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착술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5초

폐국균종의 수술위험인자 분석 (Analysis of Surgical Risk Factors in Pulmonary)

  • 김용희;이은상;박승일;김동관;김현조;정종필;손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81-286
    • /
    • 1999
  • 배경: 본 연구는 폐국균종으로 폐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술후 합병증의 종류 및 발생빈도와 이에 관련된 술전.후 위험인자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8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중앙병원 흉부외과에서 폐국균종으로 폐절제술을 시행받은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위험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남녀비는 24대 18이였으며 평균나이는 46.6$\pm$11.5세(29~69세)였다. 술전 주요증상은 객혈(90%), 발열, 호흡곤란, 농담, 체중감소등이 있었다. 폐결핵 병력이 있는 경우는 34례(81%)으며, 동반질환은 기관지확장증(n=11), 활동성 결핵(n=9), 당뇨(n=8) 및 폐 유암종(n=1)과 급성골수아구성 백혈병(n=1)이 있었다. 발병 부위로는 우상엽 16례 및 좌상엽 10례로 대부분 상엽에 호발되었다(62%). 수술은 폐엽 절제술 32례, 폐구역 또는 설상 절제술 4례, 전폐 절제술 2례 및 폐엽 절제술과 폐구역 절제술을 병행한 경우가 4례였다. 결과: 수술 사망률은 2%였으며, 술후 합병증의 발생률은 33%(n=14)로 지속적인 공기누출(n=6)이 가장 흔하였다. 폐국균종의 외과적 폐절제술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위험과 관련하여 나이, 성별, 폐기능검사 소견, 발열, 체중감소, 객혈량, 객혈기간, 국균종의 크기, 낭종벽의 두께, 활동성결핵 유무, 당뇨 유무, 기관지확장증 유무, 술전 스테로이드의 사용여부, 술전 기관지동맥 색전술의 시행여부 및 수술방법상의 차이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술전 방사선 소견상 주위 폐조직으로 침윤이 심할수록 술후 합병증의 발생빈도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p=0.04). 결론: 폐국균종의 술후 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위 폐조직으로의 침윤 정도에 대한 정확한 술전 방사선학적 평가가 중요하다. 추적관찰, 8.1개월)동안 14례에서 모두 정상 동방결절율동으로 전환되었고, 9례(64%)에서 좌심방의 수축을 관찰할수 있었으며, 11례(79%)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여하지 않고 있다. 결론: Maze III 술식에서 냉동절제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세동에 효과적인 수술임을 알 수 있었다.보관후의 이소 이식술시 적절한 면역억제제의 투여로 기관 내강 및 기관 상피세포가 잘 유지됨을 알 수 있어, 보다 장기간의 기관 보관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초냉동 보관의 시행 여부와는 상관없이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 폐색성 모세기관지염과 비슷한 양상의 기관 내강의 섬유조직 과잉 증식 및 기관 상피세포의 소실 등이 관찰되었다. 쥐와 같은 소동물에서의 이러한 시도는 폐이식술과 관련된 어려운 문제중의 하나인 폐색성 모세기관지염의 병인,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연구에 있어 좋은 실험 모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로 변화한 CO, dp/dt, SV, SW, LVEDP 같은 좌심실 혈역학 지표들의 변화의 폭을 비교하면 그룹 B에서 그룹 A에서보다 더 컸다(p<0.05). 그룹 A에서 유도된 급성 심부전 상태와 그룹 B의 만성 심부전 상태가 CO, dp/dt, SV, SW, LVEDP 같은 좌심실 혈역학 지표들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고(p>0.05), 육안적으로 광배근을 관찰하였을 때 그룹 A에서는 광배근의 유착 및 염증소견이 모두에서 있었고 그중 2마리에서는 광배근의 수축을 목격할 수 없었던 반면, 그룹 B에서는 5마리 모두에서 광배근이 활발하게 수축하였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면 그룹 B에서의 더 큰 증폭 효과가 광배근의 활성도 및 수축력의 차이로부터 기인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결론: 이상에서 역동적 심근성형술의 수축기 혈역학적 변화는 심부전 상태에서만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그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근육의

  • PDF

소아 장중첩증에서 공기 주입 정복술 시행 도중 발생한 장천공 (Colon Perforation during Air Enema Reduction of Intussusception)

  • 김용국;임혜라;이광훈;한수진;선용한;류일;조강호;차한;이학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37-41
    • /
    • 2003
  • 목 적 : 장중첩증의 진단 및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인 공기 주입 정복술을 시행하는 도중 발생한 장천공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에 대한 위험인자 및 수술 합병증, 예후 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과에 장중첩증으로 입원하였던 환아 중 공기 주입 정복술을 시행하는 도중 장천공이 발생하였던 1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병록지를 통하여 성별 및 연령 분포, 주요 임상 증상, 증상 발현후 내원까지의 경과 시간, 장중첩증의 유형, 장중첩증의 천공 부위와 수술소견, 병리소견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1) 공기 주입 정복술을 시행하였던 657명의 환아 중에서 596명이 성공적으로 치료되어 정복율은 90.7%였고, 장천공은 모두 12례에서 발생하여 천공율은 1.83%였다. 공기 주입 정복술 도중 천공된 환아들 중 남아는 11명(91.7%), 여아는 1명(8.3%)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3{\pm}2.7$개월이었다. 2) 천공된 장중첩증의 내원 당시 임상 증상을 살펴볼 때 구토 는 11명(91.7%), 주기적 보챔이 9명(75.0%), 혈변은 9명(75.0%)에서 발생하였고, 복부종괴는 5명(41.7%)에서 촉진되었다. 천공된 장중첩증 환아의 내원까지의 평균 경과 시간은 $44.7{\pm}23.7$시간이었다. 3) 천공된 장중첩증의 유형은 상대적으로 회장맹장(ileocecal) 형과 회장회장결장(ileoileocolic)형이 많았다. 수술로 확인된 장천공 부위는 상행 결장이 6명(50%), 횡횡 결장이 6명(50%)으로 모두 중첩된 장의 근위부에 발생하였고, 단발성 천공이 10명(83.3%)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4) 장천공이 발생한 부위의 병리 조직 소견은 대부분에서 장천공 주변부위의 점막이 출혈성 괴사와 장막열상 소견을 보였다. 천공된 장중첩증의 합병증으로는 긴장성 기복이 7례(58.3%)에서 발생하여 즉각적인 복부 감압이 필요하였고, 1례에서는 수술 18개월 후 유착성 장 폐쇄(adhesive band)가 발생하였다. 결 론 : 공기 주입 정복술 시행도중 장천공의 발생은 6개월이하에서 방사선 소견상 소장 폐색 증상이 있는 경우에 자주 발생하며, 증상 발현 시간이 오래될수록, 공기 주입 압력이 높을수록 잘 생기므로 이런 경우 정복시 환아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화 표면처리된 신장기를 이용한 수평적 치조골신장술 후 임플란트 식립시 골유착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N THE OSTEOGENESIS OF DENTAL IMPLANTS AFTER HORIZONTAL DISTRACTION OSTEOGENESIS WITH NITRIFIED DISTRACTOR)

  • 박철민;김수관;김학균;문성용;오지수;백성문;임성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225-231
    • /
    • 2008
  •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 conventional titanium distraction device and a TiN-coated device in terms of implant osseointegration after horizontal distraction osteogenesis in narrow alveolar bone. Four adult mongrel dogs, each weighing $9{\sim}10kg$, were used in this study. The lower premolars were extracted and horizontal distraction was performed with conventional titanium distraction devices (group 1) or TiN-coated devices (group 2). After an 8-week consolidation period, the implants were installed, and the dogs were sacrificed after another 8 weeks. The osseointegration around the implants was evaluated histomorphologically. There was one failure in experimental group 1 because of fracture of the device. Direct bone contact was achiev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1 and 2 in terms of osseointegration around the implants at 8 weeks. In summary, intraoral distraction osteogenesis is a good option for augmenting severely atrophied alveolar ridges, and the TiN-coated device may be useful because of its advantages, which include surface hardness, corrosion resistance, and reduced bacteria.

각 관절 가동술(Angular Joint Mobilization)이 어깨 유착성 관절주머니염 환자의 통증, 관절 가동 범위,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사례 보고- (Effects of Angular Joint Mobilization on the Pain, Range of Motion, and Functional Improvement in a Patient with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A Case Report-)

  • 이승후;윤지현;김영훈;이규창
    • PNF and Movement
    • /
    • 제16권2호
    • /
    • pp.169-17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gular joint mobilization (AJM) on the shoulder pain, range of motion, and functional improvement in a patient with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Methods: The patient diagnosed with right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by an orthopedic surgeon was a 60-year-old male, right hand/arm dominant, with a height of 175 cm and weight of 75 kg. The patient received 12 sessions of AJM once or twice per week for eight weeks. AJM was applied for 5 min each of flexion, abduction, external rotation, internal rotation, for a total of 20 min per session. The visual analog scale, the goniometer, and the Oxford shoulder score were used to measure pain, range of motion, and shoulder pain & disability index, respectively. Results: After all the treatments, the pain decreased from 6 to 2 points. The range of motion increased in flexion by $54.3^{\circ}$ from $125^{\circ}$ to $179.3^{\circ}$, abduction by $38^{\circ}$ from $140^{\circ}$ to $178^{\circ}$, external rotation by $54.4^{\circ}$ from $30.3^{\circ}$ to $84.7^{\circ}$, and internal rotation by $25^{\circ}$ from $45^{\circ}$ to $70^{\circ}$. The shoulder disability index decreased from 33 points to 17 points.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AJ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houlder pain, range of motion, and function in a patient with shoulder adhesive capsulitis. Further studies on AJM are needed in the future.

알로덤이 건 봉합술 후 발생되는 유착 방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lloderm on Prevention of Adhesions following Tenorrhaphy in the Rabbits)

  • 최창용;송진우;김준혁;최환준;이영만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765-770
    • /
    • 2007
  • Purpose: Peritendinous adhesion is one of the most notorious complication after the flexor tendon injury. In this study, $Alloderm^{(R)}$(LifeCell Corp., Branchburg, N.J.), which is the decellularized human dermal analogue with its intact native basement membrane components, was used for the prevention of peritendinous adhesions following flexor tendon repair. Methods: Thirty New Zealand white male rabbits were divided equally into 3 groups. In all groups,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of the third finger of the right back foot was cut totally and repaired by modified Kessler suture technique. Following tendon repair, $Alloderm^{(R)}$ was wrapt around the repaired tendon in the first group and sodium hyaluronate gel was sprayed to the operation field in the second group. In the control group, no external material was applied. The right back foot were immobilized for 6 weeks to optimize the formation of adhesion ingrowth. After death, the third finger that repaired tendons and sheaths was removed en bloc. We checked range of motion. and studied histologically for all group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s had better range of motion than the control group. We checked that the range of motion was 73.5 degrees in $Alloderm^{(R)}$ group, 55.9 degrees in the hyaluronic acid group, and 38.3 degrees in the control group. in the histological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had less adhesion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Alloderm^{(R)}$ can decrease peritendinous adhesions following flexor tendon repairs in rabbits. We think the method could be used in clinical cases.

공기 주입과 동시에 시행한 견봉하 관절경 술식을 이용한 회전근개 파열의 정도 평가 (Bursoscopic Evaluation for Degree of the Rotator Cuff Tear with Air Infusion Method)

  • 문영래;손홍문;김남형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6-130
    • /
    • 2002
  • 목적 : 견봉하 점액낭에 가려져 부분층 파열로 여겼던 회전근개 전층 파열을 견관절 내 공기 주입 방식을 사용한 견봉하 점액낭 관절경적 관찰로 효과적인 진단의 가능 여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65예 중 견관절 관절경상 회전근 개 부분층 파열인 18예를 제 1군으로, 전층 파열로서 봉합을 시행 한 37예를 제 2군으로 나누어 견관절에 $50\~100ml$의 공기주입으로 확장을 시킴과 동시에 견봉하 관절내로 누출 되는 공기 방울을 관찰하였다. 결과 : 제 1군 중 3예에서 공기 누출을 보고 전층 파열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제 2군 중 2예에서는 다량의 공기 누출 부위가 발견되어 불완전한 봉합임을 확인하고 추가 봉합을 시행 할 수 있었다. 결론 : 공기 주입 방식은 회전근 개 부분층 파열과 전층 파열을 감별하고, 비후되고 유착된 점액낭에 가려져 있는 전층 파열을 발견할 수 있으며, 술 후 봉합 부위의 평가에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신생아에서 급성 복증으로 발현된 Meckel 게실 1예 (A Case of Meckel's Diverticulum Presented with Acute Abdomen in a Newborn)

  • 임재영;장선화;조재민;고경혁;박은실;서지현;박찬후;우향옥;윤희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222-225
    • /
    • 2005
  • 출생 후 건강하게 지내던 중 생후 9일째 급성 복증 및 장 폐쇄의 증상으로 내원한 남아에서 시험적 개복술 시행하여, Meckel 게실 천공과 장 유착을 발견하고 수술적으로 제거한 후 회복된 증례이다. 병리 소견상 경한 게실 염과 정상 장 점막 소견을 보여 자발적 Meckel 게실 천공이라고 추정 되는 증례이다. 신생아시기에 자발적 Meckel 게실 천공은 매우 드물지만 심각한 질환이다. 따라서 신생아 시기에 급성 복증 증상을 보일 때 반드시 감별 진단 목록에 Meckel 게실을 포함시켜야만 한다.

  • PDF

개에서 발생한 자궁축농증과 장막성 낭포 1예 (Pyometra and Serosal Inclusion Cysts of the Uterus in a Bitch)

  • 이준암;김일화;장동우;모인필;강현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5-309
    • /
    • 2013
  • 개에서 자궁축농증은 발정휴지기에 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급성으로 발병하여 만성 질병 경과를 나타낸다. 또한 장막성 낭포는 분만 후 자궁의 퇴축이 급속하게 일어나는 수복기 동안 흔히 발생한다. 10세 암컷 골든 리트리버견이 무기력, 식욕부진, 빈호흡, 복부팽만 및 비정상적인 외음부 분비물의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검사, 초음파 검사 및 실험실적 검사를 통하여 자궁축농증으로 진단되었고 난소자궁적출술이 시행되었다.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자궁은 팽만 되어 있었으며, 부분적으로 복벽과 유착되어있었다. 또한, 자궁 전반에 걸쳐 맑은 액체로 충만해 있는 낭포들이 관찰되었다. 세균배양검사를 통하여 자궁내강에 차있던 농에서 대장균이 감염되어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enrofloxacin에 감수성이 있었다. 낭포에 대한 조직검사를 실시하여 자궁축농증과 장막성 낭포로 최종 진단하였다.

요통환자에서 경막외 유착 용해술에 의한 제통효과 (Epidural Adhesiolysis in Low Back Pain)

  • 이상철;오완수;김진경;노창준;손종찬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0권2호
    • /
    • pp.214-219
    • /
    • 1997
  • Background: Epidural neural blockade with local anesthetics combined with steroids has been in clinical trials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But pain treatment of low back pain remains somewhat problematic. Many patients with low back pain have epidural fibrosis and adhesions prov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examination. These finding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rigin of back pain. Present study was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pidural adhesiolysis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Methods: We investigated 76 patients suspected with epidural fibrosis and adhesion was suspected. Nerve pathology was demonstrated and epidural fibrosis suspected or proved with MRI examination. 17G needle specially designed by Racz was inserted at sacral hiatus and catheter was inserted untill its tip was located at lesion site under fluoroscopic guidance. Injection of contrast dye was achieved and prospected spread of agents. Injection of 0.25% bupivacaine, triamcinolone, and 10% hypertonic saline via catheter were carried out daily for 3 days. Evaluation included assessment of pain relief (Numerical Rating Scale; NRS) post-epidural adhesiolysis 3 days, 1 week, and 3 months. We also looked for complication of epidural adhesiolysis. Results: Statistical analysis(Friedman nonparametric repeated measures test and Dune's multiple comparison test) demonstrated NRS was significantly less during 3 months after epidural adhesiolysis(P<0.05). Especially, there is a extremely significance in post-epidural adhesiolysis 3 days (P<0.001). Only four patients reported any complications the most common symptom among three persistent headache but disappeared after a few months without residual sequelae. Conclusion: We conclude epidural adhesiolysis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of pain therapy for low back pain with proven lumbo-sacral fibrosis and adhesion. A direct visualization by epiduroscopy may be more useful to the resulting functional changes after epidural adhesiolysis.

  • PDF

경부 미주 신경에 발생한 신경초종 (Neurilemmomas of the Cervical Vagus Nerve)

  • 박정수;서광욱;김춘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56
    • /
    • 1991
  • 인체에서 발견되는 전체 신경초종중 $25{\sim}40%$가 두경부에서 발견되나 경부미주신경의 신경초종은 매우 희귀하여 1988년까지 영문문헌상 88 예가 보고되어 있다. 임상적으로 경부종괴가 주증상이며 때로는 애성, 종괴촉지시 기침 혹은 방사통, parapharyngeal space 의 종괴성장으로 연하곤란등이 초래되기도 한다. 치료는 종괴의 완전적출과 미주신경의 기능을 보존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로 되어 있다. 저자들은 최근 5년간 4 예의 정부미주신경외 신경초종을 경험하였는데, 3 예는 측경부의 상부에, 1예는 측경부의 하부에 발생한 것이었다. 연령은 25세에서 50세까지 성인연령이었고, 성별은 남자 l 예, 여자 3 예이었다. 내원시 주소는 전예가 무통성 경부종괴이었으며, 종괴의 크기는 직경 3cm에서 10cm까지 다양하였다. 전예에서 종괴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은 없었으나, 1 예에서 parapharyngeal space 의 거대종괴 때문에 다소간의 연하곤란이 있었다. 2 에에서는 종괴촉지시 기침이 유발됨을 호소하였다. 수술은 경부횡절개로 흉쇄유돌근을 제치고 총경 동맥과 내경정맥을 종괴의 상하부위가 완전히 노출되도록 박리한 후 종괴의 피막을 미주 신경의 주행방향에 따라 절개하여 적출 (enucleation) 하였다. 적출술시 종괴가 유착되어 있는 피막 부위는 동시에 절제하되 미주신경의 신경경로 (neural pathway) 는 유지되도록 하였다. 수술직후 2 예에서 일시적 애성을 호소하였다, 추적은 최단 20 개월에서 최장 80 개월까지 하였는데 일시적 애성은 호전되었고 전예가 재발없이 건강하게 지내고 있었다. 따라서 본 종양수술은 종양적출술시 이환된 미주신경의 절단을 결정하기 전에 신경경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적출술 (enucleation) 을 먼저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