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ement in Underground Facilities Management Process ; Focused on the District Heating Facility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업무프로세스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지역난방 시설을 중심으로

  • 김정훈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
  • 임시영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The growth of sens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enable us to monitor the status of things in real-time. There are many attempts to apply the real-time monitoring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the real-time monitoring in facility management fields has attracted much attentions recently.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recent technologies including sens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ies, etc, to the real situation directly. One of the reasons is that facility managers who are familiar with existing processes may resist the change induced by new technologies. So it is necessary to close the gap between new technologies and existing processes by improving the existing processes prior to putting them in the field.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management process improvement focused on the district heating facilities.

센서 및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물의 상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에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간 모니터링을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시설물 관리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하여 시설물 관리의 지능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센서 기술, 통신 기술, 공간정보 등 핵심 요소기술을 바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현장에서는 새로운 기술이 적용되기 이전의 업무프로세스를 통해 시설물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새로운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업무프로세스의 개선을 병행하여 기술과 현장의 간극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술의 현장 적응력을 높일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프로세스를 살펴보고,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가정 하에 지하시설물 유지관리 업무프로세스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 업무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모, 2004, "GIS 기반의 지하시설물 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국토해양부, 2008, "지하시설물 통합관리를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완료보고서".
  3. 김은형, 2009, "센서기반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한 정보모델-지상․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한국GIS학회지 제17권 제1호, pp.79-87.
  4. 김정훈․이미숙․한재일, 2008, "지능형 지하시설물관리를 위한 상수도 모니터링 기술개발의 우선순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63-278.
  5. 김지은.김세한.정운철.김내수, 2007, "USN 센서노드 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3호, pp.90-103.
  6. 신성일.이광훈, 2008, "SDI 정책리포트 - 자산관리시스템을 통한 서울시 도로시설물 관리 전략", 서울시정개발 연구원.
  7. 이기욱.성창규, 2006,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상황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제11권 제5호, pp.259-265.
  8. 이충호.안경환.이문수.김주완, 2007, "u-GIS 공간기술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3호, pp.110-123.
  9. 정선웅.김진일, 2003, "시설물 관리를 위한 모바일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의 구현", 한국정보과학회 가을 학술발표 논문집 제30권 제2호, pp.454-456.
  10. 최길영.성낙선.모희숙.박차원.권성호, 2007, "RFID 기술 및 표준화 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2권 제3호, pp.29-37.
  11. 한국지역난방공사, 2005, "유지관리 업무지침서".
  12. 한국지역난방공사, 2006a, "열사용 시설 기준".
  13. 한국지역난방공사, 2006b, "냉방 열사용 시설 기준".
  14. 한국지역난방공사, 2007, "제 4편 - 부드럽고 유연한 조직으로 더 강하게", 한국지역난방공사 혁신사례집 1부, pp.76-89.
  15.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8, "USN기반 지하공동구 관리 서비스 응용 요구사항 프로파일(TTAR-06.0034)".
  16.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9a, "센서 네트워크 공통 인터페이스(TTAK.KO-06.0169/R1)".
  17.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09b, "USN 서비스 미들웨어 플랫폼 참조 모델(TTAK.KO-06.0170/R1)".
  18. GS파워, 2004, "사용자 지침서 GS Power 지리정보시스템(GIS)구축".
  19. GS파워, 2008a, "열배관 시설점검 지침서".
  20. GS파워, 2008b, "열공급 중단사태 발생시 대응절차".
  21. GS파워, 2008c, "열배관 유지보수공사 지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