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지요법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6초

개의 비강 이행암종에서 메트로노믹항암 요법 (Adjuvant Metronomic Chemotherapy in a Dog with Nasal Transitional Carcinoma)

  • 박형진;김자원;정성목;최호정;손화영;송근호;서경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3-186
    • /
    • 2015
  • 4살령의 중성화 암컷 말티즈 견이 4개월에 걸친 편측성 코 분비물 및 코막힘을 주증으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비강 이행암종이 전두동까지 파급되어 있는 것이 비강 내시경을 통해 확인되었다. 보조적 항암치료로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12.5mg/m^2$) 와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인 토세라닙(2.5 mg/kg)을 수술적 부피 감량술 이후에 적용 하였다. 치료반응은 양호 하였으며, 진단 후 11개월 동안 항암치료에 대한 부작용 없이 잘 유지 되었다. 본 증례는 국내에서 비강 이행암종에서 보조적 항암치료를 실시한 최초 보고이다.

고주파 자기장을 이용한 온열요법 치료용의 젤리형 고분자 모의인체 (Development of Polymeric Human Jelly Phantom for Hyper-Thermic Therapy by High Frequency Magnetic Field)

  • 최창영;김병훈;황영준;김오영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90-93
    • /
    • 2008
  • 암 치료의 보조요법의 하나로 제시될 수 있는 전자파를 이용한 온열치료법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폴리에틸렌, 탈이온수, 그리고 염화나트륨 등으로 구성되는 젤리형의 인체 뇌 팬텀을 제작하고 이들 팬텀 재료의 다양한 구성비에 따른 팬텀의 전기적 특성을 유전율상수와 전도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염화나트륨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팬텀의 도전율이 증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팬텀 재조에 사용한 재료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팬텀의 전기적 특성 값들은 대체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른 무게비로 측정한 팬텀의 장기안정성은 6개월이 경과한 시점까지도 양호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각종 인체장기에 대응하는 자성유체가 혼입된 젤리팬텀의 전자기적 특성과 온도 상승을 관찰함으로써 암 치료에 있어서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호 음악요법이 전신마취 산부인과 수술 환자의 불안과 활력 징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avorite music therapy on anxiety and vital sign in patients undergoing gynecologic surgery using the general anesthesia)

  • 양정임;노민영;양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89-119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부인과 전신마취 수술환자의 불안과 활력징후에 선호음악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5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이며, 대상자는 W대학병원의 산부인과 수술환자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23명, 총 44명이다.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선호음악을 제공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 간의 불안은 수술실 입실 시와 마취직전 사이 및 마취 직전과 의식 회복 후(p=.003; p=.011)의 시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축기 혈압은 의식 회복 후와 회복실 퇴실 시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23), 맥박은 마취 직전과 의식 회복 후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6). 향후 선호음악 요법은 산부인과 전신마취 수술환자의 불안 감소 및 안정된 활력징후를 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적용될 수 있다.

승모판 수술 후 동율동 회복에 관한 임상분석 (A Clinical Analysis on the Restoration of Sinus Rhythm Following Mitral Valve Surgery)

  • 백완기;심상석;김현태;조상록;진성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47-352
    • /
    • 1999
  • 승모판막 질환에 흔히 동반되는 심방세동은 판막수술 후 종종 동율동으로 전환되어지는데 수술 후 동율동의 유지는 술후 불안정한 혈역학을 보이는 환자의 회복에 매우 중요할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술후 혈전색전증의 발생 빈도를 떨구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1986년 6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성남 인하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된 후천성 판막질환 환자에서 승모판막 수술이 포함된 환자 중 184례를 대상으로 술전과 술후 심장율동의 양상 및 변화를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관찰 분석하여 술후 동율동으로의 전환과 이의 유지에 관련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술전 율동이 심방세동이었던 환자 139례 중 술후 54례가 술후 동율동으로 전환되어 38.8%의 전환율을 보였으나 퇴원시를 기점으로 41례의 환자에서 다시 심방세동이 재발하여 75.9%의 재발율을 보였다. 심방세동이 재발한 환자들의 평균 동율동 유지기간은 8.2$\pm$5.9 일이었다. 또한 만기추적시 15례의 환자만이 동율동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84.4$\pm$34.7개월이었다. 환자의 연령 및 증상의 기간과 술전 심방세동의 기간, 좌심방 크기 및 술 전 폐동맥압이 술후 동율동의 유지에 관련인자로 생각된 반면, 술전 심방세동의 기간 및 박출계수만이 심방세동 재발의 위험인자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 술후 동율동으로의 전환 및 유지의 빈도를 높이기 위하여는 조기수술이 강력히 요망되며, 더 나아가 본 연구의 높은 심방세동의 재발율이 \ulcorner사하는 바와 같이, 판막수술에 더불어 심방세동에 대한 적극적인 수술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ner1례등이 있었다. 결과: 수술사망은 2례로 조기사망률은 6.7%였다. 수술생존자 28명중 4명은 장기추적관찰이 불가능하였으며, 총 2091환자.월(평균 74.7$\pm$68.4개월, 최장 187개월)동안 관찰하였다. 이 기간중 판막의 혈전, 혈전색전증 및 항응고치료에 따른 출혈등의 합병증은 없었으나, 조직판막을 이용한 10례중 8례에서 술후 평균 87.1$\pm$23.6개월에 판막기능부전으로 재수술하였으며(이중 2례는 타 병원에서 수술함), 기계판막을 치환한 1례에서 판막주위누출과 감염으로 술후 3개월째 재수술하였다. 재수술시 사망례는 없었다. 만기사망은 1례로 방실중격결손증 교정술후 잔존 승모판폐쇄부전으로 승모판치환술을 받은 7세환아로 판막치환술후 4개월에 확장성심근염으로 사망하였다. 조직판막의 경우 생명표분석에 의한 판막실패가 없는 장기누적률은 6년째 75.0%, 7년째 50.0%, 8년째 12.5%의 기록을 보여 술후 6년에서 8년에 걸쳐 격감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술사망 2례를 제외한 28명의 장기생존률을 Kaplan-Meiyer법에 의해 분석하였을때 4개월째 생존률이 96.0%로 그 이후로는 사망례가 없었다. 결론:이상의 결과로 보아 소아 심장판막치환술은 비교적 안전하고, 술후 적절한 추적관찰이 행해질 경우 항응고요법에 따른 합병증은 거의 없으나, 5세이하 소아나 판막치환술 이전에 심장수술을 한 경우는 위험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지표들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고(p>0.05), 육안적으로 광배근을 관찰하였을 때 그룹 A에서는 광배근의 유착 및 염증소견이 모두에서 있었고 그중 2마리에서는 광배근의

  • PDF

심장 수술 후 혈관 확장성 쇼크가 발생한 환자에서 바소프레신 투여 요법 (Arginine Vasopressin Therapy of Vasodilatory Shock after Cardiac Surgery)

  • 안영찬;박철현;김건우;이재익;전양빈;최창휴;현성열;박국양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2호
    • /
    • pp.913-919
    • /
    • 2006
  • 배경: 혈관 확장성 쇼크는 체외 순환을 이용한 심장 수술 후 전신성 염증 반응으로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이러한 혈관 확장성 쇼크에서는 바소프레신의 분비가 감소되어 있으므로 바소프레신을 투여함으로써 효과적인 혈역학적 호전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심장 수술 후 혈관 확장성 쇼크가 발생한 환자에서 바소프레신 치료 요법에 관한 본원의 경험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4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체외 순환을 통한 심장 수술을 받은 199명 중에서 혈관 확장성 쇼크가 발생한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관 확장성 쇼크는 평균 동맥압 70 mmHg 이하, 심장 박출 지수 2.5 $L/min/m^2$ 이상, 전신 혈관 저항 800 $dyn/s/cm^5$ 이하, 카테콜아민 혈압상승제가 필요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기준으로 진단된 혈관 확장성 쇼크 환자에게 바소프레신을 투여하고 혈역학적 변화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심장 질환으로 체외 순환을 이용한 심장 수술을 받은 성인 환자 199명 중에서 22명이 혈관 확장성 쇼크로 진단되었다. 이들은 과량의 카테콜아민 혈압 상승제를 투여하였으나 평균 동맥압은 70 mmHg 이하로 유지되어 바소프레신 치료 요법을 시행하였다. 바소프레신 투여 1시간 후 평균 동맥압은 $53.3{\pm}7.4$ mmHg에서 $82.0{\pm}12.0$ mmHg로 의미 있게 상승하였고, 혈압 상승제 요구량은 $25{\pm}7$에서 $18{\pm}6$로 의미 있게 감소되었으며, 각각 12시간 동안 유지되었다. 결론 바소프레신은 혈관 확장성 쇼크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혈압 상승제이다. 심장 수술 후 발생한 혈관 확장성 쇼크 환자에서 적극적으로 바소프레신 치료요법을 시행한다면 과량의 카테콜아민 혈압 상승제 투여로 인한 합병증을 줄이고 효과적인 혈류역학적인 호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면역매계성 혈액장애를 가진 소동물에서 귀비탕의 사용 (The Use of Gui-Pi-Tang in Small Animals with Immune-Mediated Blood Disorders)

  • ;;김민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1-184
    • /
    • 2009
  • 면역 매개 용혈성 빈혈(IMHA)은 소동물의 빈혈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 중의 하나이고, 면역매계 혈소판 감소증(IMT) 또한 소동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면역관련 질환이다. 스테이드제나 다른 면역억제제를 이용한 면역억압이 IMHA와 IMT의 일차적인 치료법이다. 그러나 적절한 약물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몇몇 동물은 치료에 반응이 없어 다른 면역억제제나 대체의학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IMHA로 진단 된 8살의 중성화한 샴 고양이와 IMT로 진단된 8살의 킹챨스 스파니엘이 전통수의학진료를 위해 동물병원에 의뢰되었다. 두 동물 모두 스테로이드제나 다른 면역억제제에 반응이 없었다. 그래서 전통한약요법으로 귀비탕을 두 동물에게 적용하였다. 귀비탕 적용 한달 후 고양이의 농축적 혈구용적과 개의 혈소판 수치에 현저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귀비탕을 먹이기 시작한 후 4개월 후에도 고양이의 농축 적혈구 용적이 정상으로 유지되었으며, 18개월 후에 측정한 개의 혈소판 수 또한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이 증례로부터 면역혈액질환이 있는 소동물에 있어 귀비탕은 대체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아 급성 임파구성 백혈병에서 예방적 전뇌 방사선조사의 효과 (Effect of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in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Children)

  • 김일한;최두호;김종훈;하성환;박찬일;안효섭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2호
    • /
    • pp.269-277
    • /
    • 1989
  • 1979년 8월부터 1986년 12월까지 관해유도 치료 후 골수 관해(M1)가 온 134예의 소아 급성 임파구성 백혈병 환아가 18Gy또는 24Gy의 전뇌 방사선 조사와 척수강내 methotrexate주입의 예방적 중추신경계 치료를 받았다. 중추신경계에서 처음 재발한 환자는 14.2%(19/134)였고 이중 증추신경계에서만 재발한 예는 5.2%(7/134), 골수 또는 고환에서의 재발과 동시에 재발한 예는 9%(12/134)였다. 남아와 연령이 많을수록 중추신경계 재발이 높았으며 진단당시 말초혈액내의 백혈구수가 50,000/ul이상인 예의 재발율이 높았다. 방사선 조사량 24Gy에서의 중추 신경계 재발율이 18Gy인 경우보다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전체 중추신경계 재발예 중 89%가 예방적 중추신경계 치료개시 후 4년 이내에 발생하였으며, 중추신경계에서만 재발예는 100%가, 중추신경계와 골수 또는 고환의 재발과 동시에 재발한 예의 83%가 각각 관찰되었다. 재발의 위험이 있는 환자를 감안한전체 중추신경계 재발율은 유지 화학요법 기간 중에는 11.9%였고 유지 화학 요법 종료 이후의 기간에서는 4.9%였다.

  • PDF

고 선량율 근접 및 온열치료 병용 삽입관의 제작과 특성

  • 추성실;김성규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3년도 제27회 추계학술대회
    • /
    • pp.52-52
    • /
    • 2003
  • 악성종양을 치료하는 방법중 방사선과 온열요법은 가장 강력한 치료방법으로 연구되어왔으며 이를 병용함으로 서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체조직에 41$^{\circ}C$ 이상의 열을 가하면 세포질의 단백질변성으로 세포에 손상을 주어 세포가 사멸하게 되며 세포의 생존율은 가열시간 즉 열량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한다. 온열은 세포주기중 방사선 저항성이 매우 큰 DNA 합성시기와 산도가 높을 때 감수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방사선과 병용요법은 상호 상승효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 온열을 이용한 악성종양의 치료가능성은 생물학적 기초연구와 임상시험에서 경이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아직 까지 가열방법과 온도분포측정이 큰 과제로 남아있으며 주위건강조직의 가열을 피하면서 인체 깊은 곳에 존재하는 종양에만 집중 가열하는 방법인 삽입형 온열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다. 한편 방사선 치료방법은 주위 건강조직의 피폭을 최소로 줄이고 종양에만 집중 조사가 요구되며 자궁암, 유방암, 뇌암등 부피가 작고 집중적 치료를 요하는 종양은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근접 삽입치료 (Brachyradiotherapy)가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방사선과 온열의 병행 치료를 위하여 방사선 삽입 치료에 사용한 선원 삽입관을 그대로 두고 삽입관 속에 방사성 동위원소 대신 온열 전극을 넣어 열을 가하는 방사선 온열 병용치료방법을 고안하였으며 방사선과 온열병용에 사용할 최적 삽입관의 제작과 이에 따른 온도분포의 측정과 최적삽입방법을 결정하였다. 방사선 삽입치료용 폴리에찌렌 삽입관의 외부에 금박을 입혀 라디오파 첨극을 삽입할 때 서로 연결되도록 고안 제작함으로서 방사선 삽입치료와 자입식 온열치료를 동시에 만족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병용삽입관 (Flexible thermoradiotherapy probes)을 제작하였다. 전도율이 큰 금박부위가 직접 조직에 접촉됨으로 라디오파의 전달이 용이하며 금박의 길이를 2 cm 에서 5 cm 로 구분제작 함으로서 종양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라디오파를 이용한 온열분포의 측정은 인체조직과 전기적 특성이 비슷한 물질인 한천 팬텀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온도분포 측정은 열전대와 서머그람으로 시행하였다. 생체조직 내에서의 온도분포와 온열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직접 개의 뇌를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4 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43$^{\circ}C$로 50분간 가열하고 일주일후 개를 회생시켜 개 뇌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한편 팬텀 표면에서 중앙부로 안테나 길이가 2 cm 인 4 개의 전극을 1 cm 간격으로 정사각형이 되도록 삽입하여 가열하였을 때 90% 등온곡선이 반경 1.25의 원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었고 종단면상 삽입관의 길이에 따라 균일한 온도분포가 이루어졌다. 전극을 2 cm 간격으로 삽일 하였을 때 90% 등온곡선이 1.75 반경으로 거의 4 각형의 균일한 분포를 얻었으나 전극의 간격이 증가하면 전도율이 떨어져서 전극 중심부에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형성하였다. 동물실험에서 정상 개의 뇌 실질에 자입하여 직접 정방형의 중심을 43$^{\circ}C$로 유지하며 50분간 온열 요법을 시행한 후 관찰한 조직병리학적 소견은 liquefactive necrosis, pyknosis of neuronal element 및 polymorphonuclear leukocytes들의 회백질에서 급성기에 관찰되었고 liquefactive necrosis 주위에 lipid-laden macrophage들이 관찰됨이 공통적인 특정이었으며 후기변화로 괴사조직 주위로 신경교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 PDF

복강전이가 동반된 개 악성 난소암의 cisplatin 치료 (Intraperitoneal Cisplatin Chemotherapy in A Canine Ovarian Cancer with Peritoneal Metastasis)

  • 서경원;이종복;홍수지;오예인;이수형;윤화영;장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98-602
    • /
    • 2011
  • 네 살령의 암컷 시츄견이 복부 팽만으로 내원하여 조직검사 결과 cystic papillary adenocarcinoma로 진단되었으며, 복강 장간막으로의 전이도 확인되었다. 난소 자궁 적출술을 실시하고 1달 후, 복수를 제거한 후 cisplatin을 (50 $mg/m^2$)을 0.9% 생리식염수(250 $ml/m^2$)에 희석하여 복강내로 주입하였다. 치료기간 동안 3번의 재발이 있었으나, 임상증상의 개선이 매우 뚜렷하였으며, 특별한 부작용을 보이지 않고 진단 후 33개월 간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11번의 항암 치료 이후에 복수와 더불어 흉수가 병발하였고, 신부전증도 동반하였다. 수액요법과 대증치료의 일환으로 복강, 흉강 천자도 실시하였으나 개선을 보이지 않고 환자는 폐사하였다. 복강 내 cisplatin의 투여법은 난소종양으로 인한 악성 복수, 흉수를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완화요법으로 쓰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증례는 복강전이를 동반한 악성 난소 종양이 발생한 환자를 복강 내 cisplatin투여를 통해 효과적으로 치료한 한국에서의 첫 번째 보고이다.

유방암 생존자들의 자가관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비약물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Non-pharmacological approaches)

  • 허석모;허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70-284
    • /
    • 2016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유방암 생존자들의 비약물적 추후 관리 경험에 대한 본질적 구조와 의미에 대해 심도 있게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 연구에서 총 참여자는 10명으로 S시 E병원 외래에 정기적으로 내원하는 유방암 생존자로 수술, 화학요법, 방사선요법을 완료한 자들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8월부터 2015년 2월까지로 수집된 자료는 심층면담 후 Colaizzi의 방법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개의 주제와 16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7개의 주제는 '1.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용이한 방법을 적용함, 2. 변화된 신체 상태를 위해 움직이려 함, 3. 재발 방지를 위해 특정 식용 작물을 섭취함, 4.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식생활 양식이 있음, 5. 보완대체요법에 대해 항상 예의주시함, 6. 주치의 처방외 필요한 치료가 있음, 7. 자연친화적인 환경에서의 삶을 지향함' 이었다. 이번 연구는 유방암 생존자들이 치료 후에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추후관리를 하는지 심도있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나아가 본 결과는 향후 유방암 생존자들에게 실제 관리 양식에 근거한 실행 가능한 지침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써 제공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