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전자클로닝

검색결과 499건 처리시간 0.033초

Gentamicin 저항성 R 플라스미드에 존재하는 aacC2 유전자의 상류부위에서 Tn3의 출현 (Occurrence of Tn3 Sequence Upstream of aacC2 Gene in Gentamicin Resistance R Plasmids)

  • 한효심;김남덕;이영종;이효연;정재성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5-169
    • /
    • 1997
  • 병원하수에서 분리한 gentamicin 저항성 세균으로부터 aacC2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R 플라스미드 pGM5와 pGM6를 선발하였다. 이들 플라스미드에서 gentamicin 저항성 유전자를 포함하는 부분을 pUC18의 BamHI 자리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플라스미드 pSY5와 pSY6를 각각 얻었다.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삽입된 부분에 대한 제한효소 지도를 통해 Tn3 염기서열이 aacC2 유전자의 상류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알았다. 재조합 플라스미드의 gentamicin에 대한 민감성의 비교를 통해 Tn3의 bla 유전자 부분과 3'역행중복 부위의 염기서열이 gentamicin 저항성 유전자의 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 PDF

작잠(Antheraea pernyi) 아릴포린(Arylphorin) 유전자의 cDNA 클로닝 및 아릴포린 유전자의 발육시기 의존성 발현양상 (cDNA Cloning and Stage-Dependant Expression of Arylphorin Gene from Chinese Oak Silkworm, Antheraea pernyi)

  • 이상몽;황재삼;박남숙;김용균;김근기;손홍주;박현철;진병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193-1200
    • /
    • 2010
  • 상수리 잎을 먹고 자라는 야생견사곤충의 일종인 작잠의 저장단백질인 아릴포린 유전자의 cDNA를 클로닝하고 발육경과에 따른 유전자발현의 양상을 조사 검토하였다. 작잠의 아릴포린 유전자의 cDNA는 2,112 bp의 ORF(open reading frame)를 포함하여 2,234 bp임을 밝혔다. 작잠 아릴포린 유전자의 cDNA염기서열로부터 아미노산 서열을 검토한 결과 방향족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phenylalanine)과 티로신(tyrosine)의 성분이 높은 아미노산 서열구조를 보였으며 ORF로부터 계산한 단백질의 분자량은 83,439 Da 이었다.작잠 아릴포린 저장단백질의 아미노산서열을 다른 곤충의 서열과 그 상동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세크로피아잠(H. cecropia)과는 78%, 담배나방의 알파단량체(M. sexta-$\alpha$ subunit)와는 71%, 담배나방의 베타단량체(M. sexta $\beta$-subunit)와는 62% 그리고 가잠(B. mori)과는 64%의 아미노산서열 상동성을 각각 보였다. 또, Northern blot analysis에서 유충 5령기의 중장, 중부 실샘, 후부 실샘에서는 아릴포린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고 오로지 지방체 조직에서만 아릴포린 유전자가 발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아릴포린 유전자는 특히 종령인 5령 유충의 초기에 발현강도가 높았으며 중, 후기로 갈수록 그 강도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번데기시기에는 흔적 정도의 해당 mRNA가 검출되었으며, 이와 같이 검출된 mRNA는 불활성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작잠 아릴포린 유전자의 cDNA가 클로닝되었으며, 이 유전자는 유충기특이적 발현 및 지방체 조직특이적 발현양상을 보인 점이 본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대장균의 acetyl CoA carboxylase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Acetyl CoA Carboxylase (fabE) in Escherichia coli)

  • 박완;송방호;홍순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1-186
    • /
    • 1986
  • 대장균 염색체의 acetyl CoA carboxylase (fabE)영역 (염색체 지도상 72분 영역)의 유전자를 가진 결함형질도입 파아지를 분리했다 이 형질도입 파아지로부터 20 Md의 염색체 유래의 DNA를 분리하여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했으며 이 영역에는 제한효소 Eco RI의 절단부위는 없었다. 형질도입 파아지 DNA의 제한효소 분해산물들은 pACYC 184 플라스미드 벡터에 재클로닝하여 fab E의 온도감수성 변이를 회복할 수 있는 수 종류의 플라스미드를 분리했다. 이들 플라스미드를 분석하여 fab E 유전자는 7, 4Md Bel II 단편상의 Hind III의 절단부위를 가진 3.4 Md Ban HI-Sal I 단편내에 존재함을 밝혔다.

  • PDF

Chondromyces crocatus의 순수 분리 (Isolation of Chondromyces crocatus in Pure Culture)

  • 이차율;현혜숙;김도희;조경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16-321
    • /
    • 2009
  • 국내 토양으로부터 Chondromyces crocatus KYC2823을 순수 분리하고, 또 다른 5균주를 동반 세균이 함께 존재하는 상태로 분리하였다. 균주 KYC2823은 경북 청도군에서 채취한 토양시료에서 분리하였으며, 자실체 형태와 특이한 향의 발산을 포함한 여러 특성이 전형적인 C. crocatus임을 보였다. 이에 더해, 16S rDNA 염기서열이 C. crocatus의 새 표준균주로 제안된 Cm c5과 99.8% 유사하였다. 한편, PCR을 이용한 polyketide 생합성 유전자 조각의 클로닝 및 분석은 균주 KYC2823이 전자전달계 저해물질인 ajudazol과 actin cytoskeleton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인 chondramide의 생합성 유전자, 그리고 아직까지 클로닝되지 않은 polyketide 계열 물질의 생합성 유전자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국에서 분리된 전염성 조혈괴저 바이러스의 non-virion (NV) 단백질의 유전자 클로닝 및 바이러스 증식에서의 역할 (Cloning of the non-virion (NV) of a Korean Isolate of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and Identification of the Role of the NV in IHNV Replication)

  • 문창훈;조화자;윤원준;박정재;박정민;김현주;도정완;이주양;임채렬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3-108
    • /
    • 2000
  • 한국에서 분리된 전염성 조혈괴저바이러스(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인 IHNV-PRT의 non-viron(NV)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cDNA를 클로닝하여 이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NV는 336bpzmrl의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하였으며 이로부터 111개의 아미노산 서열을 외국에서 분리된 IHNV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90-95%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INHV의 NV단백질 유전자들은 IHNV의 strain에 관계없이 매우 보존되어 있음을 나타내준다. Northern blotting을 사용하여 NV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감염 후 20 시간분터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 힐수 있었다. NV가 바이러스의 증식에 필요한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이러스 유전자의 antisense DNA를 사용하여 바이러스 증식 억제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Glycoprotein (G)의 antisense DNA를 처리한 경우 바이러스의 증식이 거의 억제된 반면 NV에 대한 antisense DNA를 처리한 경우 바이러스 증식에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로부터 배양중인 세포가 있어서 NV는 증식에 필수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으로부터 rpoH 유전자의 클로닝과 염기서열 분석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rpoH Gene from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

  • 엄치용;송승은;박미화;김영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77-183
    • /
    • 2007
  • 열충격 시그마인자를 코딩하는 유전자 rpoH가 결여된 돌연변이체 대장균(Escherichia coli satrain A7448)을, 메탄올 자화세균인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의 phagemid library로 형질전환 시켜서 $30^{\circ}C$에서 성장하는 Escherichia coli strain A7448 로부터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의 rpoH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그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1,793-bp 염기서열 분석 결과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의 RpoH는 284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예상된 분자량은 32,006, p1값은 5.79로 나타났으며, 동일계열의 ${\beta}$-proteobacteria에 속하는 세균들의 RpoH와 높은 상동성을 보여주었다.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의 RpoH는 대장균의 RpoH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열충격 후 RpoH양은 15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20분 뒤 양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Methylovorus sp. strain SS1 DSM11726의 RpoH 단백질 역시 열에 의해 유도됨을 말해 준다.

내열설 전분다 전환효소: 이성화효소 및 트레할로스 합성효소

  • 고석훈;박병철;이대실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2권1호
    • /
    • pp.7-9
    • /
    • 1997
  • 내열설 미생물, Thermus caldophilus CK24에 대한 탄수화물 생합성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탄수화물 관련효소를 탐색하고 그레 대한 생화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일차로 내열성 미생물내 1) 당핵산염 합성효소와 당전이 효소, 2) 탄수화물 대사효소. 3)탄수화물 분해 및 전환효소의 존재를 HPLC/Bio-LC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 이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발표에서는 포도당을 과당으로 전환하는 이성화효소(xylose isomerase), 그리고 맥아당을 트레할로스로 전환하는 트레할로스 합성효소(trehalose synthase)를 소개하고저 한다. 이성화효소는 이미 산업적 과당 생산에서 대규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식품산업효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Thermus caldophilus GK24, Thermus thermophilus HB8, Thermus flavus AT62 3종의 내열성 미생물에 대한 이성화효소 유전자를 클로닝 하고, 각 재조합하고 이성화효소를 대량생산하였다. 이 내열성 이성화효소는 최적 반응 온도가 8$0^{\circ}C$이고, 포도당을 과당으로 전환하는 수유른 55%이었다. 이러한 과당전환률은 이미 산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성화효소의 과당전환률(43%)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과당 생산공정의 단순화의 생산성 향상에 결정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이성화효소의 산업적 특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구조-기능관계 연구를 착수하였다. 우선 내열성 이산화 효소의 입체 구조를 결정하였고, 구조조정에 따른 기능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특정 위치의 선택적 변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끝으로 포도당 전이 효소를 추적하던 과정에서 맥아당을 트레할로스로 전환하는 새로운 효소를 Thermus caldo-philus GK24에서 발견하였다. 그 트레할로스 합성효소는 분자량이 약 110kDa이고 최적 반응온도가 75$^{\circ}C$이면, 조효소없이 맥아당을 트레할로스로 80%이상 전환해 주는 가역효소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효소반응의 조건과 특성을 조사하였고, 효소 아미노-밀단의 서열결정정보를 통하여 효소의 유전자를 클로닝 하고 그 유전자의 구조와 발현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PDF

Streptomyces coelicolor A[3]2에서 Mycothiol 생합성에 관여하는 Inositol Monophosphat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Inositol Monophosphatase Gene from Streptomyces coelicolor A[3]2)

  • 김진권;최학선;김성준;김시욱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62-466
    • /
    • 2004
  • S. coelicolor A3(2)로부터 항산화 저분자 thiol분자인 MSH를 HPLC 및 monobromobimane 형광 검출 방법으로 분리${\cdot}$정제하여 그 존재를 확인하였다. 표준물질인 MSH-bimane과 동일하게 용출되는 MSH 분획을 확인하였으며 여러 thiol 분획 중 MSH 분획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아 MSH가 S. coelicolor의 주된 thiol 화합물로 판단되었다. MSH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 중 I-1-Pase의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유전자를 방선균에서 분리한 후 대장균에 클로닝하여 과도발현시켰다. 발현된 I-1-Pase를 Ni-NTA column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정제된 I-1-Pase는 soluble protein으로 281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은 32 kDa이었다. 인간 및 대장균의 I-1-Pase와 각각 24와 $25\%$의 sequence homology를 보였으며, 기존의 I-1-Pase가 가지고 있는 공통의 I-1-Pase motif A와 motif B를 S. coelicolor A3(2)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ephalosporin C 생물전환을 위한 Trigonopsis variabilis (ATCC10679) 변이균주의 간편한 선별 및 D-amino acid oxidase 유전자 배열 (Rapid Screening of Mutant Strains of Trigonopsis variabilis (ATCC10679) for Cephalosporin C Bioconversion and Sequences of D-amino acid oxidase Genes)

  • 강용호;박선영
    • KSBB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235-240
    • /
    • 1999
  • Trigonopsis variabilis ATCC10679 (TW)의 변이균주를 선별하기 위하여 쉽고 간편한 균주 선별방법을 개발하였다. 변이 균주(T26)의 D-Amino acid oxidase (D-AAO)는 야생균주(TW)의 D-AAO 효소보다 cephalosporin C에 대한 기질특이성이 약 30% 높았다. 이들 두 균주에서 D-AAO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각 유전자를 비교해본 결과 811번 우치의 T가 C로 변경되었으며 이에 따른 아미노산은 Phe-258이 Ser-258로 바뀌었다.

  • PDF

녹색형광단백질의 재조합 단백질 생산공정에의 응용

  • 차형준
    • 한국생명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명과학회 2003년도 제39회 학술심포지움
    • /
    • pp.38-47
    • /
    • 2003
  • 처음으로 real time으로 유전자 발현을 visualization할 수 있는 marker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maker가 바로 green fluorescent protein(GFP; 녹색형광단백질)이다. GFP는1962년 Shimomura 등에 의하여 해파리인 Aequorea victoria에 존재함이 밝혀졌다(1). 그러나 30년이 지난 1992년이 되어서야 Plasher등에 의하여 GFP의 cDNA가 클로닝 되었고(2) 이후 지금까지 약 10년 동안 GFP는 생명과학분야에서 가장 각광받는 유용한 단백질 중의 하나가 되어 매우 다양한 연구에 응용이 되고 있다. 이렇게 GFP가 생명과학분야에서각광을 받게 된 이유로는 GFP가 모든 외래의 세포에서 형광을 발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진 형태로 발현되기 때문이다(3). Chalfie 등은 처음으로 GFP를 대장균과 Caenorhabditis elegans에서 발현시켜 유전자의 발현을 모니터함으로써 GFP를 원핵 및 진핵세포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3), 이러한 발견을 통하여 GFP는 살아있는 세포, 조직 및 생물체에 해를 주지 않고 (non-invasive)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marker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cell biology, developmental biology, neurobiology 및 cytology 등의 연구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