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한요소모형

Search Result 59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udies of the Behavior of Short Pile Subjected to Lateral Load near a Sandy Slope (모래사면에 설치된 수평하중을 받는 짧은 말뚝의 거동에 관한 3차원 탄소성 유한요소해석)

  • ;Ugai Keizo;Wakai Akihiko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3
    • /
    • pp.41-50
    • /
    • 2001
  • 본 연구는 모래사면의 언덕근처에 설치된 짧은 말뚝의 수평하중의 영향에 관한 것이다. 3차원 탄소성 유한요소법해석과 실내 모형실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경사 30$^{\circ}$의 사면에 시공된 짧은 말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면언덕에서 모형말뚝까지의 거리를 3종류로 상이하게 하여,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모래의 지반특성은 배수조건하의 삼축압축실험으로 결정하였다. 동시에 3차원 탄소성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해석결과와 모형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본 유한요소법의 해석에 있어서 모래지반을 탄성완전소성모델(Elastic-perfectly plastic model)로 가정하여, 파괴기준으로 Mohr-Coulomb 식과 소성 포텐셜에 대해서는 Drucker-Prager 식을 적용한 MC-DP 모델로 하였다. 이러한 MC-DP 모델의 구성식은 유한요소법에서 있어 계산치의 수렴에 유익하다. 3차원 탄소성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해석이 사질토 사면의 언덕 부근에 설치된 단하의 수평거동에 대한 파악에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Contents of Seoul WOW Book festival (서울와우북페스티벌의 의의와 콘텐츠분석)

  • Um, Hye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3-424
    • /
    • 2011
  • Lax-Wendroff 기법을 기반의 천수방정식에 대한 유한요소 모형을 낙동강 상류부 단호교 지역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이동경계에 대한 Thacker (1981)의 정확해와 침수-노출 기법(wet-dry scheme)을 이용한 본 모형의 수치해를 비교하여 대체로 잘 일치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U자형 만곡부를 포함한 수로의 흐름에 적용하여, 기존의 수리실험 결과, 수치모의 결과와 비교하고,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낙동강 상류지역에 위치한 단호교 지역에 본 모형을 적용하고, 이를 기존 유한차분법에 의한 수치해와 비교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Shallow Water Equation Finite Element Model to Danhogyo Area in Nakdong River (천수방정식 유한요소 모형의 낙동강 단호교 지역 흐름에 대한 적용)

  • Heo, Sun-Young;Lee, Hae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19-320
    • /
    • 2011
  • Lax-Wendroff 기법을 기반의 천수방정식에 대한 유한요소 모형을 낙동강 상류부 단호교 지역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이동경계에 대한 Thacker (1981)의 정확해와 침수-노출 기법(wet-dry scheme)을 이용한 본 모형의 수치해를 비교하여 대체로 잘 일치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U자형 만곡부를 포함한 수로의 흐름에 적용하여, 기존의 수리실험 결과, 수치모의 결과와 비교하고,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낙동강 상류지역에 위치한 단호교 지역에 본 모형을 적용하고, 이를 기존 유한차분법에 의한 수치해와 비교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Depth-Integrated Finite Element Model to Danhogyo Area in Nakdong River (낙동강 단호교 주변 흐름에 대한 수심적분 유한요소 모형의 적용)

  • Lee, Hae-Gyun;Lee, Nam-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59-163
    • /
    • 2011
  • 천수방정식에 대한 Lax-Wendroff 기법을 기반으로 한 유한요소 모형을 낙동강 상류부 단호교 지역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이동경계에 대한 Thacker (1981)의 정확해와 젖음-마름 기법(wet-dry scheme)을 이용한 본 모형의 수치해를 비교하여 대체로 잘 일치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U자형 만곡부를 포함한 수로의 흐름에 적용하여, 기존의 수리실험 결과, 수치모의 결과와 비교하고,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낙동강 상류지역에 위치한 단호교지역에 본 모형을 적용하고, 이를 기존 유한차분법에 의한 수치해와 비교하였다.

  • PDF

Hybrid Element Model for Wave Transformation Analysis (파랑 변형 해석을 위한 복합 요소 모형)

  • 정태화;박우선;서경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5 no.3
    • /
    • pp.159-166
    • /
    • 2003
  • In this study, we develop a finite element model to directly solve the Laplace equation while keeping the same computational efficiency as the models based on the extended mild-slope equation which has been widely used for calculation of wave transformation in shallow water. For this, the computational domain is discretized into finite elements with a single lay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locity potential in the element is then expressed in terms of the potentials at the nodes located at water surface, and the Galerkin method is used to construct the numerical model. A common shape function is adopted in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sine hyperbolic function in vertical direction, which describes the vertical behavior of progressive waves. The model was developed for vertical two-dimensional problems. In order to verify the developed model, it is applied to vertical two-dimensional problems of wav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It is shown that the present finite element model is comparable to the models based on extended mild-slope equations in both computational efficiency and accuracy.

Investigation of Strain Behaviour around the Tip of Model Pile - Comparison between Laboratory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 (모형말뚝 선단부 주변의 변형률 거동 분석 - 실내모형실험과 수치해석 비교 -)

  • Lee, Yong Joo;Lee, Jung-M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4C
    • /
    • pp.159-167
    • /
    • 2012
  • In this study, laboratory model pile-load tes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rain behaviour around the model pile tip. In order to simulate the pile load, both the LCM(load control method)and DCM(displacement control method) were introduced to determine which one is appropriate for the FE simulation.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imulation method, two interface elements around the model pile were used to consider the slip effect in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its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model tes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non-associated flow was a dominant factor in terms of numerical solution convergence. In addition, an improved FE mesh was required to obtain the symmetric distribution of the maximum shear strain contour.

FEA and Model test of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Facility with Recycling Materials (재활용 재료를 이용한 지하 매설물용 뒤채움재의 모형시험 및 유한요소해석)

  • Lee, Kwan Ho;Kim, Sung Kyum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77-177
    • /
    • 2011
  • 현재 대부분 사용되는 지하매설물용 뒤채움재는 다짐공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실제로 이러한 방법은 부적절한 다짐으로 인해 침하 및 내구성 저하로 인해 파손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유동성 뒤채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유동성 뒤채움재는 초기 유동성, 시간에 따른 자기 강도 발현 무다짐공법 적용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발생토사, 정수장슬러지 및 폐타이어분말 등 재활용 재료를 이용한 유동성 뒤채움재의 기본물성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재활용재료에 대한 입도 및 비중을 평가하였고, 최적배합설계를 결정하였으며, 모형 시험과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기본 물성값을 위해 일축압축시험, 삼축압축시험, 공진주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최적배합설계를 산정하는 과정에서 수행한 실험중 대표적인 시험으로 자가수평능력 및 자기다짐등에 필요한 유동성을 판단하는 Flow시험(ASTM D 6133) 결과 기준으로 정한 20cm이상의 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일축압축강도의 경우 시공 후 유지 보수가 용이한 강도인 $3.0kg/cm^2{\sim}5.6kg/cm^2$이하로 설계하였으며 28일재령 일축압축강도 결과 $3.15{\sim}3.74kg/cm^2$라는 유지보수에 적당한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이 배합이 현장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장모형시험과 유한요소해석를 통하여 현장에서 사용하였을 때 관의 변형과 관에 작용하는 하중변화를 확인하고 현장모형시험과 유한요소해석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현장 모형 시험은 현장과 비슷하게 제작된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최대한 현장과 비슷한 조건에서 뒤채움재를 타설과정 중과 타설이 완료된 상태에서 7일 양생 후 하중재하와 같이 두가지 경우에서 수직 수평토압, 관의 수직 수평변위, 관의 종단변형을 측정하였다.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은 Midas GT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관의 변형률, 유효응력을 측정하여 규명하였다.

  • PDF

Active Dispersion-Correction Scheme of 2-D Finite Element Model for Simulation of Tsunami Propagation (지진해일 전파 수치모의를 위한 2차원 유한요소모형의 능동적 분산보정기법)

  • Yoon Sung Bum;Lim Chae 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7 no.1
    • /
    • pp.1-8
    • /
    • 2005
  • For the simulation of tsunami propagation an active dispersion-correction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has been developed based on a shallow-water wave equation. This model employs an arbitrary triangular mesh and an explicit time integration scheme. However, the physical dispersion effects as included in the Boussinesq equations can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computation. The validity of the dispersion-correction scheme developed in this study is verified through the comparison of numerical solutions calculated using the new scheme with analytical ones considering dispersion effect of waves. As a result, the present model is shown to be considerably accurate.

Treatment of Inclined Boundaries in a Finite Element Model for the Mild-Slope Equation (완경사 방정식을 이용한 유한요소모형에서 경사경계의 처리)

  • Jung, Tae-Hwa;Ryu, Yong-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4 no.2
    • /
    • pp.84-88
    • /
    • 2012
  • A numerical skill for effective treatment of inclined boundaries in a finite element method is introduced. A finite element method has been frequently used to simulate hydraulic phenomena in a coastal zone since it can be applied to irregular and complex geometry. In case elliptic partial equations are governing equations for a finite element model, however, there is a difficulty in treating boundary conditions properly for cases in which boundaries are vertically inclined. In this study, a method to treat such inclined boundaries using Bessel functions for a finite element method is introduced and compared with analytical solutions.

Application of Storm Runoff Model on Small Watershed by Finite Element Method (유한요소법에 의한 소유역 유출모형의 적용)

  • 최진규;손재권
    • Water for future
    • /
    • v.25 no.3
    • /
    • pp.97-104
    • /
    • 1992
  • Th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s are widely applied to estimate the storm-runoff with spatial variability in watershed characteristics and rainfall pattern. This study was aimed to introduce the event-oriented storm runoff model using finite element method, and to try it's applicability on small watershed. Yeonwha watershed was selected and 14 storm events in 1991 were used for the finite element model, and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hydrologic quanti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