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체탄성진동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적층구조물내의 유체유발 탄성응력파 해석 (Analysis of the Flow-Induced Stress Waves in Lavered Structures)

  • 이준근;이우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19 May 1995
    • /
    • pp.328-33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난류경계층 압력유동을 받는 구조물의 탄성응력파의 전파특성을 파동역할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직각좌표계를 이용하여 난류운동이 동일한 한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 대해 탄성응력파의 전파특성을 해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유체가 구조물의 표면에 수직으로 입사하여 방사형으로 흘러나갈 경우에 발생하는 탄성응력파의 전파 특성을 극좌표계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기초 구조물의 깊이방향으로 전파되는 탄성응력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기초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탄성중합체층을 설계하는데 보다 효율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단순화된 1자유도계 모델을 유도하였다.

  • PDF

길이 방향 내심 장력재를 갖는 유체 충진된 두꺼운 원통 셀의 진동 해석 (Vibrations of a Fluid-filled Thick Cylindrical Shel with Embedded Internal Strength Members)

  • 함일배;정의봉;이헌곤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19 May 1995
    • /
    • pp.340-34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내심형 장력재가 셀 벽속에 묻혀 있는 경우에, 셀의 진동 및 내부 음압을 셀과 장력부재 그리고 내부 충진유체들의 상호 작용을 고려하여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셀 재료와 인장 부재의 탄성계수, 감쇠특성의 차이에 따라 응답이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재료 특성 및 설계 변수들에 대한 추가 연구를 수행하여, 내심형 장력 부재를 갖는 유체 충진 원통형 셀의 진동 전달 특성 해석 및 최적화 설계에 이 연구 결과들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부분 탄성지지된 유체 저장 원통셸의 자유진동 (Free Vibrations of Fluid-filled Cylindrical Shells on Partial Elastic Foundations)

  • 정강;김영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8호
    • /
    • pp.763-770
    • /
    • 2012
  • The fre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fluid-filled cylindrical shells on partial elastic foundations are investigated by an analytical method. The cylindrical shell is fully or partially surrounded by the elastic foundations, these are represented by the Winkler or Pasternak model. The motion of shell is represented by the first 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to account for rotary inertia and transverse shear strains. The steady flow of fluid is described by the classical potential flow theory. The fluid-structure interaction is considered in the analysis. The effect of internal fluid can be considered by imposing a relation between the fluid pressure and the radial displacement of the structure at the interface. To validate the present method, the numerical example is presented and compared with the available existing results.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유체탄성불안정성 및 난류가진 특성 연구 (Study on the Fluid-elastic Instability and Turbulence Excitation for the Steam Generator Tube)

  • 유기완;박치용;박수기;이종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II
    • /
    • pp.1400-1405
    • /
    • 2001
  • In this study, an analysis program to assess the susceptibility of steam generator tubes due to the flow-induced vibration was developed. Analysis of fluid-elastic instability and random turbulence excitation for the U-tube bundle in CE-type steam generator was accomplished. The effective mass distribution along the U-tube was obtained to calculate the natural frequency and dynamic mode shape. Finally, stability ratios and rms vibration amplitude for selected tubes are obtained.

  • PDF

탄성 경계상 압착막에 대한 미끄럼 속도의 영향 (Some Effects of Sliding Velocity on The Elastohydrodynamic Squeeze Films)

  • 유형선;이병철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권1호
    • /
    • pp.46-52
    • /
    • 1986
  • 얇은 유막위의 타이어 변형해석이나, 압착막댐퍼 설계등의 해석에 응용되는 변동 하중하의 탄성 경계상 유체 압착막의 해석을 Newton-Raphson 반복법을 사용하여 하였다. 유막두께의 계산은 등계수 요소를 사용하여 정확한 계산을 하였고 슬라이더의 궤적은 강쇄진동의 응답곡선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미끄럼 속도의 영향을 고려하였으며 유체가 베어링내에 생긴 포켓에 정체하고 있어서 미끄럼의 영향은 속도가 클때를 제외하고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유체중의 얇은 원통쉘의 자유진동 (Free Vibration of a Thin Circular Cylindrical Shell in Fluid)

  • Liang, G.H.;Kawatate, K.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17-125
    • /
    • 1991
  • 유체 중에서 진동하고 있는 얇은 원통형 탄성쉘의 고유진동수를 계산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두 방법 모두 고유진동수를 해석적인 형태로 나타내었다. 하나는 간단한 형태로서 쉘의 고차변형모드에 적합하고 다른 하나는 정확하며 유체중에 부분 잠수된 쉘의 경우에 사용된다. 쉘이 유체중에 완전 잠수된 경우로서, 저차변형모드에 대해서는 주위유체가 고유진동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그리고 고차변형모드에 대해서는 그 영향이 작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쉘이 유체중에 부분잠수된 경우에는 최저변형모드에서 항상 위 영향이 최대가 되는 것은 아니었다.

  • PDF

재순환식 증기발생기 U-튜브군에 대한 유체탄성 불안정 해석 (Fluidelastic Instability Analysis of the U-Tube Bundle of a Recirculating Type Steam Generator)

  • 조종철;이상균;김웅식;신원기;은영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00-214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Westinghouse Model 51 증기발생기의 U-bend 영역에서 2차측 유체의 횡단유동으로 유발될 수 있는 튜브군의 유체탄성불안정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 을 수행하고 그 대표적인 결과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U-bend 영역에서 AVB에 의한 튜브의 지지상태와 형태 및 최상부 TSP에서 Denting 또는 이물질 고착으로 인하여 변 경된 튜브의 고정지지조건 등이 튜브의 유체탄성불안정 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 였다. 유체탄성불안정 해석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는 2차측 3차원 2상 유동장 계산은 증기발생기 열수력 해석용인 ATHOS3 코드로써 수행되었으며, U-튜브의 고유진동수와 모우드 형상은 공학해석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ANSYS코드로써 계산되었 다.

2상 횡유동을 받는 튜브군의 유체탄성 불안정성 (Fluid-Elastic Instability of Tube Bundles in Two-Phase Cross-Flow)

  • 김범식;장효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948-1966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2상 횡유동을 받는 튜브군의 진동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한 실험계획의 일환으로 실시된 실험으로부터 튜브군의 유체탄성 불안정성 상수에 관해 고찰하였다. 실험은 먼저 p/d=1.47 및 1.32 튜브군에 대해 수행되었는데, 이들 튜브 군의 결과는 참고문헌에 발표하였다. 본 논문은 후속 실험으로 수행된 p/d=1.22인 튜브군을 사용하여 유체탄성 불안정성 상수를 고찰한 참고문헌의 후속논문이다. 실 험은 액체상태로 부터 99% 보이드율(void fraction)까지 변화된 2상 유동에서 튜브가 유체탄성 불안정성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실험결과는 p/d= 1.32 alc 1.47 튜브군의 유체탄성 불안정성 결과들과 종합. 비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