충분히 이용하여 계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3) 특히 무효전력 제어시에는 많은 함수형 부등식 제약조건을 즉 모선전압의 상하한 제약조건을 일정한 값으로 고정하지 않고 어떤 허용 변동폭을 주어 조건을 완화하는 퍼지 선형계획법을 적용하므로써 확정적인 제약을 갖는 일반 선형계획법을 적용할 때보다 유리한 점이 확인되었다.

  • PDF

손실배분계수를 이용한 송전선로 유효전력 손실의 배분법 (A Method to Allocate Real Power Losses of Transmission Lines using Loss Distribution factors)

  • 노경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259-1261
    • /
    • 1999
  • The paper proposes a simple method to calculate the portion of real power losses allocated to individual loads. The method is implemented by loss distribution factors, and analyses the share of loads in transmission line losses.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is verified by a computer simulation. The results can be used to compute the cost of ancillary services under deregulated environment in electric power industries.

  • PDF

전력계통용 파워일렉트로닉스 기기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통권277호
    • /
    • pp.69-77
    • /
    • 2000
  • 최근 전력설비 운용상의 여러 가지 과제에 대한 유망한 해결책으로서 파워일렉트로닉스 기기를 사용한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려식 변환기를 사용한 FACTS기기는 계통의 유효전력$\cdot$무효전력을 계통의 상태에 의존하지 않고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어, 계통운용의 유연성을 비약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미쓰비시전기는 전력기기간 계통에서의 자려식 변환기 응용의 파이어니어로서 1991년 간사이전력(주) 태산개폐소에 80Mvar SVG(전지형 무효전력발생장치)를 납품하였으며 또한 자원에너지청의 ''연계강화기술개발'' 보조사업으로 도쿄전력(주)을 비롯하여 전력회사 각사, 전원개발(주)와 (재)전력중앙연구소의 지도 하에 3단자 BTB(Back to Back) 실증시스템용으로 세계 최초의 6인치 GTO(Gate Turn-off Thyristor)를 사용한 53MVA의 자려식 변환기를 제작납품하여 수백MVA 클래스의 자려식변환기 제작기술을 확립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동사가 개발한 신소자 GCT(Gate Commutated Turn-off Thyristor)는 지금까지 대용량 자려식 변환기의 커다란 과제였던 운전손실을 반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배전 분야에서는 전압변동, 고조파, 순간전압강하 등의 과제가 증가하고 있어, 미쓰비시전기는 이에 응할 수 있는 파워일렉트로닉스 기기로서 콤팩트 SVG(Static Var Generator), SSTS(Solid-state Transfer Switch), 액티브필너를 다수 납품하여 전력품질문제 해결에 공헌하고 있다.

  • PDF

SVPWM 방식의 3상 인버터에 대한 간단한 데드타임 보상 알고리즘 (Dead Time Compensation Algorithm for the 3-Phase Inverter using SVPWM)

  • 김홍민;추영배;이동희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610-617
    • /
    • 2011
  • 본 논문은 공간벡터펄스 변조법(SVPWM, 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을 사용하는 3상 인버터의 새로운 데드타임 직접 보상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데드타임 보상방식은 인버터에 인가되는 데드타임을 중간상 전류의 방향에 따라, 유효전압이 인가되는 유효전압벡터 인가시간에서 직접 보상하는 방식이다. 3상 인버터에서 각상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유효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되고, 데드타임의 영향에 따라, 실제로 유효전압이 인가되는 스위칭 시간은 전류의 방향에 따라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제안된 방식에서는 실제로 전류의 방향에 따라 손실이 발생하는 유효전압벡터의 인가시간에 직접적으로 손실 시간을 더하여 유효전압벡터의 인가시간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전압오차를 보상하기 위한 제어기와 복잡한 d-q 변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제안된 방식은 3상 R-L 부하에 대하여 컴퓨터 모의해석과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식의 데드타임 보상을 검증하였다.

낮은 입력 전압을 가지는 DC/DC 전원 장치의 도통 손실 감소를 위한 비대칭 하프-브리지 공진형 컨버터

  • 정연호;이재범;문건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5-27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낮은 입력 전압을 가지는 DC/DC 전원장치의 도통 손실 감소를 위한 비대칭 하프-브리지 공진형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된 컨버터를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ACF) 컨버터와 하프-브리지(HB) LLC 공진형 컨버터의 스위치 통합 기법을 통해 생성되었다. ACF 컨버터를 LLC 공진형 컨버터 앞단에 위치시켜 HB LLC 공진형 컨버터에 증가된 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변압기 턴비를 증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1차측 도통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두 단에 적용된 스위치를 스위치 통합 기법을 통해 높은 전력 밀도 및 추가되는 도통 손실 감소를 통해 높은 효율을 동시에 이룰 수 있었다. 또한, 비대칭 펄스 폭 변조(APWM)를 제어를 통해 입력 전압 범위를 감소시켜 효율에 최적화된 설계를 가능하게 하였다. 제안된 컨버터는 36-72V 입력 전압, 300W(12V/25A) 출력을 가진 프로토 타입 컨버터를 통해 그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