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지관리 업무 프로세스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업무프로세스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지역난방 시설을 중심으로 (Improvement in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Process ; Focused on the District Heating Facility)

  • 김정훈;임시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319-328
    • /
    • 2009
  • 센서 및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물의 상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시설물 관리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하여 시설물 관리의 지능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센서 기술, 통신 기술, 공간정보 등 핵심 요소기술을 바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현장에서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기 이전의 업무프로세스를 통해 시설물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새로운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업무프로세스의 개선을 병행하여 기술과 현장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술의 현장 적응력을 높일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프로세스를 살펴보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가정 하에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업무프로세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업무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 PDF

임대형 민자사업(BTL) 발주 시설물의 합리적 유지관리시스템 모듈 설계에 관한 연구 -교육시설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intenance System Module Design for the BTL Project Facilities : Focused on Educational Facilities)

  • 김상석;손재호;이승현;김재온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02-707
    • /
    • 2008
  • 교육시설물 BTL 사업은 2005년 긴요하고 시급한 공공시설물을 앞당겨 공급하겠다는 취지하에 시작되었으며, 2007년 3월 준공이 완료되어 운영단계로 접어들면서 유지관리 업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BTL 사업 시행 초기이고 처음 운영단계에 접어들면서 운영 및 유지관리 업무에 실적 Data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시설물 BTL 사업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업무 수행을 위해 업무 프로세스 도출 및 유지보수 Item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유지보수 업무 수행 시 발생되는 정보를 DB화하여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교육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모듈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 PDF

교육시설물 유지관리 업무규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the Educational Facility Maintenance)

  • 손우경;김장영;한충희;김선국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567-570
    • /
    • 2002
  • 우리나라 학교건축은 1990년 중반 이후부터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시설확충과 노후화된 교육시설물을 유지관리 하기 위한 각종 보수공사의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교육시설사업을 유지하는 각 주체들간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정보의 분절과 검사방법의 판단기준이 미비하여 한정된 재원의 중복투자 및 낭비를 하고 있다. 따라서 업무절차에 따른 발생정보 및 요구정보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학교시설물을 유지 관리 하는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업무를 파악하고, 교육청에서 이루어지는 업무를 중심으로 각 기능간 문제점 및 장애요인 분석을 통해 개선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기능간 장애요인 추출을 통한 개선프로세스 모델과 정보 모델구축이 수행되어야 한다.

  • PDF

장수명공동주택의 유지관리업무프로세스 구축에 관한 연구 - 관리자를 위한 유지관리업무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in Long-Life Housing - Focus on the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for the Manager -)

  • 지장훈;김수암;윤상조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44-349
    • /
    • 2009
  • To be Low Carbon and Green Growth, it is necessary that Long-Life Housing based on Green Technology is supplied. The main concern at the moment is developing Sustainable Housing relative to Life-Cycle or Life-Style of the residents, and the resident of Remodeling or Redevelopment. This study is aim to be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in order to make steady dwelling when supplying Long-Life Housing that separates Support(Skeleton) and Infill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hort-Life Housing, and has durability, alterability, available remodeling, easy maintenance. Long-Life Housing should consider the maintenance about movement and variableness. In contrast, the maintenance of the existing Housing is regular maintenance, change and repair by damage. As well as Long-Life Housing should be demanded proper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because of difference of Housing in concept, design and Co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looks into problems when applying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in Long-Life Housing, and shows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cess about the efficient Long-Life Housing for the manager.

  • PDF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을 위한 제약이론 적용방안에 대한 연구 (TOC based Approach for Workflow Management System)

  • 김훈태;안동준;강석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4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6-559
    • /
    • 2004
  • 본 논문은 제약이론의 프로세스 운영 개선기법에 기반하여 워크플로우에서 제약 자원을 찾고, 워크플로우의 운영 성과가 개선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업무 흐름 관리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거의 워크플로우 기록을 분석하여 제약업무담당자(CCP)를 결정하고, 제약 업무 담당자의 업무처리속도에 발생된 프로세스 인스턴스의 워크플로우 투입속도를 동기화하여 CCP의 업무부하가 일정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비 제약 업무담당자의 여유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CCP의 업무부하를 가능한 업무담당자들에 분산시킴으로써 프로세스 인스턴스의 처리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알고리즘을 워크플로우 관리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전체 워크플로우가 효율적으로 운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PDF

BPMN 방식을 이용한 공공임대주택 유지관리 업무 프로세스 모델 (The Maintenance Process Model using BPMN Method in Public Rental Housing)

  • 박경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743-751
    • /
    • 2016
  • 공동주택 유지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사후보전인 유지관리업무에서 벗어나 예방 차원의 관리체계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시설물의 점검 진단 교체 등의 일련의 작업을 시스템화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보다 앞서 유지관리 업무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공공임대주택 유지관리 업무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 전문가와의 1:1면담을 통해 입주자, 관리사무소, 본사의 업무체계로 구분하고 BPMN(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일반관리 시설물관리 수선 및 보수 장기수선 업무 프로세스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표준업무체계는 공동주택 관리 시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를 기반으로 공정성 및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공동주택 유지관리 비용 및 진단조치 관리를 위한 시스템 개발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향후 더욱 더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업무체계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현장적용 후 입주자, 관리사무소, 본사 의견 및 업무 흐름에 따라 생산성 데이터 분석을 통해 추가적인 개선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CITIS형 외주 및 부품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ITIS System Development for Outside Orders and Parts Information Management)

  • 임춘성;신기태;이종경;오범용;이영수;권창완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1997년도 한국전자거래학회 종합학술대회지
    • /
    • pp.105-112
    • /
    • 1997
  • 최근 들어 기업에서는 제품을 유지하고 보수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부품관리 기능과 외주 관리 기능을 통합적으로 운영 할 수 있는 CITIS시스템의 도입을 적극 생각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을 통해 발생되는 외주관련 비지니스 및 부품기술 정보를 기업 간에 효율적으로 교환함으로써 외주업무 자동화와 효율증대를 기할 수 있는 CITIS형 외주 및 부품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기존 전자업계의 외주 및 부품관리 프로세스의 현황을 파악하여 업무를 분석하였고, 외주 및 부품관리 프로세스를 정의하였다. 그에 따른 각각의 하부프로세스를 정의하여 외주 및 부품관리 업무의 TO-BE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것의 실제적 구현을 위하여 필요한 요소기술체계를 정립하여 기본적인 아키텍쳐 모델을 개발하였다.

  • PDF

BIM 기반 건축물 스마트 유지관리 지원 COBie 문서 프로토타입 (COBie Document Prototype for supporting BIM based Smart Maintenance of Buildings)

  • 구교진;박상헌;조동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0-68
    • /
    • 2019
  • 효과적인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유지보수공사 이력정보, 자재정보 등 다양한 유지관리 정보의 수집과 관리가 요구된다. 대형화, 복잡화 추세인 건축물들의 많아진 유지관리 업무량 해소를 위한 정보관리기술 및 시스템들의 도입에도 불구하고 유지관리정보들이 제대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 대안으로 BIM의 도입 및 활용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지만 설계단계에서 생성된 BIM 모델의 건축 유지관리 정보 미비로 인하여 실무에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 관리자가 수행하는 BIM 기반의 스마트 유지관리 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COBie 문서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유형의 유지관리 프로젝트 업무절차를 정형화하기 위해 BIM 기반 유지관리 기본 프로세스 모델을 점검업무와 유지보수업무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단계별 유지관리 필요정보를 도출하였다. 설계단계에서 생성된 BIM 모델의 속성정보들 중 기본 프로세스 단계별 유지관리 필요정보에 해당하는 파라미터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7개 스프레드시트로 구성된 COBie 문서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다. 사례적용을 통해 유지관리 정보가 미포함된 KBIMS 라이브러리 기반의 설계단계 BIM 모델을 유지관리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댐 시설물의 NFC 기반 이력관리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Development of Maintenance Prototype for Dam Facilities Using NFC Technology)

  • 안지원;박진홍;장원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261-271
    • /
    • 2014
  • 국내 건설 산업이 대형화 및 복잡화됨에 따라 건설프로세스에서 발생하는 각종 공사 관리정보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방법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의 시설물 유지관리 체계는 시스템 개발과 적용보다는 유지관리 노동에 대한 투자가 큰 노동집약체계로서 시스템 발전이 상당히 정체되어 있고, 건설 프로세스 과정에서 생성되는 정보의 수집 및 활용에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이 비효율적으로 소모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IT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그리고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여 건설 프로세스 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건설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체계를 통해 건설공정 및 유지관리 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댐 시설물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통합유지관리시스템을 개발함으로 업무 편의성과 사용성을 향상하고, 건설 유지관리업무의 효율성 증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유지보수 관리자용 자동화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an Automation Model for Maintenance Managers Based on Smart Devices)

  • 박지환;정수완;이서준;송진우;권순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72-80
    • /
    • 2021
  • 지난해 기준 국내 30년이 넘은 노후화 건축물이 37%를 차지하고 있으며, 건물 노후화 수치가 점차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건물유지보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건물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많은 작업 주체가 참여하여 업무를 진행한다. 그 중 '유지보수 관리자'의 업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현재 업무를 살펴보면 유지보수 건축물의 이력관리를 도면 혹은 수기로 기록하여 보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해당 자료를 재 열람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의 유지관리 업무 편의성 향상과 이력관리를 최적화 하기위해 기존 유지보수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자동화 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자동화 모델 구축을 위하여, ① 일반적인 시설물 관리 프로세스 분석 및 관련 문헌 검토, ② 현재 유지보수 프로세스 개선, ③BIM Data, COBie Data, IoT 및 AR 기술을 기반으로 유지보수 관리 자동화 모델 기능 구성도 제작, ④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유지보수 관리 자동화 모델 구축, ⑤ 사례 현장 적용, 유지보수 관리 진행 및 이력정보 재검토 소요 시간 비교를 통한 시스템 검증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