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n Perforation during Air Enema Reduction of Intussusception

소아 장중첩증에서 공기 주입 정복술 시행 도중 발생한 장천공

  • Kim, Yong Kuk (Department of Pediatrics, Gachon Medical School) ;
  • Im, Hae Ra (Department of Pediatrics, Gachon Medical School) ;
  • Lee, Gwang Hoon (Department of Pediatrics, Gachon Medical School) ;
  • Han, Soo Jin (Department of Pediatrics, Gachon Medical School) ;
  • Sun, Yong Han (Department of Pediatrics, Gachon Medical School) ;
  • Ryoo, Eell (Department of Pediatrics, Gachon Medical School) ;
  • Cho, Kang Ho (Department of Pediatrics, Gachon Medical School) ;
  • Tchah, Hann (Department of Pediatrics, Gachon Medical School) ;
  • Lee, Hak Soo (Department of Pediatrics, Gachon Medical School)
  • 김용국 (가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임혜라 (가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광훈 (가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한수진 (가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선용한 (가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류일 (가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조강호 (가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차한 (가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학수 (가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2.09.07
  • Accepted : 2002.10.08
  • Published : 2003.01.15

Abstract

Purpose : Although air enema reduction has been known as a good method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tussusception, it could develop colon perfor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this complication. So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of colon perforation during air enema reduction in patients with intussusception. Methods : We reviewed the charts of 12 colon perforation patients during air enema reduction of intussusception, who were admitted to Gil Medical Center from Jan. 1990 to Dec. 2001. Their age, sex, major symptoms, length of time till hospital visit, types of intussusception, operative findings and pathologic reports were reviewed. Results : Among 657 cases, 596 patients(90.7%) were successfully treated, but 12 patients(1.83%) failed in air enema reduction and had colon perforation. In patients with colon perforation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 : 1, and average age was 5.3 months. The most common symptom at the time of hospital visit was vomiting(91.7%). Cyclic irritability(75.0%), bloody stool(75.0%) and abdominal mass(41.7%) were also noted. The average length of time between symptom onset and hospital visit was 44.7 hours. Types of intussusception were predominantly ileocolic, ileocecal, and ileoileocolic. The site of perforation was most commonly found at the proximal part of intussusception including ascending colon(50%) and transverse colon(50%). Most cases were uncomplicated, and had a single perforation. Pathologic reports showed hemorrhagic necrosis and mesenteric laceration at the site of colon perforation. Complications of colon perforation were tension pneumoperitonium(58.3%), requiring immediate decompression. Conclusion : The chance of colon perforation during air enema reduction increases in cases with small bowel obstruction on simple abdominal x-ray of a patient younger than 6 months, delay in time till hospital visit and higher air pressure during reduction. Therefore more careful investigation is needed in these cases.

목 적 : 장중첩증의 진단 및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인 공기 주입 정복술을 시행하는 도중 발생한 장천공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에 대한 위험인자 및 수술 합병증, 예후 등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과에 장중첩증으로 입원하였던 환아 중 공기 주입 정복술을 시행하는 도중 장천공이 발생하였던 1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병록지를 통하여 성별 및 연령 분포, 주요 임상 증상, 증상 발현후 내원까지의 경과 시간, 장중첩증의 유형, 장중첩증의 천공 부위와 수술소견, 병리소견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1) 공기 주입 정복술을 시행하였던 657명의 환아 중에서 596명이 성공적으로 치료되어 정복율은 90.7%였고, 장천공은 모두 12례에서 발생하여 천공율은 1.83%였다. 공기 주입 정복술 도중 천공된 환아들 중 남아는 11명(91.7%), 여아는 1명(8.3%)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3{\pm}2.7$개월이었다. 2) 천공된 장중첩증의 내원 당시 임상 증상을 살펴볼 때 구토 는 11명(91.7%), 주기적 보챔이 9명(75.0%), 혈변은 9명(75.0%)에서 발생하였고, 복부종괴는 5명(41.7%)에서 촉진되었다. 천공된 장중첩증 환아의 내원까지의 평균 경과 시간은 $44.7{\pm}23.7$시간이었다. 3) 천공된 장중첩증의 유형은 상대적으로 회장맹장(ileocecal) 형과 회장회장결장(ileoileocolic)형이 많았다. 수술로 확인된 장천공 부위는 상행 결장이 6명(50%), 횡횡 결장이 6명(50%)으로 모두 중첩된 장의 근위부에 발생하였고, 단발성 천공이 10명(83.3%)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4) 장천공이 발생한 부위의 병리 조직 소견은 대부분에서 장천공 주변부위의 점막이 출혈성 괴사와 장막열상 소견을 보였다. 천공된 장중첩증의 합병증으로는 긴장성 기복이 7례(58.3%)에서 발생하여 즉각적인 복부 감압이 필요하였고, 1례에서는 수술 18개월 후 유착성 장 폐쇄(adhesive band)가 발생하였다. 결 론 : 공기 주입 정복술 시행도중 장천공의 발생은 6개월이하에서 방사선 소견상 소장 폐색 증상이 있는 경우에 자주 발생하며, 증상 발현 시간이 오래될수록, 공기 주입 압력이 높을수록 잘 생기므로 이런 경우 정복시 환아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