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화능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8초

우렁쉥이 껍질성분 및 색소를 이용한 양식소재 개발 -3. 우렁쉥이 껍질 유래 황산다당의 기능적 특성- (Utilization of Pigments and Tunic Components of Ascidian as an Improved Feed Aids for Aquaculture -3. Function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 홍병일;정병천;손병일;정우진;육지희;최병대;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71-675
    • /
    • 2002
  • 우렁쉥이 껍질에서 추출한 autoclave 추출구와 neutrase 추출구는 지방흡수력의 경우 대조시료인 chitin과 chitsan에 비해 떨어지는 대략 250$\~$$300\%$ 정도이었으나, 포말성은 각각 0.70과 0.67로, 포말안정성은 0.50과 0.38로 우수하였다 Autoclave 추출구 및 neutrase 추출구의 유화능은 각각 $49.2\%$$47.1\%$, 유화안정성의 경우 각각 $48.3\%$$44.8\%$ 정도였으며 특히, 색소흡착능은 각각 $85.2\%$$85.6\%$로 대조시료에 비해 다소 우수하였다 항혈액응고능은 모든 시료에서 hPn 저 지효과는 나타났으나 PT값은 약 14.5초로 일정하여 혈액응고저지 효과가 거의 없었다. 특히 autoclave 처리구를 DEAE-cellulose ion exchange chromatography하여 얻은 F4 (획분4)는 APTT가 75초로 가장 효과적 이 었으며, Sephadex G-100의 $F_2$가 70초 정도였다. ACE저해능은 모든 시료에서 ACE 저해효과가 있었으며, 채택된 실험방법에 따라 동일시료 경우에 있어서도 저해효과 값이 차이가 났으며, 특히 DEAE-cellulose 이온교환 처리한 $ F_4$ (획분4)가 $35.7\%$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유화처리 정제식용유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수축 Mock-up 실험 (Autogenous Shrinkage Mock-up Test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by Emulsified Refined Cooking Oil)

  • 조만기;한천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307-31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CFT에 사용하는 70 및 100MPa급 고강도 콘크리트의 ERCO 적용 유무에 따른 기초적 물성 및 강도특성을 분석하고, Mock-up 시험을 통해 자기수축 저감성능 및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유동특성으로 ERCO를 사용함에 따라 슬럼프 플로는 약간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슬럼프는 증가하였고, 재료분리 저항성(EIS)은 2.5 이하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공기량의 경우는 모두 목표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단위용적질량은 증가하였으며, 응결시간은 약간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도 특성의 경우 ERCO를 0.5% 사용함에 따라 호칭강도 별 모든 배합에서 ERCO 0%에 비해 약 5~10%정도의 높은 압축강도 발현율을 나타내었다. 자기수축 특성은 전반적으로 ERCO를 사용한 배합의 경우 사용하지 않은 배합에 비해 20~30%정도 높은 자기수축저감 성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ERCO의 주성분인 지방산($C_3H_5(OCOR)_3$)이 콘크리트 경화체중 수화생성물인 수산화칼슘($Ca(OH)_2$)에 가수분해 되어지방산칼슘(2RCOOCa), 즉 비누입자를 생성시켜, 콘크리트 경화체 내부의 모세관 공극을 충전함으로써 자기수축이 저감된 것으로 분석된다. 종합적으로 ERCO를 사용한 70 및 100MPa 고성능 콘크리트는 유동성 및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였고, 자기수축 저감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이를 CFT 실구조체에 타설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POV, TBARS, 미생물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Rosemary and Citron Peel Powder on POV, TBARS, Microorganisms and Nitrite Scavenging of Emulsion-type Sausages)

  • 이제룡;곽석준;정재두;하영주;어용준;조현소;성낙주;도창희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4호
    • /
    • pp.647-654
    • /
    • 2005
  • 본 연구는 유화형 소시지 제조시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을 혼합 첨가하여 소시지를 제조한 다음 소시지의 POV, TBARS, 미생물 및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소시지의 POV 값은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특히 저장 60일에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POV 값을 나타내었다(P<0.05). 소시지의 TBARS은 저장 20일과 40일에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P<0.05),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가 가장 낮은 TBARS를 나타내었다. 소시지의 미생물 수는 저장 20일과 45일에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P<0.05). 소시지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rosemary, 유자과피 분말 단일 및 혼합 첨가 소시지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저장 20일과 60일에 rosemary 첨가 소시지는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P<0.05). 이상에서,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첨가 소시지는 대조구에 비해 지방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키면서 잔존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고, rosemary와 유자과피 분말 혼합 첨가의 시너지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샐러리 종자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방지 활성 및 수중유적형 유화계에서의 산화안정성 (Antioxidant properties and oxidative stability of celery seeds ethanol extract using in vitro assays and oil-in-water emulsion)

  • 김민아;한창희;이재철;김미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80-485
    • /
    • 2017
  • 본 연구는 생리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향신료 중 샐러리 종자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산화안정성을 관찰하였다. 샐러리 종자 80%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활성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은 $8.2{\pm}2.3mol$ 타닌산 당량/g extract로 나타났고, FRAP 환원력은 $195.0{\pm}12.6mol$ 아스코브산 당량/g extract로 나타났다. 수중유적형 유화계에서의 헤드드스페이스 산소 함량은 대조군의 산소 잔존율 보다 샐러리 종자 80%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 산소 잔존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CDA가는 광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지방산화시 발생되는 conjugated dienes의 생성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질 하이드로과산화물의 양 역시 샐러리 종자 80% 에탄올 추출물 처리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샐러리 종자의 항산화 및 수중유적형에서의 산화안정성은 샐러리 종자 80% 에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향기성분들에 의해 유래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샐러리 종자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능이 우수하여 산화안정성이 중시되는 식품에 천연항산화제로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생물 계면활성제(S-acid)의 특성조사에 관한 연구 (Properties of Microbial Surfactant S-acid)

  • 정해권;이정복임건빈김은기
    • KSBB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71-77
    • /
    • 1995
  • Penicillium spiculisporum으로부터 생산한 S-acid 와 그의 유도체를 만들고 이들의 계면활성제로서의 특성을 살펴 보았다. S-lNa 엽 이 우수한 표면장력 저하능 (31.6dyne/때)과 기존의 SDS, Tween 80을 능가하는 분산능력을 보였다. 또한 칼슐 존재 하에 서도 유화능력을 유지할 수 있었고 침투력에서도 기존의 LAS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대전방지 능력은 거의 없었고 세척력은 LAS의 70%를 보였다. 생분해측면에서는 모든 유도체가 기존의 계연활 성제보다 월등히 빨리 분해되었으며 방청력변에서는 S-3Na 엽이 기존의 방청제와 유사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HPFRCC 및 ERCO를 활용한 지뢰매설호 현장적용 (Field Application of Land Mine Crater using HPFRCC and ERCO)

  • 이제현;이종태;정웅선;조성준;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90-91
    • /
    • 2017
  • Military camps deal with various types of explosives. For instance, military engineering unit conducts education and training for laying landmines. However, in case of land mine craters installed with regular-level RC, structural safety may be in danger thus there is a necessity to utilize High 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s (HPFRCC), which has high functionality in protection and blast resistance.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field application of land mine crater of HPFRCC, using the existing optimal fiber mixing ratio and ERCO addition ratio.

  • PDF

비닐아세테이트 코텔로머의 제조 및 계면활성(I) (Preparation and Surface-Active Properties of Vinyl Acetate Cotelomers (I))

  • 이언필;강세미;황대연;정영진;최해욱;최영호;이재호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77-683
    • /
    • 2012
  • 1-octanethiol and vinyl acetate telomers ($R_8S$-nVAc) were synthesized and hydrolyzed with sodium hydroxide subsequently, 1.2-epoxyhexane was then introduced to the telomers. In addition, we prepared cotelomers of multi-alkylated nonionic surfactants with a molecular structure of xRnMA-yVA (x; hydrophobic group, y; hydrophilic group, MA; methacrylic ester, VA; vinyl alcohol, R; and alkyl group) and cross-linked with sodium tetraborate decahydrate. Their active surfac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several techniques such as surface tension, foaming property, and emulsification power measurements. The surface tension of $R_8S$-8.8VA decreased without the introduction of 1.2-Epoxy hexane, and the degree of emulsification and foaming abilities of $R_8S$-8.8VA increased without the introduction of 1.2-Epoxy hexane. However, the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The epoxy groups were attached to a $R_8S$-8.8VA cotelomer with a limited variation of the active surface properties. The surface tension of $1.1R_6MA$-8.8VA decreased after cross-linking subsequently, the degree of emulsification and foaming abilities of $1.1R_6MA$-8.8VA increased after cross-linking. However,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between them. The B-O bonds were attached to a $1.1R_6MA$-8.8VA cotelomer with a limited variation of the active surface properties.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한 참깨박 단백질의 기능성 변화 (Functional Properties of Proteolytic Enzyme-Modified Isolated Sesame Meal Protein)

  • 이선호;조영제;천성숙;김영활;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08-715
    • /
    • 1995
  • Pepsin, papain 및 trypsin 처리 참깨박 단백질의 기능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용해도에 있어 pH 4에서 2%의 대조군에 비해 $53{\sim}94%$까지 뚜렷한 증가를 보였으며, trypsin에 의한 10%, 20% 가수분해도 처리군은 등전점에서 약 6배, papain에 의한 10% 가수분해도 처리군은 약 4.5배 가량의 유화능의 향상을 보였다. 기포 형성력은 각 효소 처리군의 30% 가수분해도 처리군의 알칼리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전반적인 증가를 보였다. trypsin, papain 처리군의 겉보기 밀도와 수분 흡착력은 약 0.1 g/ml와 $0.3{\sim}0.7\;ml/g$ 정도 감소하였으나, 유지흡착력은 약 1 ml/g 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 PDF

유화-확산법에 의해 얻어진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나노 방향 입자의 특성 및 방출 거동 (Characteristics and Release Behaviors of Aromatic Poly(vinyl acetate) Nanoparticles Prepared by Emulsification-Diffusion Technique)

  • 손성옥;이소민;김윤미;김한도
    • 폴리머
    • /
    • 제31권3호
    • /
    • pp.177-18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라벤더 오일을 심물질로 이용하여 나노크기의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PVAc) 방향 입자를 유화-확산법으로 제조하였다. 방향 물질의 방출 시기와 속도 조절로 방향 캡슐의 지속성과 내구성을 얻기 위하여 제조 조건에 따른 나노 방향 입자의 특성과 방출 거동을 주사 전자 현미경, 전기 영동 광산란 분광 분석기,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분석기 및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고찰하였다. 제조된 방향 입자는 실험 조건을 조절함에 따라 평균 입자 크기가 224 nm인 구상 나노 입자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170시간 동안의 방출 거동을 비교.평가한 결과 PVA로 코팅한 방향 입자가 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초기 방출 거동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PVAc 나노 방향 입자는 직물 및 피혁제품 등에 대한 내구성 방향가공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iosurfactant의 생산을 위한 Nocardia sp. L-417균주의 배양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of Nocardia sp. L-417 Strain for Biosurfactant Production)

  • 이태호;김순한;임이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2-258
    • /
    • 1998
  • Biosurfactant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 중에서 표면장력 및 계면장력 감소능에서 가장 우수한 L-417주를 순수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No-Cardia속으로 판명되었다. Biosurfactant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3% n-hexadecane, 0.1% $NaNO_3$, 0.02% $K_2HPO_4$, 0.01% $KH_2PO_4$, 0.01% $MgSO_4 \;.\;7H_2O$, 0.01% $CaCl_2$ 0.02% yeast extract였으며,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30^{\circ}C$와 6.0이였다. 이러한 조건에서 500ml용 shaking flask에 최적 배지 50ml를 넣어 배양했을 경우 대수증식기 말기인 4일째에 균의 증식과 유화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남에 따라 Nocardia sp. L-417에 의한 bio-surfactant의 생산은 균의 생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계면활성제는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bunker A, paraffin, corn oil 및 oilve oil 등에 대해서도 비교적 높은 유화활성을 나타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