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의수준 검증

검색결과 1,062건 처리시간 0.027초

변혁적 리더십이 호텔 식음료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in Hotel F&B Employees)

  • 오영섭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9-152
    • /
    • 2009
  • 본 연구는 호텔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식음료 서비스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서울 지역 특1급 호텔 식음료 서비스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지 375부를 배부하여 미회수 30부, 불성실한 응답 23부를 제외한 총 32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14.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과 세부가설 1-1, 1-2, 1-3을 검증한 결과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와 2-1, 2-2, 2-3을 검증한 결과 가설 2와 세부가설 2-2는 유의적인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가설 2-1과 2-3은 유의성이 타나지 않았다. 둘째, 직무만족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을 검증한 결과 유의적인 수준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호텔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종사원들의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자폐스펙트럼 장애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심리적 증상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Symptoms According to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for Mothers of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유아란;하은혜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4호
    • /
    • pp.19-31
    • /
    • 2019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 장애(ASD) 영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 스트레스 총점, 부모영역 및 아동영역 수준에 따라 MMPI-2를 통해 어머니가 경험할 수 있는 양육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다양한 심리적 증상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서울 소재의 종합병원 소아정신과, 재활의학센터, 발달 장애 클리닉 등에서 2010년에서 2015년까지 ASD로 진단을 받은 만 1세에서 5세까지의 영유아 어머니 7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축적된 한국판 부모 양육 스트레스 척도(K-PSI)와 다면적 인성검사 II(MMPI-2)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양육 스트레스 총점과 부모영역은 MMPI-2의 여러 임상 척도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아동영역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양육 스트레스 총점 수준에 따른 심리적 증상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위험 수준 집단이 정상 범위 집단보다 MMPI-2의 임상 척도 중 건강염려증(Hs), 우울(D), 편집증(Pa), 강박증(Pt), 조현병(Sc)이 유의하게 높았다. 양육 스트레스 부모영역에서는 위험 수준 집단이 정상 범위 집단보다 MMPI-2의 임상 척도 중 건강염려증(Hs), 우울(D), 히스테리(Hy), 반사회성(Pd), 편집증(Pa), 강박증(Pt), 조현병(Sc), 경조증(Ma), 내향성(Si)이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에 양육 스트레스 아동영역에서 위험 수준 집단과 정상 범위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양육 스트레스 총점과 부모영역에서 위험 수준 집단의 심리적 증상이 유의하게 높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컨조인트 모형의 속성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한 새로운 비모수통계 검증법 (A New Test of Attribute Significance for Nonparametric Conjoint Models)

  • 한민희;;강현모;현진석;박상준;현용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3-47
    • /
    • 2007
  • 이 논문은 비모수 자료를 활용하는 컨조인트 모형에서 속성의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한 새로운 카이제곱 검증법을 제안한다. 이 검증법의 가장 핵심적 아이디어는 수집한 서열을 몇 개씩 묶어 하위집합들로 분류한 다음, 이 서열의 하위집합들과 속성별 수준들과 상호 통계적으로 독립적인지를 검증한다는 것이다. 이 검증은 프로파일들의 서열이 검증하는 속성의 수준에 대해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다라는 명제를 귀무가설로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 새롭게 제시하는 검증방법은 매우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우며 사용하기도 쉽다. 이 방법은 총괄적 자료뿐 아니라 개인별 자료로도 검증이 가능하다. 또한 전체프로파일 법에서도 적용 가능하지만 더 나아가 트레이드오프 법에서도 적용이 가능하여, 현재로는 트레이드오프 법에 적용 가능한 유일한 통계적 검증방법이라 할 수 있다.

  • PDF

초고령 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stress coping on life satisfaction in very old adul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정현아;박현승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1호
    • /
    • pp.123-132
    • /
    • 2024
  •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초고령 노인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스트레스 경감을 통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한 스트레스 대처방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스트레스 대처방안이 기존의 노인 집단과의 차별성에 주목하고 독립된 집단으로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각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이 시행한 국민 노후 보장패널(KReIS)의 제5차 부가 조사에 응답한 85세 이상의 남녀 275명을 분석하였다. 초고령 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IBM SPSS 26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미치는 유의성 검증 결과, 스트레스 대처방안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안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 검증 결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안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도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고령 노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안을 통해 삶의 만족도 수준의 향상을 위한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대학생의 갈등해결전략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에 의해 매개된 정신화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Mediated by Adaptation to College Life)

  • 정구철;전영숙;박희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38-151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팀 활동 중 수행하는 갈등해결전략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의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생 24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인 타협과 협력 전략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고, 대학생활적응을 통한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둘째, 갈등해결전략 중 양보, 회피, 지배 전략은 대학생활적응을 통한 정신화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정신화 실패의 수준이 높을수록 양보, 회피, 지배 전략이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웰빙에 대해 유의한 설명변수가 되었다. 셋째, 양보와 회피 전략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에서 정신화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고, 정신화 실패의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중요성을 검증하였고, 양보, 회피, 지배 전략의 경우 정신화 실패의 수준과 함께 대학생들의 적응과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논의하였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영유아의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과 정상 수준 집단 간 사회성숙도와 문제행동의 차이 (Differences in Social Maturity and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the Level of Sleep Problems in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이진경;하은혜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2호
    • /
    • pp.129-140
    • /
    • 2021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영유아와 영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과 정상 수준 간 사회성숙도와 문제행동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 서울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의 소아정신과, 발달장애 클리닉, 재활의학센터 등에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ASD로 진단된 만 1-5세 영유아와 영유아 어머니 102명을 대상으로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유아행동평가척도(CBCL 1.5-5)와 사회성숙도 검사(SMS)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ASD 영유아의 수면문제 수준은 T점수에서 56.58로 나타났다. 수면문제는 CBCL 1.5-5의 하위척도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과 정상 수준의 2개 집단으로 나누었다. 집단 간 사회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이 정상 수준 집단보다 SMS의 사회지수가 낮았다. 또한, 정서적 반응성, 불안/우울, 신체증상, 위축 등 내재화 문제와 주의집중문제, 공격행동 등 외현화 문제가 심각했다. 이외 DSM 전반적 발달문제, DSM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DSM 반항행동문제 등 외현화 DSM 장애 증상이 유의하게 심각했다. 결론 : 수면문제 경계선 및 임상 수준 집단은 정상 수준 집단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은 사회성숙도와 심각한 문제행동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운영성과 간 관계: 다수준분석을 통한 종업원성과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Operat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a Mediating Role of Employee Performance)

  • 전인;오선희;안성익
    • 산업노동연구
    • /
    • 제19권1호
    • /
    • pp.65-104
    • /
    • 2013
  •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을 기초로 고성과작업시스템-종업원성과-운영성과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직수준의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개인수준의 종업원 태도 간 실증분석을 위해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활용한 다수준분석을 실시하여 인과관계의 정확성을 높였다. 이를 위해, 제3차 인적자원기업패널(HCCP: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데이터 가운데 316개 기업과 7,872명(팀장 923명 포함)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개인수준인 종업원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후, 분석수준을 일치시키기 위해 개인수준(종업원성과)과 팀수준(운영성과)의 패널자료를 조직수준으로 집산(aggregation)하여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고, 조직수준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성과작업시스템은 종업원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 신뢰)와 운영성과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성과 개별변수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직무만족과 신뢰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운영성과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는 연구의 결과, 이론적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운영방안의 융합적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the Operation Plan according to the Diet Life Styl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김성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53-461
    • /
    • 2019
  • 본 연구는 식생활 증진을 목적으로 광주광역시 거주 230명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정식사대용식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설문조사한 후 연구가설 검증은 확인적 요인분석 측정도구의 적합도는 높게 검증되었고 평균분산추출량은 0.5이상으로 집중타당성을 갖으며 유의수준 p<.001수준에서 모두 유의하다는 라이프스타일, 선택속성, 제품만족의 관계를 알아보는 성과는 있었지만 일부 대상만을 연구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향후 인원 및 지역의 확대 연구가 된다면 국민 식생활증진에 보탬이 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강원도 향토음식의 메뉴 품질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Degree for Menu Quality of the Regional Cuisine in Gangwon Province)

  • 이형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13
    • /
    • 2010
  • 본 논문은 강원도 향토음식의 메뉴 품질 만족도에 대하여 요인 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검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직접 서비스 품질 만족도의 경우, t-검정 결과는 거주지, 학력, 수입 변수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성별, 지역, 직업별로 만족도에 있어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문 횟수, 관광 수준별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결과를 보였다. 남성은 여성에 비해 직접 서비스 만족도를 높게 평가하였으며, 지역별로는 춘천과 속초 지역이 강릉 지역보다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직업별로는 자영업자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서비스 품질 만족도의 경우는 성별, 지역 및 직업 특성 변인에 대해서는 유의수준 1%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인 반면, 다른 특성 변인들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였다. 직접 서비스 품질 만족도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평균 만족도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간접 서비스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을 유추할 수 있다고 하겠다.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지역별로는 직접 서비스 만족도의 경우와 같이 춘천, 속초가 강릉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 PDF

중년기 남성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 수준 변화 (Changes of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Stress of Middle-Aged Men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 김미량;송강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93-402
    • /
    • 2009
  • 본 연구는 중년기남성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만 40세부터 50세의 남성으로 일용직, 사무직, 전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89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1-way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단계가 높아질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우울의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단계가 높아질수록 우울이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으로 운동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결과 준비단계가 유지단계보다, 계획전단계가 행동단계와 유지단계보다 낮은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냈다. 넷째, 운동변화단계가 높아질수록 우울,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